[외교정책결정론] 동티모르 UNTAET(유엔과도행정기구) 설립 결정요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1.03.04 / 2019.12.24
  • 1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유엔의 위상 강화와 영향력 증대 추구

Ⅲ. 국익 추구에 따른 개별 국가들의 유엔에 대한 영향력 행사

Ⅳ. 동티모르의 독립노력과 인도주의적 국제여론의 수용

Ⅴ. 결 론
본문내용
Ⅳ. 동티모르의 독립노력과 인도주의적 국제여론의 수용

국제기구라는 유엔의 특성상 국가 이외의 다양한 행위자의 역할을 인정하게 된다. 이는 유엔이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행위자들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양한 행위자들의 수많은 의견이 유엔을 움직이는 힘이라 말할 수 있다. 국제사회에서의 다양한 행위자의 의견은 곧 국제여론이다. 이러한 국제여론이 유엔의 의사결정에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것이다. 냉전의 기간 동안 미ㆍ소의 이념 분쟁이 국제관계의 어젠다를 지배하고 있었던 반면 냉전 이후에는 새로운 이슈들이 대거 등장하였는데, 인도주의의 문제 역시 새로운 이슈의 일환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과거 냉전 기간 중에는 흔히 내정 불간섭이라는 명분으로 인해 국제사회가 개입하기 힘들었던 부분이 점차 붕괴되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 이제 대량 학살과 난민이 발생하고 인권이 유린되는 분쟁이 발생할 경우에는, 그것이 비록 국내 정치적 성격을 지닌 쟁점이라 할지라도 세계 각국 및 비정부기구들의 성토 대상이 되며 인도적 개입 명분을 제공하게 되는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이근수, “동티모르 사태와 한국,” (한국국방연구원, 1999).
국제사회의 관심사가 변화하는 시점에서 동티모르에서 자행된 인권탄압과 인권 유린의 사태는 국제 여론이 동티모르에 관심을 가지게 하였다. 여기에 동티모르인들의 국내외적인 노력은 동티모르 사태의 안정에 대한 국제적인 여론을 형성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된다. 동티모르에 대한 국제여론은 유엔의 동티모르에 대한 개입 강화촉구로 이어지게 되었으며 안전보장이사회에서 UNTAET 설립을 결의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동티모르 독립저항세력들(동티모르 혁명전선-FRETILIN: Frente Revolucionara do Timor Leste Independente , 티모르 민주동맹-UDT: Timor Democratic Union)은 테러활동을 철저히 배격하는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여론을 자신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이끌었다는 연구가 존재한다. 최운도(2004), p.183. 이근수, “동티모르 분쟁 - 독립쟁취의 역정과 향후 전망,” 『국제문제』, 2000년 2월호 (국제문제연구소, 2000).
많은 분쟁지역에서 소수 독립파들이 다수파 민간인들을 목표로 한 인질과 납치, 폭파 등의 테러를 주요수단
참고문헌
[부록]

ETAN의 설립목적
(http://etan.org/ifet/statutes.html#_Toc455334298)
1. to propagate the ideals and established principles of decolonization in the framework of the United Nations and to disseminate information on the particular case of the decolonization of East Timor,
2. to collect and disseminate data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the territory, and if necessary to organize campaigns to protect people from particular instances of human rights abuse, established as such according to internationally recognized standards,
3. to provide support for various activities needed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the East Timorese in preparation for the exercise of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4. to facilitate consultation and dialogue among member NGOs as well as other interested NGOs to coordinate activities on an international level,
5. to communicate common concerns of participant NGOs to relevant authoritie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IFET Member Organizations as of 12 June 1999(http://etan.org/ifet/member.html ):

