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가의 해석과 현대적 응용에 관한 고찰 -서동요, 모죽지랑가, 헌화가를 중심으로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8.07 / 2019.12.24
  • 1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2. 향가 개론

3. 향가 주요 작품 분석

3.1. 서동요
3.1.1 배경설화
3.1.2 작품 분석

3.2. 모죽지랑가
3.2.1 배경설화
3.2.2 작품 분석

3.3. 헌화가
3.3.1 배경설화
3.3.2 작품 분석

4. 향가의 현대적 문화콘텐츠화의 현황과 기획

4.1. 향가 문화콘텐츠화의 현황

4.2. 영화 기획 - 신라 愛

4.3. 여행 상품 기획 - 향가의 향기(향가 체험)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향가 작품은 지금으로부터 천 년 내지 천 오백년 전에 창작된 한국 고대시가들이다. 고대어에 대한 정보도 많지 않고 당시 우리말을 기록할 문자가 없었기 때문에 그 해독 또한 쉽지 않아 향가 해독은 완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향찰이라는 문자로 우리말의 소리를 그대로 표현하고자 노력하였고, 우리 조상들의 얼이 그대로 살아 숨 쉬고 있기에 역사적, 서사적 가치가 높다. 이러한 향가가 오늘날 문학적으로는 현대시, 소설, 희곡 등으로, 음악적으로는 현대음악, 국악으로 재창작 되는 등 과거의 뼈대위에 현대적 살을 붙여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이러한 현대적 흐름에 맞추어 향가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하고, 현대적으로 문화 콘텐츠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2. 향가 개론

향가는 신라 사람들이 즐겨 창작하고 불렀던 노래 유산을 하나의 장르로 묶어서 부르는 이름이다. 현재까지 남아 전하는 작품은 모두 25수로 『삼국유사』에 14수가 전하고 『균여전』에 「보현십원가」11수가 전한다. 이들은 모두가 신라 특유의 우리말 표기문자인 향찰로 표기되어 있으며, 일정한 격식을 지닌 정형시의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러나 ‘향가’ 라는 명칭과 그 명칭이 포괄하는 개념은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많은데, 이는 곧 향가 장르의 특성과 연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명칭 문제에서 크게 두 의견이 존재 하는데 ‘향가’ 라 보는 입장과 ‘사뇌가’ 로 보는 입장이 그것이다. ‘향가’ 라는 명칭이 우리 노래를 낮추어 부르는 자기폄하의 중세적 관념이 짙게 배어 있는 이름이라는 점과 ‘사뇌가’를 ‘놀애’의 차자표기로 보고 ‘(東 )+(川)’의 노래, 곧 ‘東土의 노래(동방 고유의 노래)’를 가리키는 순 우리말 이름으로 풀이한 것이라는 점을 들어 ‘사뇌가’ 로 부르자는 주장이 우세하였으나 후에 연구를 통해 ‘향가’ 라는 이름이 자기폄하의 의미로서가 아니라 ‘우리 노래’ 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더 큰 설득력을 얻게 되었고 ‘사뇌가’가 ‘향가’와 같은 뜻을 지닌 순 우리말 이름이라는 주장도 사실과 다름이 밝혀지게 되면서 향가와 사뇌가는 동일한 개념 범주를 지닌 ‘향가 = 사뇌가’의 관계가 아니라, 향가 속의 특정한 노래 군을 사뇌가라 지칭하는 ‘향가 ⊃ 사뇌가’의 관계임이 밝혀지게 되어 ‘향가’는 지금처럼 통용되게 되었다.
참고문헌
6.1. 학위논문, 간행물 및 보고서

· 김은수. 水路夫人說話와 <獻花歌>. 한국고시가문학회_ 고시가연구. 제17호. 2006.
· 김정주. 신라향가연구. 조선대학교 출판부. 2003.
· 성기옥 · 손종흠, 『고전시가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6.
· 신동흔. 모죽지랑가와 죽지랑 이야기의 재해석. 관악어문연구. 제15호. 1990.
· 신재홍. 모죽지랑가의 시대 배경과 현실 인식. 국어교육. 제96호. 1998.
· 양희철. 향가 꼼꼼히 읽기<모죽지랑가의 해석과 창작시기>. 태학사. 2000.
· 이도흠. 모죽지랑가의 창작배경과 수용의미. 한국시가연구. 제3호. 1998.
· 이병기. 모죽지랑가의 해독에 대하여. 구결연구. 제21호. 2008.
· 이임수, 『향가와 서라벌 기행』, 박이정, 2007.
· 최용수, 「서동설화와 <서동요>」,『배달말, 제20호』, 배달말학회, 1995.

