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철학과 교육(분석적 교육철학)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6.10 / 2019.12.24
  • 11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분석철학
A) 분석철학의 등장 배경
B) 분석철학의 발달 과정
1) 실재론의 전통
2) 논리 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
3) 언어분석(Linguistic Analysis)
C) 분석철학의 의의와 한계점

2. 분석철학과 교육 (분석적 교육철학)
A) 분석적 교육철학의 주요 내용 및 특징
B) 분석적 교육철학자 ‘피터스’
1) 피터스의 교육관
2) 피터스가 정의한 교육개념
3) 피터스의 업적과 영향
4) 피터스의 한계
C) 분석적 교육철학과 교사의 역할
D) 분석적 교육철학의 의의 및 한계
1) 분석적 교육철학의 의의
2) 분석적 교육철학의 한계

3. 분석철학이 우리나라 교육에 주는 시사점
A) 수월성 교육을 중심으로
B) 공교육과 사교육을 중심으로
C) 교사의 의미와 역할을 중심으로

Ⅲ. 결론
본문내용
B) 분석철학의 발달 과정

1) 실재론의 전통

실재론은 분석적 운동의 시초라고 보기는 힘들지만 분석 운동의 조류를 가장 먼저 마련했다는 의의가 있다. 대표적 학자 무어(G. E. Moore)는 ‘사실, 감각 경험의 일상세계(Ordinary world)에 분석적 운동이 뿌리 내려야한다’라고 주장했으며 러셀(Bertrand Russell)이 ‘구체적인 사실을 논리적, 질서적, 체계적으로 취급하는 과학적 방법’이라고 말한 점에서 실재론이 분석적 운동의 방향과 큰 유사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무어는 지금까지의 철학자들이 우주, 인간, 과학 상식에 대해서 한 말들에 대해 석연치 않음을 느꼈다. 왜냐하면 그들이 독립적인 감각의 대상과 인간의 감각작용을 혼동하고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즉 그들이 자신들의 감각작용을 통해 해석한 것과 실제의 독립적인 감각의 대상의 괴리를 꼬집은 것이다. 무어는 일상 언어에 초점을 두어, 그것은 일상적인 세계를 다루므로 우리가 조우하는 사실문제, 실생활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는 상식에 대한 옹호, 일상 언어에 대한 분석으로 이어지게 된다. 쉽게 사용하는 언어를 보다 정확하게 구별하려고 했던 것이다. 러셀은 무어보다 정밀과학에 가깝고 정확한 용어를 필요로 하는 형식적, 논리적 분석을 발전시켰다는 평을 받는다. 그는 과거의 많은 철학자들은 본질적으로 상이한 부분, 문제들을 취하여 그것을 ‘위대한 해답(great answer)', 'block system'으로 종합하려 한 것이 혼란을 가져왔다고 보았다. 러셀은 그것과는 달리 한 번에 하나의 문제를 취하여 각각의 문제를 가장 최소 부분들로 분석함으로써 의미의 명료성과 정확성을 획득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분자적 진술과 원자적 진술을 제시하였는데 설명하자면, 분자적 진술을 원자적 진술(원자적 사실 ; 사실에 다 해당한다고 봄)로 분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실재론자들이 주장하는 독립성의 원리 받아들인 것으로 볼 수 있다.

2) 논리 실증주의(Logical Positivism)

논리적 실증주의는 실증원칙(the Principle of Verification)아래 ‘어떠한 명제도 그것이 형식적인 토대(논리나 수학) 위에서 입증될 수 있거나 아니면 경험적 또는 감각자료의 토대 위에서 입증될 수 있기 전에는 의미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 입증되기 전의 것은 부분적, 감성적, 동기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명제로써 분석적 명제(항상 참인 명제), 종합명제(사실에 따라 참일 수도, 거짓일 수도 있음), 분석적 명제도 종합명제도 아닌 것(과학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분석철학자들의 비판대상)을 제시했다. 즉, 그들은 형이상학을 배격한 것이다. 대표적 학자로는 비트겐슈타인(초기 견해), 아이어, 에른스트 마흐(Ernest Mach), 모리츠 슐릭(Mauritz Schlick), 루돌프 카르납(Rudolph Carnap)등이 있다. 비트겐슈타인은 경험적인 실증에 그의 입장을 뿌리박지 않았기 때문에 완벽히 논리 실증주의의 면모를 보인다
참고문헌

