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운][최치원][최치원 약력][최치원 저서]고운 최치원 약력, 고운 최치원 출생설화, 고운 최치원 생애, 고운 최치원 저서, 고운 최치원 업적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10.11 / 2019.12.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5,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고운 최치원의 약력

Ⅱ. 고운 최치원의 출생설화

Ⅲ. 고운 최치원의 생애

Ⅳ. 고운 최치원의 저서와 업적
1. 시문과 사산비명
2. 풍류도 사상의 체계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라말기의 학자, 문장가.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고운(孤雲), 혹은 해운(海雲)최치원 선생은 경주 사량부(沙梁部) 출신으로 원성왕의 원찰인 숭복사(崇福寺)창건에 관계한 견일(肩逸)의 아들이며, 신라 골품제에서 6두품(六頭品)으로 신라의 유교를 대표할만한 많은 학자들을 배출한 최씨가문출신으로 이른바 신라말기 3최(崔)의 한사람으로 6두품 출신의 지식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868년(경문왕8)에 12세의 어린나이로 당나라에 유학한지 7년 만에 과거에 급제하였다. 문명(文名)을 천하에 떨치게 된 것은 879년 황소(黃巢)가 반란을 일으키자 고변이 제도행영병마도통(諸道行營兵馬都統)이 되어 이를 칠 때 고변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서기의 책임을 맡으면서부터였다.
고변의 종사관으로 있을 때 공사 간에 지은 글이 표(表), 장(狀), 격(檄), 서(書), 위곡(委曲), 거첩(擧牒), 제문(祭文), 소계장(疏啓狀), 잡서(雜書), 시 등 1만여 수에 달하였는데, 귀국 후 정선하여『계원필경(桂苑筆耕)』20권을 이루게 되었다.
894년 시무(時務) 10여조(條)를 상소, 아찬(阿)이 되었다. 그 후 관직을 내놓고 난세(亂世)를 비관, 각지를 유랑하다가 가야산 해인사(海印寺)에서 여생을 마쳤다. 선생은 또한 유교사관(儒敎史觀)에 입각해서 역사를 정리하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연표형식으로 정리한 《제왕연대력(帝王年代曆)》이다.
여기에는 거서간(居西干), 차차웅(次次雄),이사금, 마립간(麻立干) 등 신라왕의 고유한 명칭이 모두 야비하여 족히 칭할만한 것이 못된다고 하여 왕(王)으로 바꾸었는데 유교사관에 입각해서 신라문화를 이해하려는 역사 인식에서 말미암은 것이다.
저술로는 시문집으로 <계원필경>, <금체시>,<오언칠언금체시>, <잡시부>, <중산복궤집> 등과 사서(史書)로 《제왕연대력》이 있으며, 불교 관련되는 저술로 <부석존자존>,<법장화상전>, <석이성전> 등이 있었으나, 오늘날 전하는 것은 <계원필경>, <법장화상전>, <사산비명(四山碑銘)> 뿐이고 그 외 <동문선>에 시문 약간, 사기(寺記)등에 기(記), 원문(原文), 찬(讚) 등이 전할 뿐이다.
참고문헌
▷ 김인종(1989), 고운의 생애, 고운 최치원 대우 학술총서, 민음사
▷ 김중렬(1991), 최치원의 문학사상·한국문학사상사·계명문화사
▷ 김문기(1994), 최치원의 사산비명 연구, 한국의 철학, 제 22호
▷ 이능우(1965), 최치원, 신라의 지성, 한국의 인간상 제5권, 신구문화사
▷ 이헌홍, 최치원전의 전기소설적 구조
▷ 임재해(2000), 설화 자료에 의한 역사연구의 방법 모색, 설화와 역사, 집문당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교육사상가][교육철학자]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정몽주, 조선 교육사상가 이황과 이이, 조선 교육사상가 유형원과 정약용, 근대 교육사상가 남궁억, 이승훈, 안창호
  • ⅰ. 김형효심경호장승구최진덕배병삼, 茶山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ⅱ. 김종문, 율곡의 이기철학 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 철학 연구회ⅲ. 신용하(2005), 한국근대 지성사 연구, 서울대출판부ⅳ. 이우성,(1982) 남북국시대와 최치원, 한국의 역사상, 창작과비평사ⅴ. 정낙찬(1999), 영남학파의 교육사상, 한국교육사학, Vol.21ⅵ. 최익한(1989), 실학파와 정다산, 청년사ⅶ. 황영선(1996), 원효의 생애와 사상, 서울 : 국학자료원

  • 하동지역 문학 답사
  • 생애와 儒佛仙 融合論」,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유학과, pp.8~54, 123.추민정(2005), 「고운 최치원의 한시 연구 : A Study on the Chinese poems of Choe Chiwon」,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3.황의열(1992), 「崔致遠의小攷」, 경상대학교, p.5.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사진자료“고운 영정”, 네이버 블로그 ‘선재선재’,

  • [고전 작가론, 국문학사] 최치원의 생애와 문학
  • 목 차 Ⅰ. 머리말 Ⅱ. 본론1. 최치원의 생애와 사회적 상황1) 최치원의 생애와 사상2) 사회적 상황2. 최치원의 시문학과 그 의의1) 시문학의 양상과 특징 2) 시문학의 의의3. 최치원의 산문과 의의 1) 산문의 양상과 특징 2) 산문의 의의 4. 최치원 작품집 Ⅲ. 맺음말Ⅳ. 참고 문헌 Ⅰ. 머리말 고운 최치원은 신라 한문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최치원은 당나라의 빈공과에 급제한 신라인 중 가장 두드러진 존재였다. 황소의 무릎도 꿇게 했다는

  • [철학]한국철학사
  • 출생, 어려서부터 우주와 인생에 대한 회의를 품기 시 작하였는데, 그의 머리에 가득찬 의문을 한학(漢學)공부로는 풀 수가 없었으므로, 범인(凡人)보다는 높은 차원의 경지에 있는 어떤 대상으로부터 의심의 해답을 얻고자 산상기도와 도사(道士)를 찾는 일에 열중 하였다. 이같은 그의 구도정신은 결국 그를 외부로부터의 문제해결을 포기하고 독자적 수도 고행에 들어 가게 만들었는데, 어떤 일정한 수행법을 택하지도 못한 채 망아(忘我)의 침잠(沈潛

  • [국문학사] 조전초기부터 임진란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소설류
  • 설화자의 이야기로 꾸려져 있는 것과는 달리 인물형상을 생활 속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생활을 현실 그대로의 구체성을 가지고 보다 풍부하고 진실하게 그리고 있는 것이다. 심지어 환상세계에서 벌어지는 사건조차도 그 정황과 인간관계, 인물들의 말과 행동을 실감이 나게 생활적으로 그리고 있는 것으로 하여 독자들이 현실 그것처럼 받아들이게 한다. 셋째, 《금오신화》에 실려 있는 다섯 편의 단편소설을 구성조직의 측면에서 볼 때에도 각각 주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