6.2 Web site

· 궁남지, http://100.naver.com/100.nhn?docid=23899, 2010. 7. 7.
· 모죽지랑가, http://blog.naver.com/leejinoong?Redirect=Log&logNo=20022296516,
2010. 7. 7.
· 모죽지랑가, http://blog.naver.com/ccc192000?Redirect=Log&logNo=40097919663,
2010. 7. 5.
· 보현십원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
=015&aid=0000801061, 2010. 7. 5.
· 불국사, http://www.bulguksa.or.kr/, 2010.7. 7.
· 황매산, http://tour.sancheong.ne.kr/pop/whangmae/whangmae1.asp, 2010. 7. 17.
· 향가, 전시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
=001&aid=0000008181, 2010. 7. 7.
· 헌화가,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b25h0328a, 2010. 7. 5.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향가의 현대적 수용 양상
  • 향가 14수중에서, 〈제망매가〉, 〈서동요〉, 〈처용가〉의 작품분석을 세밀하게 들어가 보고, 이 작품들이 현대에는 어떻게 수용되어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Ⅱ. 향가의 현대적 수용 양상1. 제망매가 향가의 현대적 수용과 변용이 현대 작품에서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여기서는 제망매가(祭亡妹歌)를 분석하고, 여러 견해를 모아 살펴보고 현대시와 소설로의 수용양상을 박제천과 고종석의 작품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 두 작품

  • [국어국문학] 향가의 후대적 수용
  • 목 차Ⅰ. 서론Ⅱ. 향가에 대한 고찰1. 향가의 명칭과 특징2. 향가의 형식과 율격3. 향가의 작품세계Ⅲ. 향가의 후대적 전승 및 수용1. 향가의 범위와 소멸 기준2. 향가계열 고려가요의 작품Ⅳ. 향가의 현대적 수용1. 현대시로의 변용2. 문화콘텐츠로의 변용Ⅴ. 결론Ⅵ. 참고자료Ⅰ. 서론향가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적는 향찰표기에 의해 기록되어 전하는 신라 및 고려시대의 시가를 말하는 것으로, 『삼국유사』에 실린 14수와 『균여전』에 실

  • 삼구육명(三句六名)의 풀이
  • 해석한 견해로 句와 名의 의미를 字의 의미로 해석하는 근거를 제시하면서 향가의 형식을 음수율의 정형시로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 향가 25수가 33調또는 333調의 형식을 가지는지 검증할 경우 예외가 너무 많이 적용되어 통계적으로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시의 형식은 五言과 七言으로 구분하는데, 왜 향가의 형식은 三句와 六名으로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형식에 귀결시키는지에 관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처음으로 향가의 형

  •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읽고요약 정리하시오
  • 고찰되어야 할 여지가 남아있는 것이다. 찬기파랑가, 본가는 현재 향가 가운데서도 그 문학적 향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서 정평이 나있거니와, 본문의 내용을 미루어 보아도 본가의 명성은 당대에도 높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본가의 작자에 대하여는 삼국유사이 충담사라 한 이후 오랫동안 이론이 없었으나, 최근 충담의 본명이 이순이라는 설이 조명된 바 있다. 이에 의하면 충담사란 고유 명사가 아니요 충담지대사란 뜻의 기술적인 요현인 것으로

  • [고전시가작품론] 고대가요 목록
  • 관한 일고찰, 『古典文學硏究』 8, 韓國古典文學硏究會, 1993.柳孝錫, 風月系 鄕歌의 장르性格 硏究, 成均館大 大學院, 국어국문전공 박사학위논문, 1993. 법 성, 『화엄경 보현행원품』, 큰수레, 1993. 손용주, 향가 속의 시각형용사 어휘분석과 의미특징, 『대구어문론총』 11, 대구어문학회, 1993.심주수, 獻花歌와 海歌의 硏究,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1993.楊熙喆, 願往生歌의 解讀釋, 『人文科學論集』 12, 청주대학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