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조선시대 가사문학(관동별곡, 사미인곡, 선상탄, 용부가)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8.14 / 2019.12.24
  • 1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 가사 -
Ⅰ. 서론

Ⅱ. 조선 전기 가사
■ 관동별곡 - 정철
■ 사미인곡 - 정철

Ⅲ. 조선 후기 가사
■ 선상탄 - 박인로
■ 용부가 - 작자미상

Ⅳ.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가사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우리는 먼저 가사의 개념이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가사’라는 한자 표기를 어떻게 하는가부터 생각해보자. ‘가’는 ‘歌’라는 한자임은 분명하다. 따라서 가사는 노래라는 말과 연관지어 그 뜻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다음 ‘사’에 대해서는 ‘辭’를 사용한 것과 ‘詞’를 사용한 것이 있다. 두 글자가 모두 사용되었기에 어느 것이 맞고 어느 것은 틀리다고 주장하기는 어렵다. 김광순, 김병국, 김선기 외,《한국문학개론》, 景仁文化社, 1996, p.161.
이에 대해서도 여러 국문학자들의 견해가 있다.
조윤제(趙潤濟)는 “가사(歌詞)는 음악 곡조에 대한 가사와도 혼돈될 염려가 있으니까 가사(歌辭)라는 문자를 쓰고자 한다.” 趙潤濟,《朝鮮詩歌史綱》, 東光堂書店, 1937, p.236.
라고 말했다. 반면 ‘가사(歌辭)’라고 하는 것에 대하여 분명한 반대의 뜻을 밝히지 않으면서 이병기(李秉岐)같이 굳이 ‘가사(歌詞)’로만 사용한 학자도 있었다 李秉岐 ․ 白鐵, 《國文學全史》, 新丘文化社,, 1957, p.107.
. 한편 이혜순(李慧淳)은 노래로 불려지던 임진왜란 이전의 가사는 ‘歌詞’로, 그 이후 노래로 불려지기 보다는 읊어진 가사는 ‘歌辭’로 구분하여 사용하자 李慧淳, <歌詞 ․ 歌辭論>, 서울대 석사논문, 1967, p.25.
고 주장하였다.
가사의 형성 시기는 여말(麗末) 내지는 선초(鮮初)로 보고 있다. 가사의 효시작에도 논란이 있으나, 아직은 현재 발견된 것 중에서 문헌적 근거가 있는 정극인의 <賞春曲>을 효시작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賞春曲>이 가사로서 그 형식이나 내용이 너무 완미(完美)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가사 효시작이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를 나옹(懶翁)의 <西往歌>로 보는 이도 있으며 최근에는 이 西往歌說이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나 원형과 현전본 간의 거리에 대한 고증이 좀 더 필요하다고 본다. 김광순, 김병국, 김선기 외,《한국문학개론》, 景仁文化社, 1996, p.184.

우리는 본론에서 가사를 조선 전기 가사와 조선 후기 가사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조선 전기 가사와 후기 가사를 나누는 기준을 壬辰倭亂 전후(前後)로 잡았다. 조선 전기 가사에서는 松江 鄭澈의 <關東別曲>과 <思美人曲>을 통해 전기 가사의 특징을 알아보고, 조선 후기 가사에서는 朴仁老의<船上嘆>과 <庸婦歌>를 통해 후기 가사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1. 단행본
김광순, 김병국, 김선기 외,《한국문학개론》, 景仁文化社, 1996
趙潤濟,《朝鮮詩歌史綱》, 東光堂書店, 1937
李秉岐 ․ 白鐵, 《國文學全史》, 新丘文化社,, 1957
권일경, 김인봉 외,《18종 문학 참고서》, <고전 운문 문학>, 천재교육
전일환, 「우리 옛 가사문학의 이해」, 제이앤씨, 2008.
홍만종, 「순오지」 번역본, 신원문화사, 2003.

2. 연구 논문
李慧淳, <歌詞 ․ 歌辭論>, 서울대 석사논문, 1967
나병호,「鄭勳 ․ 朴仁老의 詩歌 對比硏究」, 韓南大學校, 1989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문학사] 가사의 발달 -가사장르의 발생과 정착, 가사의 내용과 특징
  • 2005-1 歌辭의 발달(가사장르의 발생과 정착, 가사의 내용과 특징)학과 : 국어국문학과학번 : 이름 : 담당교수 : 발표일 : 5월 3일(화)목 차Ⅰ. 서 론Ⅱ. 본 론1. 명칭과 개념 (1) 명칭(2) 개념2. 기원, 발생시기, 장르문제(1) 기원(2) 발생시기(3) 장르 문제3. 작 가4. 시대구분5. 분류와 내용6. 작품 분석(1) 속미인곡(2) 면앙정가Ⅲ. 결 론※ 참고문헌 및 부록Ⅰ. 서 론가사는 문학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고대민요로부터 향가, 고

  • [고전시가론] 가사문학
  • 가사 595. 풍속가사 636. 애정가사 737. 종교가사 828. 서경가사 909. 참고:시기에 따른 가사작품의 분류 - 94◈ 참고문헌 - 95제 8장 歌 辭Ⅰ. 가사문학의 개관1. 가사의 명칭과 개념가사는 시조와 더불어 조선시대 국문시가의 양대 산맥을 이루

  • [국어국문학] 한국 가사문학 연구
  • 문학, 예술에도 참여하였다는 데에 그 이유가 있다. ≪本 論≫Ⅰ. 가사의 개념Ⅰ-1. 일반론가사는 시조와 함께 조선조 시가문학의 쌍벽으로서 일제시대까지 면면히 창작, 향유되어 온 우리 고유의 문학 장르이다. 현재까지 발굴된 것만도 2000편에 가까우며 규방가사의 이본들까지 합하면 수천 편에 달하여 작품의 수량 면에서 국문학 유산 중 가장 풍성할 뿐 아니라 내용도 다양하기 그지 없다.이러한 가사는 그 명칭이 일정하지 못하여 `長歌(장가),

  • 인문어학 가사의 발달 가사장르의 발생과 정착, 가사의 내용과 특징
  • 시대의 문학으로서 시조․가사가 일어난 것이라고 하여 가사의 발생시기를 정중부의 난을 중심으로 한 중세봉건사회에서 찾았다.넷째, 대부분의 학자들은 고려 말 발생설을 주장하고 있는데, 이들은 한시현토체기원설, 또는 고려장가 기원설을 내세우면서 고려 말 나옹화상의 를 효시로 보았다.다섯째, 조선초기의 발생설인데, 이 역시 많은 학자들이 을 최초의 가사로 보는 것에서 기인한 것이다. 여섯째, 조선중엽 발생설인데, 김

  • 관동별곡 레포트
  • Ⅰ. 서론은 조선 선조 때 송강-정철(鄭澈 1536∼1593)이 지은 가사(歌辭) 문학이다. 가사(歌辭) 시조와 가사는 운율이 유사하여 시조를 단가(短歌), 가사를 장가(長歌)라 부르기도 한다.란 산문적 내용에 운문적 형식을 가진 장편의 노래를 뜻하는데, 조선 전기에는 유교적 이념에 근거한 연군과 자연찬미의 서정적 가사가, 조선 후기에는 실학사상에 근거하여 생활에서 소재를 구한 서사적 가사가 주류를 이루었다. 조선 전기에 지어졌던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