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량분석] 내신성적과 수능이 대학진학 및 대학성취도 선행지표에 주는 영향력 비교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3.18 / 2019.12.24
  • 14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의 검토

1. 국내 선행연구

2. 국외 선행연구

III. 자료 및 분석모형

1. 분석대상과 자료

2. 분석모형 및 변수

IV. 내신성적과 수학능력시험성적의 영향력 분석

1. 각 변수의 기술통계량

2. 내신성적과 수능성적이 대학입학에 주는 영향력 분석

3. 내신성적과 수능성적이 대학성취도 선행지표에 주는 영향력 분석

V. 연구의 함의 및 한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2. 국외 선행연구

대학성취도에 관한 연구에 있어서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대학성취도의 정의라고 할 수 있다. 과연 대학성취도라는 것이 어떠한 외부적 잣대(졸업률, 성적, 취업률 등)로 평가되는 것인지 아니면 내부적 잣대(만족도, 성취감, 효능감 등)로 평가되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하고 절대적인 답은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기존 연구에서도 대학성취도 또는 대학에서의 성공여부를 다양하게 정의 하고 있으며 국외 연구에서는 주로 중도탈락, 내신성적(gpa), 그리고 자기 만족도를 그 지표로 사용한다.
우선 중도탈락과 그 영향요인을 설명하는 연구들은 주로 다음의 2가지 모델을 다룬다. 첫 번째 모델은 Tinto(1987)의 Student Integration Model로서 환경적 요소들이 학생의 중도탈락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며 두 번째 모델은 Bean(1982)의 Model of Student Departure로 그는 학생과 학교의 적합성(fit)을 중요시 한다. Cabrera et al.(1992)은 이 두 가지 모델을 합쳐야지만 대학교 중도탈락을 설명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중도탈락의 영향요인으로는 입학생의 학업성취도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다 (Ishler & Upcraft, 2005). 그리고 학업성취도는 곧 고등학교 내신 성적, 대학입학시험 성적(SAT)으로 측정되기에 일련의 연구들은 고등학교 내신 성적과 SAT 점수로 중도탈락율을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예: Astin, 1993; Pascarella & Terenzini, .1991). 한편으로, Schwartz & Washington(1999)는 SAT점수의 중도탈락율의 예측능력이 고등학교 내신점수보다 낮다는 결론을 짓기도 했다. 이 외에 Tinto(1987)은 공부시간이 중도탈락율과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였다.
일부 연구들은 내신성적을 대학성취도의 지표로 활용했다. Spitzer(2000)은 대학 내신 성적의 영향요인으로 학생의 학구적 효능감(academic efficacy), 자제력(self-regulation), 그리고 사회적 지지도 (social support)을 언급하며 이러한 요인들이 내신성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추측한다. Victor(1996)는 SAT점수가 대학내신성적의 변동을 설명하는 능력이 다른 요소들을 고려했을 때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보였으며 Linn(1989) 또한 대학입학시험이 대학교 1학년의 성적변동의 20%밖에 설명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Rothstein(2004)도 SAT 점수의 대학 내신 성적 예측능력의 대부분은 SAT 점수와 고등학교 특성의 높은 상관관계 때문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Ting & Robinson(1998)은 고등학교 내신성적, SAT 총점, SAT 언어 점수, SAT수학 점수 외에 38개의 인구학적·사회심리학적 요인 중 고등학교 내신성적이 대학교 내신성적을 가장 잘 예측한다는 결과를 보였다. 또 Wolfe & Johnson(1995)도 SAT 총점, 고등학교 내신평균과 32개의 성격요소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교 내신평균이 대학교 성적을 가장 잘 설명하고 그 다음으로 자기관리능력(self-control)과 SAT 총점을 꼽았다. 하지만 Ting & Robinson(1998)의 연구에서도 고등학교 내신성적의 이러한 기능은 인종, 성별, 장학금 수혜여부에 따라 그 정도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Fischer(2003)는 학생들이 고등학교에서 대학교로 옮겨가는 일종의 과도기를 거치면서 만드는 사회적, 학구적 관계들이 대학 성적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Fischer(2003) 또 대학성취도를 성적 외에 학생의 만족도로도 측정하며 학생의 만족도 역시 대학에 적응하는 기간 동안 만드는 사회적, 학구적 관계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Dewitz & Walsh(2002)도 대학성취도를 만족도로 측정하고 있으며 자기효능감과 만족도가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일부 연구들은 위에서 언급한 대학 성취도를 한 가지 척도로 정의하는 어려움을 감안하여 여러 척도들을 혼합해서 사용한다. 예를 들어 Hoffman & Lowitzki(2005)는 학교활동 참여도, 내신 성적, 중도탈락율, 그리고 만족감을 모두 대학성취도의 지표로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인종적, 종교적 소외배경의 학생들의 경우 SAT 점수 보다 고등학교 내신 성적이 훨씬 대학 성취도를 잘 설명한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Tross et al.(2000)의 연구에서는 3가지 심리학적 요소, SAT 점수, 고등학교 내신 중 성실함(conscientiousness)이 대학 성적을 가장 잘 예측하고 중도탈락율과 직접·간접적 관계가 있는데 비해 고등학교 내신성적과 SAT 점수는 중도탈락율을 전혀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선행연구결과들을 고려할 때 김지하·정동욱(2007)의 연구는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사용하는 중도탈락율과 대학 내신성적이 아닌 대학생활만족도, 강의태도, 공부시간을 대학성취도의 선행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이는 기존의 연구들이 대학성취도를 외부적
참고문헌
김상호(1995).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고등학교 내신성적과 대학학업성적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소논문집. 10, 91-111
신정철·정지선·신택수(2008).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그 영향요인들 간의 인 과관계 분석. 교육행정연구소. 26(1), 287-313
이상권·김완섭(1999). 수학능력시험 및 학교생활기록부의 성적특성에 따른 대
학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S전문대학 세무회계과를 중심으로. 세무회계연구. 6, 137-155
이종승(2001). 충남대학교 신입생의 입학성적과 대학성적 간의 관계분석. 학 생생활연구. 28, 1-22
탁수연·박영신·김의철(2007).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관련 변인의 관계 분석. 아 동교육. 16(1), 143-154


