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W.부시 정부의 신군사전략과 동북아 안보정책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4.16 / 2019.12.24
  • 3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3,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미국의 대외정책 기조와 군사전략 변천
1. 대외정책 기조
2. 군사.안보전략의 연대별 변천
1) 60년대: 1.1/2전쟁
2) 70년대: 스윙전략(swing strategy) 전쟁
3) 80년대: 동시다발전쟁 전략
4) 90년대: 윈-윈(win-win) 전략
5) 2000년대: 윈-홀드-윈(win-hold-win) 전략
3. 9.11 테러와 ‘부시 독트린’

Ⅲ. 냉전의 종식과 클린턴 정부의 동북아정책
1. 전략인식의 전환: 군사안보에서 경제안보로
2. 클린턴 정부의 군사전략과 동북아 미군주둔정책
1) BUR(Bottom-Up-Review)
2) 1997 QDR 보고서(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3) 동아태지역안보보고서(EASR)
4) 랜드(RAND)보고서와 동북아 주둔미군
5) Joint Vision 2020 보고서

Ⅳ. 부시 행정부의 군사전략전환과 동북아 정책
1. 부시 정부의 군사안보우선론 복귀
2. 부시 정부의 신 군사안보 전략
1) ‘국방전략검토(DSR)'
2) 2001 QDR 보고서
① 보고서 주요내용
② 1997 QDR과 2001 QDR의 차이
③ 2001 QDR과 한반도
3) 미사일방어(MD)체제
4) 핵태세검토보고서(NPR)
5) 2002 국방부 연례보고와 ‘국가안보전략(NSSU)'
6) 대량살상무기대응전략(NSCWMD)과 대통령작전명령(NSPD)-17
3. 부시 정부의 동북아 안보정책
1) 아태지역에서의 미국의 국가이익
2) 부시 정부의 동북아 중시정책
① 동북아정책과 중국위협론
② 한반도 정책
3) 미국의 신 군사전략과 동북아 주둔미군 재조정 가능성
① 미군 재조정 가능성
②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차이와 연계성
③ 미국의 신 군사전략과 동북아 주둔미군의 위상

Ⅴ. 맺는말
본문내용
Ⅰ. 서론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새로운 안보전략은 빌 클린턴 행정부의 안보.국방 정책을 비판하면서 등장했지만 어느날 갑자기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크게 보면 부시 행정부의 안보전략도 1990년대 탈냉전이라는 세계사적 흐름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국제정치적 상황과 안보 여건에 적응해 나가는 과정에서 성립된 일련의 원칙과 그 연장선상에 서 있다.
탈냉전기 미국 국가안보전략의 윤곽이 처음으로 제시된 것은 1993년 레스 애스핀 국방장관 때의 ‘국방태세의 전면적 재검토(BUR: Bottom-Up Review)’를 통해서였다.
베를린장벽의 붕괴와 동구 공산국가들의 몰락(1989),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시작된 지역 패권국가들의 부상과 지역분쟁의 확산(1990), 소련 해체와 민주화(1991) 등, 가히 세기말적 격변을 겪으면서 국제 안보환경은 급변의 물살을 타게 되었고, 따라서 새로운 안보개념과 대응이 요구되기에 이르렀다. 특히 탈냉전기의 괄목할 만한 안보상의 변화로는 소련의 대규모 핵공격 및 재래식 공격이라는 전 지구적 위협이 사라진 대신 소위 불량국가(rouge state)들에 의한 핵 및 생화학무기의 확산, 지역 패권국가들의 부상 및 인종, 종교 갈등, 구소련을 비롯한 권위주의 국가들의 민주화 시도 좌절 등을 들 수 있다.
BUR을 바탕으로 1997년과 2001년 각각 작성된 ‘4년주기 국방기획서(QDR: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와 ‘동아태지역안보보고서(EASR. 1998년 11월)’, 1999년 백악관이 공개한 국가전략방향 지침서인 ‘새 세기를 위한 국가안보전략(A National Security Strategy for a New Century)’ 그리고 ‘랜드(RAND)보고서(2001년 5월)’, ‘합동전망 2020(Joint Vision 2020. 2001년 5월)’ ‘핵태세검토보고서(NPR: Nuclear Posture Review. 2002년 1월)’ ‘대량살상무기대응 국가전략보고서(NSCWMD. 2002년 12월)’ 등을 통해 미국의 안보전략은 더욱 구체화된다. 이러한 일련의 공식 보고서를 통해 추출할 수 있는 미국의 장기전략 중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미국 세계전략의 핵심은 첫째, 미국의 국가안보를 확보하고, 둘째, 미국의 경제적 번영을 지속하며, 셋째, 전세계에 민주주의와 인권의 향상을 확산시킨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 중 국가안보를 위한 구체적 전략으로서는 크게 국제안보환경을 미국에 유리하도록 조성하고(Shape), 위협과 도전에 적절히 대응하며(Respond)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한다( Prepare)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안보전략의 수립은 탈냉전기의 국제체제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참고문헌
길정우,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방안: 포괄적 논의를 위한 시론”, 통일연구원 제29차 국내학술회의『한반도 냉전구조 해체방안(Ⅰ)-장기․포괄적 접근전략』발표논문, 1999년 2월26일자
김일영.조성렬, 『주한미군 역사 쟁점 전망』, 한울아카데미, 2003.
보스워스,“북 위협 사라지면 미군주둔 재론 가능”,『주간동아』, 2000년 6월 15일자.
손영선, “부시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한국의 안보”, 제1차 영남 아메리칸 센타 주최 세미나, 2001년 6월1일자.
손인섭, “21세기 국제질서의 변화와 통일환경”, 『통일문제 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1.
이장희, 『평화통일을 위한 한미군사관계의 법적 조명-한미행정협정개정을 재촉구하면서』,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 1998.
이철기,“주한미군을 평화유지군으로 바꿔야”,『신동아』,2000년 1월호.
정옥임, “QDR과 한반도”, 『정세와 정책』, 세종연구소 2001-11.
정항석, 『미국 패권의 이해』, 평민사, 2002.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주한미군의 현재와 미래”,『정책토론회 결과보고서』,1999년 9월.
Bandow, Doug. Tripwire: Korea and U.S. Foreign Policy in a Changed World, Cato Institute, 1996.
---, "Old Wine in New Bottle: The Pentagon's East Asia Security Strategy Report", Policy Analysis No.344, May 18, 1999.
Harrison, Selig S. "Time to Leave Korea," Foreign Affairs, March/April, 2001.
---, Korean Endgame: A strategy for Reunification and U.S. Disengagement,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Laney James and Shaplen Tason. How to Deal With North Korea," Foreign Affairs,March/April, 2003.
Oberdorfer, Don. The Two Koreas: A Contemporary History, 2001.
Rice, Condoleezza, "Promoting the National Interest," Foreign Affairs, Vol. 79, NO.1(January/February 2000), pp. 45-62.
Richard Armitage, Kurt M. Champbell, Robert A. Manning, Joseph S. Ny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dvancing Toward a Mature Partnership, National Defense University, Oct 11, 2000.
Ricks, Thomas E. "For Pentagon, Asia Moving to Forefront", The Washington Post, May 26, 2000.
Rumsfeld, Donald H. Security of Defense, Annual Report to the President and Congress, Department of Defense, 2002.
Department of Defence, Quadrennial Defense Review Report, September 30, 2001.
---, The United States Security Strategy for the East Asia-Pacific Region, 1998.
---, Nuclear Posture Review, Submitted to Congress on 8 December 2002.
National Defense Panel, Transforming Defense : National Security in the 21 Century, December 1, 1997
The Joint Chiefs of Staff, Joint Vision 2020, May 30, 2000.
US-ROK Joint Communique, 32nd Republic of Korea-United States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 Joint Communique , September 25, 2000.
White House, A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Engagement and Enlargement, 1994
---, National Strategy to Combat Weapons of Mass Destruction, December 2002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미국의 대외전략과 중미관계의 변화
  • 전략의 개념이었던데 반해 2002년 핵태세검토보고서는 핵 공격 가능 대상을 명시하며 필요시 예방공격 차원으로 핵 선제 타격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지역 내 국가 간 안보적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동북아시아에 대해 미국은 안보 중점을 강화했다. 서옥식, 2004, 조지W. 부시 정부의 신 군사전략과 동북아안보정책 9.11 테러 직후 발표된 4개년 국방전략검토보고서(QDR)는 해외 배치의 중심을 기존의 유럽에서 태평양으로 옮긴다는 내용을 담

