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외교정책결정론] 김정일의 권력기반 강화와 북한의 남북한 UN동시가입 결정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6.23 / 2019.12.24
  • 18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I. 서 론
II. 김정일의 ‘조선민족제일주의’ 주창과 국제적 정통성 확보
III. 김정일과 함께 등장한 신진관료들의 국제관 반영
IV. 김정일의 경제적 영도력 강화와 대외 경제협력 기반 조성
V. 결 론
본문내용
1991년 북한의 남북한 UN 동시가입 결정은 남북한이 국제 사회에서 상대방의 존재를 인정하였다는 측면에서 남북관계의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북한이 UN에 가입함으로써 국제사회의 당당한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하여 대 UN 외교, 대 서방외교 노선에서 큰 변화를 예상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 이는 오랫동안 고수하던 정책에서 벗어나 급격하게 노선을 변경하는 북한 외교정책 결정의 일면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한편 복합적 요소가 크게 작용하는 현대 외교 정책 결정의 배경을 알아볼 수 있는 연구 사례로서 가치가 있으며, 이 사례를 통하여 분단국 외교의 일면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북한이 남북한 UN 동시가입을 결정하게 된 요인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1991년 남북한 UN 동시가입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남북한의 UN 가입이 앞으로의 남북관계에 미칠 영향과 국제법적 차원의 위상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한편, 북한의 남북한 UN 동시가입 결정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대외적 요인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80년대 후반 탈냉전 상황 및 동구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 등과 같은 구조적 차원의 분석이 대부분이고 남한의 북방정책에 대한 작용으로 일어난 결정이라는 대외적 요인에서 원인을 찾고 있는 것이다. 전자의 대표적인 연구는 方貴澈, 「南·北韓 UN同時 加入이 韓半島統一에 미치는 影響」(서울: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993) ; 방인걸, 「북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부산: 한국해양대 석사학위논문, 2006) ; 崔禹淳, 「한국의 유엔 외교에 관한 연구 : 남북한 동시가입을 중심으로」(광주: 조선대 박사학위논문, 1994) 등이 있고, 후자의 대표적인 연구는 崔善用, 「南北韓 對UN政策:UN加入과 交叉承認을 中心으로」(서울: 국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崔龍守, 「韓半島 統一을 위한 國際的 環境에 관한 연구」(서울: 東國大 行政大學院, 1992) 등이 있다.
북한은 정부 수립부터 소련-중국으로 대표되는 공산권의 테두리 안에서 국가가 운영되어 왔기에 이러한 연구들의 논점이 요인 분석에 있어서 상당 부분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 북한은 ‘우리식 사회주의’의 주창과 추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그동안 북한의 대외 정책 간섭을 하던 사회주의 진영의 붕괴로 인하여 자율적 정책 결정의 기회를 가지고 있었기에 북한 내부적 측면에서의 원인 규명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 國土統一院 南北對話事務局, 『유엔加入問題 關聯 第2次 南北韓 實務代表接觸 會議錄』, (서울: 國土統一院 南北對話事務局), 1990.
- 남북회담사무국, 『남북대화 제51~55호』, (서울: 통일원), 1992.
- 문화체육부 편, 『김정일의 문예관 연구』, (서울: 문화체육부), 1996.
- 民族統一硏究院, 『北韓體制의 變化 : 現況과 展望』, (서울: 民族統一硏究院), 1991.
- 북한연구실 편, 『북한 유엔가입선언의 영향과 정책변화전망』, (서울: 통일연구원), 1991.
- 통일부, 『북한의 주요인물』, (서울: 통일부), 2004.
- 통일원 정보분석실, 『월간 북한동향 1991년 9월』,(서울: 통일원), 1994.
- 한국일보, “북한 연형묵 총리 뉴욕도착(UN소식)”, 『한국일보』, 1991년 9월 9일자 4면 기사
- 강호제, 『북한 과학기술 형성사 I』, (서울: 선인), 2007.
- 권오윤, 『현실 사회주의 북한』, (서울: 청목출판사), 2007.
- 기무라 미쓰히코 자, 김현숙 역, 『북한의 경제: 기원·형성·붕괴』 (서울: 혜안), 2001.
- 김근식, 「17. 남북한 UN동시가입」,『통일․남북관계 사전』(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4.
- 김창희, 『북한정치사회의 이해』(서울: 법문사), 1998.
- 김형원, 「<남북기본합의서> 이행방안」, 『高友經濟』 56호 (서울: 高麗大學校經濟人會), 1998.
- 方貴澈, “南·北韓 UN同時 加入이 韓半島統一에 미치는 影響”, (서울: 경희대 석사학위논문), 1993.
- 방인걸, “북한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부산: 한국해양대 석사학위논문), 2006.
- 서대숙, 『현대북한의 지도자-김일성과 김정일-』, (서울: 을유문화사), 2000.
- 서재진, 『또 하나의 북한사회』, (서울: 나남), 1995.
- 신효숙, 「북한사회의 변화와 고등인력의 양성과 재편 (1945~1960)」, 『현대북한연구』 8권 2호, (경남: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5.
- 양문수, 『북한경제의 구조 : 경제개발과 침체의 메커니즘』, (서울: 서울대출판부), 2001.
- 오일환․정순원, 『김정일시대의 북한 정치 경제』,(서울: 을유문화사), 1999.
- 윤여운, 『(키워드로 읽는)북한경제』,(서울: 비봉출판사), 2003.
- 이영훈, 「경제개발전략」, 『북한의 국가전략』,(파주: 한울아카데미), 2003.
- 이온죽, 『북한 사회의 체제와 생활』, (서울: 법문사), 1993.
- 이재승, 『북한을 움직이는 테크노크라트-북한권력의 실세』, (서울: 일빛), 1998.
- 전영선, 『다시 고쳐 쓴 북한의 사회와 문화』 (서울: 역락), 2006.
- 전현준, 『북한의 강성대국 건설 실태 평가 - 사상, 정치, 군사 분야를 중심으로』, (서울: 통일연구원), 1999.
- 전현준, 안인해, 이우영, 『북한의 북한의 권력엘리트 연구』,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2.
- 정철현, 『북한의 문화정책』, (서울: 서울경제경영), 2008.
- 崔善用, “南北韓 對UN政策:UN加入과 交叉承認을 中心으로”, (서울: 국방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9.
- 최성, 『북한정치사-김정일과 북한의 권력엘리트』, (서울: 풀빛), 1997.
- 崔禹淳, “한국의 유엔 외교에 관한 연구 : 남북한 동시가입을 중심으로”, (광주: 조선대 박사학위논문), 1994.
- 탁용달, "3대혁명소조운동에 관한 연구 : 사회-경제적 변화를 중심으로", (서울: 동국대학교), 2004.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정치외교] 미-북 제네바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 북한을 남한처럼 민주화시키기 위하여 경제개혁을 지원하는 절차를 우선시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은 북한을 아시아 개발 은행, 세계은행, 국제통화기금 등 국제기구에 가입토록 도와주는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반면 북한은 역으로 미국의 이러한 정책을 그들의 대미교섭과 한․미 이간전략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런 북한의 외교는 ‘벼랑 끝 외교(binkmanstishp)’라고 특징지을 수 있다.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의 민주화 정책에 대해 어느 정도 유

