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평화] 남아공의 핵 개발 위기와 그 폐기 과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9.08 / 2019.12.24
  • 27페이지 / fileicon docx (MS워드 2007이상)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2 핵확산금지 레짐

2.1 핵확산금지 레짐의 전개 과정과 그 구조
2.2 핵확산금지 레짐 이론
2.3 핵확산금지 레짐의 문제점
3 남아공 핵 개발의 원인과 전략
3.1 핵 개발 원인에 따른 일반적 견해

3.2 안보 환경의 변화에 따른 구조적 조건의 변화
3.3 국가적 차원에 따른 핵 개발 동기 원인 분석
3.4 남아공의 핵 개발 전략
4 핵 폐기의 과정과 원인
4.1 핵 폐기의 과정
4.2 핵 폐기의 원인
4.2.1 국제적 수준의 원인

4.2.1.1 안보환경의 우호적 변화

4.2.1.2 국제 사회의 경제 제재 강화
4.2.2 국내적 수준의 동기

4.2.2.1 드 클라크 대통령의 리더십

4.2.2.2 흑인 세력의 사회적∙정치적 부상

4.2.2.3 대외의존적으로 변한 경제구조
5 남아공 사례의 교훈과 적용 가능성
5.1 남아공 사례의 교훈
5.2 북핵 문제와 남아공 사례의 적용 가능성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3.3 국가적 차원에 따른 핵 개발 동기 원인 분석

한 국가의 정책 결정을 조건 짓는 국가적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국가가 처한 사회, 역사적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핵 개발 역시 한 국가의 중요한 정책 결정 혹은 전략의 한 일환이라는 점에서 그 국가가 놓여 있는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그 원인을 제대로 분석할 수 없을 것이다.
남아공의 핵 개발 역사는 조야하게 표현하자면 그들이 고수하였던 인종차별정책의 역사와 같이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남아공의 핵 개발이 본격화 되기 시작하였던 1970년대는 국내외적으로 인종 차별 정책에 대한 비판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던 시기와 일치한다. 또한 그들이 핵 폐기를 했던 시점이 드 클라크 대통령에 의한 개혁 정책의 일환으로 그러한 아파르트헤이드가 폐지되었던 시점과도 일치한다는 점에서 이 정책과 핵 개발이 상호 관련성이 존재함을 드러내주고 있다.
남아공에는 본래 ‘보어인’이라 불리는 네덜란드 출신의 백인들과 예전부터 그 땅에 거주해 온 흑인 원주민들이 서로 공존하고 있다. 이 두 집단의 인종 갈등은 19세기 제국주의의 식민 정책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보다 분명하게 갈등이 표출되었던 시기는 1910년 연방 국가가 창설된 이후 인종차별정책이 시행되었던 때이다.
남아공의 이러한 인종차별정책은 1948년 집권한 국민당에 의하여 더욱 강화되면서 1994년까지 이어지게 된다. 국제 사회는 이러한 차별정책에 대해 UN을 통하여 1962년과 1963년의 ‘결의안 1761’과 ‘남아공에 대한 자발적인 무기 금수조치’라는 제재안을 각각 통과시킴으로써 압박을 가하기 시작하였다. 특히나 비록 안보리 상임 이사국의 거부권으로 시행되지는 않았지만, 1974년에 남아공을 UN에서 축출하자는 결의안은 남아공 사회에 커다란 충격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UN 차원의 경제적 제재와는 별도로 남아공이 실제로 느꼈던 안보적 압박감은 아프리카국가들이 주도하여 1964년에 채택한 ‘루사카 선언’(Lucaka Manifesto)에서 비롯된다. 또한 1971년의 ‘모가디슈 선언’(Mogadishu Delaration), 1977년 강화된 UN의 경제적 압박은 남아공으로 하여금 새로운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에 몰리게 만들었다 .
때문에 인종차별정책과 핵 개발의 시기적 일치는 단순한 우연의 일치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남아공이 핵 개발을 강행했던 이유로는 이 정책으로 파생된 여러 사회, 경제적 비용을 해소하고자 하는 목적이 분명히 존재하였다. 특히나 남아공의 인종 차별 정책이 국제적으로 많은 비판에 부딪히게 되면서, 각종 제재와 압박이 시행됨에 따라 남아공 정부가 느꼈던 일종의 정치적 위기는 예상보다 컸던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이러한 요인이 앞에서 이야기하였던 구조적 요인과 맞물려 인종차별정책의 부담감은 점점 더 커졌던 것으로 추론될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이야기 한 바와 같이 남아공의 핵 개발과 관련한 국제적 제약과 안보 위협은 결정적 요인이라고 이야기 하기에는 곤란한 측면이 있다. 그것은 이러한 인종 차별 정책에 대한 국제적 제약의 이중적 의미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제약이 남아공 경제에 커다란 타격을 입혔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채찍’은 핵 개발을 촉진할 수도 있고 또 억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핵 개발의 진정한 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때문에 인종차별정책에 따른 부담감이 정책 지도자들에게 핵 개발을 유도한 측면은 그들이 그러한 비용을 어떻게 ‘인식’하였느냐라는 문제와 맞물릴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국제적 제약과 맞물린 핵 개발의 정책적 조건과 더불어 남아공의 핵 개발을 가능케 한 요인은 그들이 가지고 있던 우라늄 자원의 풍부함과 이를 핵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핵 기술의 보유였다. 특히나 당시 정책 결정 과정에 관여했던 인물들과 기관들간의 역학 관계는 남아공의 핵 개발을 더욱 촉진하였다. 당시 남아공은 우라늄과 관련한 실무진과 과학자들이 폭넓게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 예를 들어, 당시 그러한 과학자들의 모임이었던 남아공 원자력위원회는 분명 남아공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의 파워를 행사할 수 있는 막강한 힘을 보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당시 핵 개발 계획을 승인한 보타 국방부 장관의 존재 역시 이러한 영향력에 더욱더
참고문헌
김열수. “북한 핵문제 전망: 국제사회의 핵 확산 저지 모델을 중심으로.” 『국제문제연구』 제5권 2호 (국가안보전략연구소, 2005).