  • 북한 미사일에 따른 대북정책의 변화와 지금까지의 경과
  • 조지 부시(George W. Bush)후보가 승리함으로 인해 클린턴의 방북계획은 무산되고 말았다. 뿐만 아니라 그해 1월에 부시대통령이 새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미국의 대북한정책은 전면적인 재검토와 수정을 받게 된다. 북 미간 미사일 회담의 전개과정클린턴 정부는 지속적인 대북포용정책의 일환으로 1994년 북한과 제네바 핵합의를 도출해 낸 데 이어 1995년 KEDO와 북한간에 경수로 공급협정이 타결됨에 따라 일단 북한의 핵개발에 대한 안전장치를 확보했

  • 미국의 대북전략
  • 정책에 기반한 `매파적 관여` 정책을 펼쳐왔다. 특히 재집권 후에는 북한의 인권 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문제 삼고 국민을 굶기는 정권의 무능력을 강조하면서 체제 및 정권변환을 주창하여왔다.부시 행정부는 미국의 세계 패권 유지를 대외정책의 기본목표로 설정하고 미국의 국익을 확보하기 위한 힘의 외교를 추구하고 있다. 특히 세계 유일의 초강대국으로서 군사력의 절대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MD체제 구축을 안보전략의 제1목표로 제시하고

  • 해외주둔 미군 재배치계획 GPR의 한국 안보정책에 의함의
  • 전략 환경의 변화에 따른 미국의 신안보정책에 닿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에서는 9․11테러 이후 미국이 세계에서의 패권을 유지․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구상하여 실천에 옮기고 있는 신안보정책의 주요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신안보정책의 일환인 해외주둔미군재배치계획이 한국의 안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전망해 보며, 이에 대한 우리의 대응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 살펴보기로 한다.Ⅱ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신안보정책2001년 1월 20

  • 부시행정부의 패권주의, 부시행정부의 9 11테러(9 11사건), 부시행정부의 이라크침략, 부시행정부의 대량살상무기억제, 부시행정부 APEC정상회담, 부시행정부 QDR(4개년국방보고서), 부시행정부 정책평가
  • 조지 W 부시의 제국주의 정책1) 부시의 이라크 정책의 성패 전망2) 조지 W 부시가 부산 아펙에서 노리는 것3) 동북아 평화를 위협할 아펙Ⅶ. 부시행정부의 QDR(4개년국방보고서)Ⅷ. 부시행정부의 정책평가1. 미국의 탈냉전적 동아시아 관여질서의 모색2. 관여정책의 미국내 제약요인3. 관여정책과 일본 군사화의 역설4. 미중일 상호포용구조로의 행진5. 다자간 안보협력의 맹아Ⅸ. 결론참고문헌Ⅰ. 서론미국의 이라크 침공은 3월 20일에 이루어진 것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