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암그룹의 새로운 시풍(詩風)과 다산 정약용의 현실주의 시세계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7.13 / 2019.12.24
  • 2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암그룹의 새로운 시풍(詩風)
1. 연암그룹 - 백탑시파
1) 연암그룹 - 백탑시파의 관계
2) 형성 배경
3) 백탑시파의 형성
4) 시파활동의 결과물
2. 연암그룹의 시론
1) 사실주의
2) 예술경향 - 전문성과 기취의 추구
3) 개성
4) 표현과 수사의 중시


Ⅲ. 다산 정약용의 현실주의 시세계
1. 다산 정약용의 삶
2. 다산의 세계관과 문학이론
1) 다산의 문학관
2) 조선시 선언
3. 다산의 현실주의 시 - 사회시
1) 조선후기 사회상
2) 다산의 사회시
3) 다산의 사회시가 갖는 문학사적 의의
Ⅳ. 연암그룹과 다산의 차이점에 대해서
Ⅴ. 나오며
본문내용

Ⅲ. 다산 정약용의 현실주의 시세계

1. 정약용의 문학이론

1) 다산 정약용의 삶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조선 후기의 실학을 집대성하며 정치, 경제, 역사, 지리, 문학, 철학, 의학, 군사, 자연과학, 교육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학문을 연구하였다. 다산은 자신이 살던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 조선 사회의 혼란한 사회를 바로 세우기 위해 새로운 질서와 제도들의 주장과 개혁을 그의 600권이 넘는 저술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그는 젊은 시절 정치의 중앙무대에 진출해 정조의 각별한 신임을 받으며 자신의 재능을 마음껏 펼쳤으나, 40세부터 무려 18년 동안이나 귀양살이를 해야 했다. 이 유배 생활 동안 그는 경전 연구와 집필을 통하여 나라와 민족을 구하기 위한 방도를 제시하였다. 18년간의 오랜 유배생활로 불운한 그늘에 덮어져 있었으나 그는 이에 탄식하고 절망하기보다는 자신의 학문적 성과를 이루고 연구를 끊임없이 했던 시기라고 보고 학문에 더욱 정진했다. “젊어서는 학문에 뜻을 두었으나 20년 동안 세상일에 빠져 다시 옛 성왕(聖王)의 큰 도리가 있는 줄을 알지 못하였는데, 지금 여가를 얻게 되었다.”하고 스스로를 위로하며 학문에 전념하고 저술에 힘써 경학과 경세론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학자로서는 가장 방대하고 창의적인 업적을 이루었다. 그는 자신의 시문을 통해 민초들의 고통을 그대로 담아냈다. 유배생활 동안 농민들에 대한 착취와 압제의 실상을 목격하고, 농촌 현실에 근거한 문제의식과 그 해결을 위한 저술에 몰두하였다. 그리하여 유배 초기 육경 사서에 관한 경학연구서 232권의 저술을 마쳤으며 나중에는 󰡔경세유포󰡕, 󰡔목민심서󰡕 등의 저술을 마쳤다. 정병헌, 이지영,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1998, 125면.


2) 다산의 세계관과 문학이론

① 다산의 문학관

다산은 이조후기 실학을 집대성한 학자로 그의 학문과 사상은 실학자로서 특징이 지어진다. 이전까지 다산의 문학론에 대해서는 실학이 성리학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했다고 하여 실학을 성리학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하려하거나 혹은 性理學 대 實學이라는 도식적인 兩分法을 전제로 한 관점으로 인해 쉬이 평가되어왔다. 따라서 오히려 그의 실학관과 문학관을 왜곡시키거나 정약용의 문학론에 대한 역사적 의의 등이 분명하게 내려지지 않았다. 이에 정약용의 문학관을 그의 기록과 성리학자들의 문학관 비교를 통해 면밀히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다산의 문학관은 ‘詩言志’, ‘文以載道’의 명제로 집약될 수 있다.

글이란 道를 싣는 것이며, 시는 뜻(志)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도가 一世를 바로잡고 건지기에 부족하며 그 뜻을 세운 바가 없어 텅 빈 자는 비록 글의 기세가 요란하고 詩詞가 아름답다 하더라도 이는 마치 빈 수레를 몰아 소리를 내고 광대가 風月을 담론하는 것과 같다. 이런 것들이 어찌 전할 만하겠는가? 「西園遺稿序」, 󰡔增補 與猶堂全書󰡕 1(경인문화사 영인, 1981), 267면.


또한 다산 정약용은 시를 道와 志 위주의 궁극적인 합일론 즉, 지적이고 경험적인 성숙이 달성된 고도의 경지에서 훌륭한 문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시란 뜻을 말하는 것이니, 마음에 품은 바 뜻이 본디 낮으면 맑고 고상한 말로 억지로 만든다 해도 이치를 이루지 못하며, 뜻이 본디 고루하면 비록 활달한 말을 억지로 지어낸다 해도 사정에 절실할 수가 없다. 시를 익히면서 그 바탕이 되는 뜻을 살피지 않는 것은 마치 더러운 땅에서 맑은 샘을 구하고 냄새나는 가죽나무에서 그윽한 향기를 구함과 같아서, 종신토록 애써도 이룰 수 없는 것이다. 그러면 어찌해야 하는가? 天人과 性命의 이치를 알고 人心과 道心의 분별을 살펴서, 더러운 먼지와 찌꺼기를 정화하고 마음의 淸眞함을 발현한다면 이로서 가하다. 「爲草衣僧意洵贈言」, 󰡔증보 여유당전서󰡕1. 371면.(‘김흥규, 「정약용의 문학이론」, 󰡔한국 고전문학과 비평의 성찰󰡕,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217면.’에서 재인용)