뉴턴 가버 저, 조성우 역(1998). 데리다와 비트겐슈타인. 민음사.
박만엽(2008). 비트겐슈타인 수학철학. 철학과현실사.
R.수터 저, 남기창 역(1998). 비트겐슈타인과 철학. 서광사.
엄정식(2003). 비트겐슈타인의 사상. 서강대학교출판부.
분석철학연구회(1984). 비트겐슈타인의 이해. 서광사.
서광선 외(1997). 비트겐슈타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죠지 핏처 저, 박영식 역(1990).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서광사.
솔 A. 크립키 저, 남기창 역(2008). 비트겐슈타인 규칙과 사적 언어. 철학과현실사.
남경희(2005). 비트겐슈타인과 현대 철학의 언어적 전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쿠르트 부흐테를 저, 최경은 역(1999). 비트겐슈타인. 한길사.
레이 몽크 저, 남기창 역(2000).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천재의 의무)1,2. 문화과학사.
마르틴코헨 저, 김성호 역(2007). 비트겐슈타인의 딱정벌레. 서광사.
K.T.판, 황경식 외 역(2002).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이란 무엇인가. 서광사.
존 M. 히튼 저, 전대호 역(2002). 비트겐슈타인과 정신분석. 이제이북스.
요하임 슐테 저, 김현정 역(2007). 비트겐슈타인(주어캄프 세계인물총서 5). 인물과사상사.
크존히튼 저, 류현 역(2008). 비트겐슈타인(하룻밤의 지식여행 51). 김영사.
신셰한 저, 김종승 역(2004). 30분에 읽는 비트겐슈타인. 랜덤하우스중앙.
박해용(2006). 비트겐슈타인이 들려주는 언어 이야기. 자음과모음.
레이 몽크 저, 김병화 역(2007). How to Read 비트겐슈타인. 웅진지식하우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저, 이영철 역(2006). 논리 - 철학 논고(비트겐슈타인 선집 1). 책세상.
대학교재편찬위(2006). 철학에의 초대. 비사원.
한국분석철학회(2000). 21세기와 분석철학 : 분석철학의 회고와 전망. 서울 : 철학과 현실사.
황필호(1984). 分析哲學과 宗敎. 서울 : 종로서적.
황필호(1996). 서양종교철학산책 : 기독교, 해방신학, 비트겐슈타인, 분석철학. 서울 : 집문당.
말목강박 저, 정위섭 역(1994). 분석철학입문. 학문사.
배리 R.그로스 저, 문정복 역(1990). 분석철학:사적개관. 형설출판사.
J.O.엄슨 저, 이한구 역(1989). 분석철학:양차 세계대전 사이의 발전 과정 (현대철학시리즈 3). 종로서적.
마이클 코라도 저, 곽강제 역(1986). 분석철학 (그 전통과 쟁점들). 서광사.
볼프강 스테그뮐러 저, 이초식외 역(1995). 현대 경험주의와 분석철학 Hauptstromungen der Gegenwartsphilosophie. 고려대학교출판부.
박이문(1990). 현상학과 분석철학. 일조각.
George D. Romanos 저, 곽강제 역(2002). 콰인과 분석철학 (언어에 관한 언어) Quine and analytic philosophy : the language of language. 한국문화사.
M.K.뮤니츠 저, 박영태 역(1997). 현대분석철학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서광사.
버트런드 러셀 저, 이성규 역(1999). 러셀 수상록(범우문고 176). 범우사.
김귀성(2001). 현대교육사상. 학지사.
김정환(2003). 교육철학. 박영사.
도널드 팔머 저, 남경태 역(2005). 참을 수 없이 무거운 철학 가볍게 하기1 (철학 들여다보기). 현실과과학.
스티븐 툴민 저, 석기용 역(2005). 빈, 비트겐슈타인, 그 세기말의 풍경. 이제이북스.
크리스티앙 들라캉파뉴 저, 조현진 역(2006). 20세기 서양 철학의 흐름. 이제이북스.
이윤일(2002). 현대의 철학자들. 선학사.
김형석(1999). 한권으로 보는 서양철학사 100장면. 가람기획.
박병철(2003). 비트겐 슈타인. 이룸.
새뮤얼 이녹 스텀프 저, 이광래 역(2004). 소크라테스에서 포스트모더니즘까지 Socrates to Sartre and beyond : a history of philosophy. 열린책들.
윤용아(2007). 존재의 철학자 하이데거VS 의미의 철학자비트겐슈타인. 숨비소리.
박의수(1999). 교육의 역사와 철학 (증보개정판). 동문사.
폴스트래던 저, 구영모 역(1997). 비트겐슈타인-철학이 끝난 곳에서 시작한 철학. 펀앤런북스.
신상규(2004). 비트겐슈타인 「철학적탐구」(철학 텍스트들의 내용 분석에 의거한 디지털 지식 자원 구축을 위한 기초적).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한국분석철학회 편(1991). 비트겐슈타인과 분석철학의 전개. 철학과현실사.
수잔프롬(1988). 칸트 대 비트겐슈타인. 동국대학교출판부.
노만 멜컴 저, 류의근 역(1987). 마음의 문제:데카르트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서광사.
P.M.S. 해커 저, 전대호 역(2001). 비트겐슈타인(궁리필로소피 8). 궁리.
박영식(1998). 비트겐슈타인 연구. 현암사.
앤서니 케니 저, 김보현 역(2001). 비트겐슈타인. 철학과현실사.
크리스 벳첼 저, 안정오 역(2000). 비트겐슈타인. 인간사랑.
정영목(2000). 비트겐슈타인. 시공사.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교육학 교육의 철학의 기초
  • 교육학개론-목차-< 서론 > 1. 교육철학의 정의 및 개념 1) 교육철학의 어원적 정의2) 일반적인 교육철학에 관한 정의2. 교육철학의 기능 1)분석적 기능2)평가적 기능3)사변적 기능4) 통합적 기능< 본론 > 3. 현대 교육철학의 사조 1) 20세기 전기의 교육철학-진보주의-본질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 2) 20세기 후기의 교육철학-실증주의-분석철학-비판이론-구성주의-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 결론 > 4. 현대 교육철학의 탐구