Astin, A. W. (1993).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y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Bass.
Bean, J.P. (1982). Conceptual Models of Student Attrition: How Theory can Help the Institutional Researcher. Studying Student Attrition, edited by E.T. Pascarella. San Francisco: Josey-Bass.
Cabrera, Alberto F., Maria B. Castaneda, Amaury Nora, and Dennis Hengstler. (1992). The Convergence between Two Theories of College Persistence. Th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3(2):143-164.
Dewitz, S.J. & Walsh, W.B. (2002). Self-Efficacy and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0(3): 315-326.
Fischer, M.J. (2003). The Ties that Bind: How Connections Made During the College Transition Affect College Outcom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Atlanta Hilton Hotel, Atlanta, GA.
Hoffman, John & Lowitzki, Katie. (2005). Predicting College Success with High School Grades and Test Scores: Limitations for Minority Students.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28(4): 455-474.
Ishler, J.L.C. & Upcraft, M.L. (2005). The Keys to First-Year Student Persistence. In M.L. Upcraft, J.N. Gardner &ㅠ.O. Barefoot(Eds.), Challenging and Supporting the First-year Student (pp.27-46). San Francisco, CA: Jossey-Bass.
Linn, R.L. (1989). Educational Measurement. The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Macmillan Series on Higher Education.
Pascarella E.T., & Terenzini, (1991)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San Francisco: Jossey-Bass.
Rothstein, J. (2004). College Performance Predictions and the SAT. Journal of Econometrics 121(1-2): 297-317.
Schwartz, R.A. Washington, C.M. (1999), Predicting Academic Success and Retention for African American Women in College.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and Practice 1(2): 177-191
Spitzer, T.M. (2000). Predictors of College Success: A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Age Students. NASPA Journal 38(1): 82-98.
Ting, S.R. & Robinson, T.L. (1998). First-year Academic Success: a Prediction Combining Cognitive and Psychosocial Variables for Caucasian and African-American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9: 5 99-610.
Tinto, V. (1987).Leaving College: Rethinking the Causes and Cures of Student Attrition. Chicago, Il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Tross, S., J. Harper, L. Osher, L. Kneidinger. (2000). Not Just the Usual Cast of Characteristics: Using Personality to Predict College Performance and Retention.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41(3): 323-334.
Victor, K.J. (1996). Prediction of Academic Success in a High-risk Collegiate Population.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57(3-A): 1022.
Wolfe, Raymond & Johnson, Scott. (1995). Personality as a Predictor of College Performanc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5(2): 177-185.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교육학 서브노트
  • 및 학습활동에 대한 선택권 부여㉢ 학생의 능력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보상과 피드백 제공㉣ 목표달성을 중시하는 협동학습 활용㉤ 좋은 성적을 얻는 것보다 노력과 학습전략 강조(자기비교평가 유도)(4) 애킨슨의 기대×가치이론① 정의 : 성공기대와 과제가치가 곱한 값만큼 동기가 높아진다고 보는 동기이론② 요인㉠ 성공기대에 영향을 주는 요인ⓐ 목표 - 목표가 구체적이고 단기적일수록 과제성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 과제난이도 - 과제