East Timor International Support Center (Australia), East Timor Relief Association (Australia), Brisbane East Timor Office (Australia), Campaign for an Independent East Timor (South Australia), Australia-East Timor Association, Australians for a Free East Timor, Friends of East Timor, Western Australia, Hobart East Timor Committee (Australia), East Timor Alert Network (Canada), Canadian Action for Indonesia and East Timor, Pacific Concerns Resource Centre (Fiji), East Timor Group of Committee of 100 (Finland), Agir Pour Timor (France), Association Solidarité Timor-Oriental (France), Watch Indonesia! (Germany), Gesellschaft fur Bedrohte Volker (Germany), East Timor Roundtable (Hong Kong), Forum Solidaritas Untuk Rakyat Timor Lorosae (FORTILOS, Indonesia), East Timor Ireland Solidarity Campaign, Indian Society for Human Rights, Free East Timor - Japan Coalition, East Timor Information Network (Malaysia), International Platform of Jurists for East Timor (Netherlands), Norwegian Cooperation Council for East Timor and Indonesia, Asia-Pacific Coalition on East Timor (Philippines), Com. para os Direitos do Povo Maubere (Portugal), Paz é Justica para Timor Leste (Portugal), A Paz é Possivel em Timor Leste (Portugal), Movimento Christão para a Paz (Portugal), East Timor Scotland Support Group, Instituto de Estudios Políticos para América Latina y Africa (Spain), Östtimor Kommitten (Sweden), TAPOL (U.K.), British Coalition for East Timor, East Timor Action Network (USA), International Secretariat, Parliamentarians for East Timor


[참고문헌]

강성학, “유엔과 미국: 교황과 황제처럼?,” 『IRI 리뷰』 제 2권 3호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997).
―――, “냉전의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 시지프스에서 이카루스로?,” 『IRI리뷰』 제5권 1호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01).
강유진, “탈냉전시대의 인도주의적 개입: 새로운 개입원칙 및 권리의 정당성에 대하여,”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김경신, 『호주-동티모르 분쟁지역 에너지자원 공동개발모델과 시사점』(서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김열수, “UN 평화유지 활동의 부침: 구조적 원인과 행태적 원인,” 『국제정치논총』 제 39집 1호 (한국국제정치학회, 1999).
―――, 『국제기구를 통한 분쟁관리: 유엔의 평화유지활동』 제 2판(서울: 오름, 2001).
―――, “동티모르 재식민지화와 독립: 서방권 국가들의 구성주의적 행위를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제 19권 제 1호 통권 제 40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3).
―――, “탈냉전 후 유엔 안보리의 위상변화: 군사력 사용을 중심으로,” 『국제정치논총』 제 48집 1호 (한국국제정치학회, 2008).
김우선, “또 다른 문명화 사명?: 난민정책을 중심으로 본 유엔의 동티모르 통치(1999-2002)에 대한 비판적 연구,” 『동남아시아연구』 19권 2호 (한국동남아학회, 2009).
김한식, “국제사회의 새 정점으로서의 도덕성: 동티모르 독립의 경우를 중심으로,” 『국방연구』47권 1호 (국방대학교안보문제연구소, 2004).
남궁곤, “외교정책과 여론 : 'Almond - Lippmann Consensus' 와 그 비판적 검토,” 『한국과 국제정치』15권 1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9).
양승윤, “동티모르의 독립과 국제사회의 입장,” 『국제지역연구』 제 3권 4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1999).
이근수, “동티모르 사태와 한국,” (한국국방연구원, 1999).
―――, “동티모르 분쟁 - 독립쟁취의 역정과 향후 전망,” 『국제문제』. 2000년 2월호, (국제문제연구소, 2000).
이상희, “UN의 인도주의적 개입: 코소보 사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 논문, 1999).
이수훈, “제3세계의 초국가적 연계와 군비팽창에 관한 국가 간 비교분석,” 『한국사회학』 제 22호 (한국사회학회, 1988).
이지현, “동티모르 독립에 있어서 U.N.의 인도주의적 개입에 관한 고찰,” (국민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임은주, “UN의 인도주의적 개입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국제관계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4).
임정우, “동티모르 분쟁과 한국군의 평화유지활동(PKO)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국제관계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9).
정은숙, “2세대 유엔 PKO: 특징, 현황, 정치,” 『세계전략연구』 제 4권 제 1호 통권 제 7호 (세종연구소, 2008).
최운도, “예방외교와 국제평화: 동티모르 사태의 분쟁해결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20권 4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4).
하경석, “유엔의 '복합분쟁'관리와 인간안보 : 수단 다르푸, 동티모르, 아이티의 다차원 평화유지활동,”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9).