  • 분석철학과 교육이론에 대한 영향
  • 1. 분석철학이란?2. 교육이론에 대한 영향3. 평가 : 교육철학에서의 공헌 및 한계점분석철학과 교육이론에 대한 영향

  • 교육철학의 성격 - 교육에 관한 지식과 교육사상, 교육이론과 교육실제, 전통적 교육철학과 분석적 교육철학
  • 교육철학의 성격 - 교육에 관한 지식과 교육사상, 교육이론과 교육실제, 전통적 교육철학과 분석적 교육철학목차교육철학의 성격I. 교육에 관한 지식과 교육사상II. 교육이론과 교육 실제III. 전통적 교육철학과 분석적 교육철학교육철학의 성격1. 교육에 관한 지식과 교육사상교육사상이란 인간이 교육에 관해 지니고 있는 생각의 총체를 말한다. 그러나 특정한 인물을 대상으로 하여 00의 교육사상이라고 할 때는 사회 일반의 생각과는 다른 특

  • 현대 교육사상 미국의 현대 교육사상
  • 교육사상에서 현재 교육풍토에서 비인간화 현상, 학생소외의 해결책을 봤다. 교사가 학생의 과거, 현재, 미래가 있는 역사적 존재, 인격이 있는 존재로 바라보고 대한다면 청소년 일탈같은 부적응 행동의 예방과 해결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제 3장 분석철학과 교육분석교육철학자는 모든 과학과 일상적 지식 명제의 의미를 분석적 방법을 통하여 엄밀하게 밝히는 방식으로 사고를 방해하는 언어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

  • [교육철학] 교육철학의 성격과 기능
  • 교육철학의 성격과 기능1. 교육철학의 개념교육철학이란 교육에 관해 전체적이고 보편적이며 궁극적인 것이고, 인간 형성에 관한 사상의 경제이며 통합적 사고이다. 즉, 교육철학은 단적으로 말해서 교육이라고 부르는 경험의 영역에 대해서 철학적 방법과 견해를 적용하는 일이다. 그런데 철학이란 인간 경험에 관한 사상의 경제이며 통합적 사고이다. 또 교육이란 인간이 인간 발달을 의도적으로 지도하며 인도하는 과정이고, 교육학은 인간 형성을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