  • 고교평준화 레포트
  • 성적과 고3 모의수능고사 성적을 비교해 3년 간의 학력변화를 분석한 바 있다. 결과는 고교평준화 정책이 학생들의 전체 학력 변화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현재 경기도교육청은 한국교육개발원에 의뢰해 안양 부천 고양 분당 과천 군포 의왕 등 7개 지역에 대한 평준화실시 타당성 조사에 들어갔다. 특히 그동안 논란이 된 학력저하 문제를 다시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앞으로 평준화 실시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 연

  • 이력서&자소서 면접족보
  • 분석(전공적성).pdf입시119 (http://cafe.daum.net/ipsi119)구술논술 대표브랜드심층 면접 실전 분석 1.나 전공적성 학업적성 . ( )전공적성 평가는 말 그대로 과연 수험생이 자신이 지원한 학과 혹은 학부에서 학문을 이수할 구체적 자격조건을 갖추었는가를 평가하는 제도이다 고려대학교가 제시한 입시자료에 .따르면 전공적성 혹은 학업적성 평가는 수험생이 지원한 모집단위와 관련하여 고등학생 , ( ) “수준에서 기본이 되는 지식을 갖추었는지 습득한

  • 특수목적고(특목고)와 자립형사립고 설립 허용 입장과 반대 입장의 비판적 검토 및 논쟁
  • 대학 측의 입학전형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여 볼 때 외고에서 학생을 모집할 때 어학 영재 양성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성적 우수 학생 유치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특목고를 진학하는 학생들 역시 그 분야에 대한 적성이나 특기보다 대학 진학을 염두에 둔 선택을 하고 있다.그렇다면 굳이 특목고를 존속시킬 이유는 없다. 입시 명문고가 필요하다는 의미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동일계 전형의 원칙을 지키라

  • 교육기획과 정책
  • 비교육 등 10개 부문을 다루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각급 학교별 교육계획에서는 중등교육 및 대학교육에 우선순위를 둔다. 특히 계획기간 초기부터 대학원교육을 혁신강화한다. - 교육내용별 교육계획에서는 과학기술교육에 우선순위를 둔다. - 교육계획 기간 중 산업 인력의 효율적 양성을 위하여 학교의 실업교육과 산업체의 직업 훈련 체제를 분화하여 함께 강화한다. - 각종 교육공학적 방법, 기구, 자료와 그 활용 체제를 개발보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