Baylis, Jone. Steve Smith 저, 하영선 옮김, 『세계정치론』 (서울: 을유문화사, 2006).
Beauvais, Joel C. “Benevolent Despotism: A Critique of U.N. State-Building in East Timor.” Journal of Internatioanl Law and Politics. Vol. 33, No. 3 (New York: N.Y.U, 2001).

『민족21』. 2008년 8월호.
『동아일보』.
『세계일보』.

http://www.kida.re.kr/woww/update/etimor-korea.htm (검색일: 2010. 11. 21).
http://www.un.org/en/documents/charter/index.shtml (검색일: 2010. 11. 26).
http://preview.britannica.co.kr/spotlights/nobel/list/pea0102.html (검색일: 2010. 11. 26).
http://etan.org/ifet/statutes.html#_Toc455334298 (검색일: 2010. 11. 29).
http://etan.org/ifet/member.html (검색일: 2010. 11. 29).
http://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브라히미 보고서와 UN 평화유지활동의 개혁
  • 기구와 지역 기구의 협력이 문제 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OAU-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아프리카 단결기구) : 1963년 아프리카 38개 독립국들이 아프리카의 통일 촉진, 회원국 간 정책 및 계획 통합, 독립 및 주권 수호를 위하여 결성한 국제기구 2002년 OAU는 해체되고 AU 즉 아프리카 연합으로 대체되었다. 또한 시에라 리온에서는 남아프리카의 Executive Outcomes라는 민간 용병회사와 계약을 통해 군사력을 유지하였으며 UN이나 다른 역기구들의 개입 이전

  • PKO 사례 연구 레포트
  • 유엔의 개입은 다단계적 양상을 띠었는데, 먼저 소규모의 캄보디아파견유엔선발대(UNAMIC)를 보내 캄보디아 분쟁 당사자들 간의 협상을 유도했고, 이후 1992년 3월에는 군, 경, 민간요원으로 구성된 유엔캄보디아과도행정기구(UNTAC : United Nations Transitional Authority in Cambodia)를 파견했다. UNTAC군은 정전과 무장해제 그리고 무장해제를 감시하는 것과 관련된 다양한 임무를 띠었고, 민간요원들은 18월 동안 나라를 운영하는 책임을 맡았다. 이는 외교, 방위, 재정,

  • [외교] 브라히미 보고서 분석
  • 유엔이 가장 기본적인 장비조차 제공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어떤 부대는 실제 전투상황이 없는 전통적인 상징적인 임무만을 수행하리라 생각하고 100발의 소총 탄환만을 갖고 도착하였다.그러나 시에라 레온은 에서는 IMF, UN, OAU, ECOWAS 등 국제기구와 지역 기구의 협력이 문제 해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3세대 평화유지 사례 연구 1: 유엔 동티모르 지원단 (UNMISET, United Nations Mission of Support in East Timor)분쟁개요(Conflict Profile)인도네시아(이하 인니)의

  • [국제조직론] 세계난민 보고서
  • 기구(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OAS) 및 국제연합 총회에 의하여 지지되었다. * 집행위원회의 결정 1951년 협약 및 1967년 의정서와 같이 당사국에 대하여 법적 구속력을 지니는 국제문서와, 선언, 결의, 권고 등과 같이 국제적 총의를 나타내나 법적 구속력이 없는 문서간의 구별은 중요하다. 집행위원회의 결의는 후자에 속한다. 고등판무관 프로그램의 집행위원회는 1958년에 설립되었다. 이의 기본 임무는 다음과 같다. - 고등판무관의 연차 지원계획을

  • [국제조직론] 세계난민문제에 관한 분석적 고찰과 국제기구의 역할
  • 기구(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OAS) 및 국제연합 총회에 의하여 지지되었다. * 집행위원회의 결정 1951년 협약 및 1967년 의정서와 같이 당사국에 대하여 법적 구속력을 지니는 국제문서와, 선언, 결의, 권고 등과 같이 국제적 총의를 나타내나 법적 구속력이 없는 문서간의 구별은 중요하다. 집행위원회의 결의는 후자에 속한다. 고등판무관 프로그램의 집행위원회는 1958년에 설립되었다. 이의 기본 임무는 다음과 같다. - 고등판무관의 연차 지원계획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