김찬규. “국제레짐이론과 핵확산금지레짐: 이라크 및 북한의 핵확산 위기를 중심으로.” 『세계정치경제』 제7호 (세계정치경제연구소, 2000).

노병렬. “핵 확산금지 레짐에 관한 이론적 모색.” 『국방정책연구』 제47호 (한국국방연구원, 1999).

다나카 아키히코, 나카니시 히로시 저. 이웅현 외 5인 옮김•해제. 『콤팩트 국제관계학』 (전략과문화, 2009).

박기덕, 이상현. 『북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세종연구소, 2008).

장성욱.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핵무기 개발 및 해체 사례 연구.” 『동아시아연구』 제 11호 (고려대학교 동아시아교육연구단, 2005).

조동준. “왜 핵무기를 포기할까: 남아공 핵폐기 사례.” 『한반도평화포럼 자료집』 제2회 포럼 (한반도평화연구원, 2007).

조순구. “핵무기 해체사례와 북한 핵의 평화적 관리방안.” 『국가정치논집』 제 45집 3호 (전북대학교, 2005).

Newby-Fraser, A.R. Chain Reaction: Twenty Years of Nuclea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South Africa (Pretoria: Atomic Energy Board, 1979), pp. 36-42: 장성욱 (2005) p. 133.

De Villiers, J.W.; Jardine, Roger; and Reiss, Mitchell. “Why South Africa Gave Up the Bomb.” Foreign Affairs, Vol.72, No.5 (November/December, 1993).

Harris, Verne; Sello Hatang; and Peter Liberman. “Unveiling South Africa's Nuclear Past.” Journal of Southern African Studies, Vol. 30, No. 3 (Sep., 2004).

Liberman, Peter. “The Rise and Fall of the South African Bomb.” International Security, Vol. 26, No. 2 (Autumn, 2001).

Purkitt, Helen E.; Stephen F. Burgess; and Peter Liberman. “South Africa's Nuclear Decisions” International Security, Vol. 27, No. 1 (Summer, 2002).

Sagan, Scott D., and Kenneth N. Waltz,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Norton & Company, 2002)

『뉴스웨이』 (논평) 외교통상부, 2010 NPT 평가회의 결과문서 채택 ‘성공’ 2010년 5월 29일 http://www.newsway.kr/news/articleView.html?idxno=83856 (검색일: 2010년 6월 25일).

http://en.wikipedia.org/wiki/African_National_Congress (검색일: 2010년 6월 24일)

http://www.nti.org/e_research/profiles/SAfrica/index.html (검색일: 2010년 6월 25일).

http://www.state.gov/t/isn/c10390.htm (검색일: 2010년 6월 25일).

http://www.un.org/en/conf/npt/2010/background.shtml (검색일: 2010년 6월 25일).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