참고문헌
『古芸堂筆記』
『幷世才彦錄』
『與猶堂全書』
『靑城集』
『靑莊館全書』
『楚亭全書』


논문
안대회, 「白塔詩派의 硏究-李德懋·柳得恭·朴齊家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한국 한시에서의 현실주의 논의 」, 『민족문학사연구』2, 민족문학사연구소, 1992.
오수경, 「18세기 서울 文人知識層의 性向」,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유봉학, 「北學思想의 形成과 그 性格」,『韓國史論』8, 1982.
윤재환, 「茶山 社會詩의 性格 變化 檢討」『한민족어문학』50, 한민족어문학회, 2007.
이기현, 「다산의 사회시 연구-서사적 사회시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제5집, 어 람출판사, 1999.
이용형,「다산 사회시에 관한 고찰」, 한국문화학회, 문화연구, 2002.
이우성, 「實學派의 文學과 社會觀」, 『한국사상대계』Ⅰ, 成大 大東文化硏究院, 1973.
장백일, 「다산 정약용의 문학세계」, 『문학춘추』, 문학춘추사, 1993.
지승종, 「朝鮮前期의 庶孼自分」, 『한국의 전통사회와 신분구조』, 문학과지성사, 1991.


단행본
강명관, 『공안파와 조선후기 한문학』, 소명출판, 2007.
, 『국문학과 민족 그리고 근대』, 소명출판, 2007.
具滋均,『寒國平民文學史』,『國文學論藁』, 박영사, 1966.
김명호, 『박지원 문학 연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1.
김흥규, 󰡔한국 고전문학과 비평의 성찰󰡕,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송재소, 󰡔다산시 연구󰡕, 창작과비평사, 1986.
안대회, 『18세기 한국한시사 연구』, 소명출판, 1999.
오수경, 『연암그룹 연구』, 한빛, 2003.
이우성, 『한국의 역사상』창작과비평사, 1982.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각』, 창작과비평사, 1984,
정민,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 휴머니스트, 2007.
정병헌, 이지영,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1998.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위대한 한국의 위인들A+
  • 시대의 문신, 서화가, 호는 첨재, 표암,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이익, 심사정, 강희언 등과 교유하였으며, 그의 제자로는 김홍도, 신위 등이다. 61세에 처음 벼슬길에 올라 64세에 기로과, 66세에 문신 정시에 장원, 영릉 참봉, 병조 참의, 한성부 판윤 등의 관직을 두루 거쳤다. 시, 서, 화의 삼절로 불리었다. 한국적인 남종 문인 화풍의 정착에 크게 기여했으며, 진경산수의 발전과 풍속화, 인물화 등 새로운 서양화법의 수용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

  • 상상과창조 족보 강의요약본 통합 2021 최신
  • 과 창조인가?자극하라상상과 창조를 통해 변하는 세상- 물음표와 느낌표가 만나 새롭게 창조된 인터러뱅- 인터러뱅이 꿈꾸는 창조의 신세계가 호기심과 궁금함을 먹고사는 물음표의 상상과 경이로움의 감탄을 먹고 사는 느낌표의 창조세계- 물음표와 느낌표 사이의 생각의 빅뱅. 인터러뱅이 살아가고 있다.- 전대미문의 새로운 창조는 모두 생각의 빅뱅을 일으키는 인터러뱅에서 살아간다.- 세상은 물음으로 시작된다- 물음표 ? 궁금거리는 상상

  • [고전문학작가론] 담정, 김려와 문무자, 이옥
  • 2006. 12. 6『 담정(藫庭) 김려(金鑢)와 문무자(文無子) 이옥(李鈺) 』목 차 1. 머리말 2. 담정 김려 3. 문무자 이옥 4. 문학사적 의의 1. 머리말18세기 말 19세기 초 연암 박지원(1737~1805)과 다산 정약용(1762~1863)이 실학사상에 입각하여 ‘실학파 문학’을 성립시켰다면, 실학파 문학과 같은 도저한 사상성은 없으나 나름의 독특한 문학세계를 보여준 일단의 문학그룹이 있었으니, 그들을 ‘담정그룹’이라 불렀다. 담정그룹의 가장 주요한 인물은 이옥(李鈺

  • [국문학사] 조선후기 현실주의 시문학
  • 현실주의적 성과는 한문학의 주류라 할 수 있는 한시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후기의 시문학은 현실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다. 대체로 실학파의 문인을 위시하여 진보적인 문인들은 현실주의적 심미관을 바탕으로 시 창작에 대해서도 새로운 관점을 견지하면서 민족의 현실과 민(民)의 생활에 주목하였다. 예컨대 다산 정약용의“때때로 본 것을 기록하여 시로 엮는다”와 같은 시 창작론이 그렇다. 그리고 낙하생

  • 연암그룹의 새로운 시풍
  • -박제가, 이덕무를 중심으로1. 들어가며2. 연암그룹에 대하여2-1) 연암그룹이란?2-2) 연암그룹 인물 소개2-2.1 박제가2-2.2 이덕무3. 연암그룹의 시풍1. 들어가며조선 후기의 연암그룹은 어떠한 그룹이며, 연암그룹에는 누가 있었는지를 살펴본다. 먼저 현 발표에서 연암그룹이었던 박제가와 이덕무를 집중적으로 다룬 뒤, 뒤의 발표에서 이서구, 박지원, 유득공에 대해 다룬다. 그리고 그들을 통하여 연암그룹의 시풍은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