  • [중국정치] 중국의 정치적변화와 전망
  • 권력기반을 공고화함으로서 전임자들과 같은 반열에서 평가받을 수 있는 지도자로 남고 싶어한다. 모택동 사후 27년, 등소평 사후 6년 가량이 지난 지금의 중국은 경이적인 경제발전, 내치, 체면과 국익을 동시에 추구하는 공세적이고 실리적인 외교수완, WTO 가입과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유치성공과 같은 국제적인 위상강화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렇다면 과연 중국은 어떠한 나라인가? 중국은 어떻게 움직이는 체제인가? 중국의 앞날은 어떻게

  • [북한]북한정세와 한국의 안보상황
  • 북한정세와 한국의 안보상황목 차Ⅰ 서 론 Ⅱ 북한정세와 한국의 안보상황1. 북한의 정치와 한국의 안보상황2. 북한의 외교전략과 6자회담전망3. 북한의 사회정세와 우리의 안보4. 북한의 경제정세변화와 남북경제협력방향5. 북한의 군사정책변화와 우리의 안보6. 북한의 정보전쟁실태와 대책7. 북한의 과학기술8. 남북한 군비통제방향과 국가안보Ⅲ 결 론Ⅰ. 서 론냉전의 시대가 끝난 이후의 국제정세는 과격이슬람주의자들의 미국 본토에 대

  • [북한사회] 북한의 군사
  • 정책1. 정책기조2. 특징3. 선군정치4. 군사 정책의 결정 및 집행기구5. 김정일과 북한군6. 북한의 군수산업Ⅱ. 인민군1. 인민군의 형성과 특징2. 징집과 제대3. 군사 교육4. 군계급Ⅲ. 군사력1. 정규군2. 비정규군3. 전략무기Ⅳ. 북한의 대외정책1. 북한의 대외 환경의 변화2. 북한의 외교정책 방향 3. 북한의 외교실태 4. 대남 관계의 변화 5. 북한의 대남 도발6. 북한의 대남 전략7. 북한군 작전계획 Ⅴ. 참고자료1. 북한의 군사용어2. 남북한 전

  • [동북아 국제관계사] 북핵실험과 한반도국제관계
  • 외교전술’이라는 극단적인 일탈행동을 서슴지 않았다. 실제로 북한은 뜻대로 금융제재 해제가 관철되지 않자, 미국의 ‘대조선 압살정책’을 맹비난하며 2006년 7월 5일 대포동 2호를 포함한 미사일 실험 발사를 감행했으며, 이로 인해 오히려 유엔은 물론 미국과 일본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압박이 더욱 강화되자 10․9 북핵 실험이라는 초강수의 카드를 꺼내들었다. 한마디로 북핵 실험의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김정일 정권의 통치자금 『한겨레』, 200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