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한문학론] 허난설헌의 작품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1.27 / 2019.12.24
  • 1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6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머리말

Ⅱ. 허난설헌의 생애

Ⅲ. 허난설헌의 작품

1. 꽃답고 즐거웠던 시절
2. 외롭고 쓰라린 나날
3. 이렇게 한번 살고 싶었건만
4. 세상은 나 홀로 사는 곳이 아니니
5. 아름다운 꿈속의 신선 세계
6. 스물일곱 송이 붉은 연꽃

Ⅳ.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Ⅱ. 허난설헌의 생애

본관은 양천(陽川). 본명은 초희(楚姬). 자는 경번(景樊), 호는 난설헌으로 조선 명종 18년(1563) 강릉 초당리에 있는 집에서 태어났다. 허난설헌의 고향인 강릉 지방은 예부터 태백산맥의 정기를 받아 큰 인물이 많이 태어났다고 한다. 아우 허균도 자신이 강릉에서 태어난 것을 자랑스러워하며, '강릉부는 산과 물의 아름다움이 우리나라에서 제일이며, 산천이 정기를 가지고 있어 비상한 인물들이 많이 태어났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의 부친 초당 허엽(許曄; 1517-1580)은 화담 서경덕과 퇴계 이황의 제자였으며, 청렴결백한 대학자로 정3품인 대사간을 거쳐 대사헌에까지 오른 인물이었다. 허엽은 서평군(西平君) 한숙창(韓叔昌)의 딸 청주 한씨와 결혼하여 장남 성(筬), 우성전 부인(禹成傳夫人), 박순원 부인(朴舜元夫人) 3남매를 두었다. 첫 번째 부인과 사별하자 그는 강릉 김씨와 재혼하였는데 바로 난설헌의 생모다. 강릉 김씨는 봉(篈), 난설헌, 균(筠)의 3남매를 낳았다.
그의 첫째오빠 허성(1548-1612)은 일본에 다녀와 임진왜란이 일어날 것을 당파의 이익을 떠나 소신대로 보고한 지조 있는 학자로 이조판서에 오른 인물이다. 둘째오빠 허봉(호 河谷; 1551-1588)은 천재적 재능을 지닌 문장가로서 난설헌에게 많은 학문적 지도와 격려를 주었으며 특별히 난설헌과의 우애가 매우 깊었다. 동생 허균(1569-1618)은 누이의 학문과 시에 대해 대단한 자부심을 가져 누이의 천재적 재능을 자신의 저술 속에 여러 차례 언급하여 두었다. 현재 남아 있는 『난설헌집』과 그에 관한 몇몇 자료는 허균에 의해 보존된 것들로, 우리가 허난설헌의 시들을 만나볼 수 있음은 전적으로 허균의 공로이다.
참고문헌
․ 김성남, 『허난설헌』, 동문선 , 2003
․ 김명희, 『허난설헌의 문학』, 집문당, 1987
․ 이경혜, 『스물일곱 송이 붉은 연꽃』, (주) 알마, 2008
․ 이숙희, 『허난설헌시론』, 새문사, 1987.
․ 이종찬 ․ 엄기중 외 22명,『조선시대 한시 작가론』, 이회문화사, 1996
․ 장정룡, 『허난설헌 평전 : 불꽃같이 짧은 생애의 찬란한 시문학』, 새문사, 2007.
․ 장진, 「허난설헌론」 , 『한국어문학연구 동악어문논집 』제 12집, 한국어문학연구학회, 1980.
․ 정대림, 「허난설헌 연구」, 『국어국문학』제 93권, 국어국문학회, 1985.
․ 한성금, 「허난설헌의 한시에 드러난 작가의식 연구」, 『고시가연구 통권』제 12집, 한국고시가문학회, 2003.
______,「허난설헌 한시의 미학」, 조선대 대학원, 2006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문학사 정리 (고대, 중세, 근대 문학)
  • 한국 문학의 중요 사상이다. Ⅵ. 근대문학의 여명 (갑오~삼일)1894년 갑오경장 이후부터 1910년대까지를 개화기라 하고, 이 시기의 문학을 개화기 문학이라 한다. 이 시기는 새로운 문명을 향한 변혁과 함께 민족자존의 수호 또한 중요한 시대적 과제였던 만큼 애국기, 계몽기라 부르기도 한다. 개화기 문학은 서양 문학뿐만 아니라 우리 고전 문학의 전통을 이어받아 형성되고 근대 문학으로 변이해 가는 데 교량적 구실을 하고 있다. 이 시기의 문학은 봉

  • 허난설헌과 이매창을 통한 조선 중기 여성 작가층의 신분에 따른 비교
  • 허난설헌 시론, 새문사, 1987허경진, 허난설헌 시선, 평민사, 1987김명희, 옛 문학의 비평적 시각, 태학사, 1997김명희, 허난설헌의 문학, 집문당, 1987허미자, 허난설헌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1984김미란, 매창론 한국문학작가론 현대문학사 1991김민성 매창전집 고글, 1998김지용 이매창론 한국문학작가론 형설 1986이신복 매창의 시 문학 한국의 한문학3 민음사 1991허경진 매창시선 평민사 1986허미자 이매창연구 성신여자대학교 1988이혜순 외, 한

  • [고전문학사] 조선전기 한문학의 전개- 한시를 중심으로
  • , 그것이 바로 방외인(方外人)문학이다.방외인문학은 주로 당대 사회 현실과 모순을 비판하고 작품에서 이상적인 자아를 실현하고자 했던 특징이 있다※ 참고문헌조동일․서종문 공저, 『국문학사』,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200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3.손종섭, 『옛 시정을 더듬어』, 정신세계사, 2001.정 민, 『한시미학산책』, 솔출판사, 2005.이민홍, 『조선전기 한문학의 맥락』문병수, 『조선전기의 한시연구』

  •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한국 한시의 발달과정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서술하시오
  • 한국 한시 가운데 한국적 정조(情調)를 가장 짙게 표출해낸 것이 특색이다. 다섯째는 김립시(金笠詩)류의 희작(戱作) 한시들로서 한시 본래의 형식과 품격을 대폭 파괴하고 삶을 해학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이 다섯 가지 작품군이 조선 후기 시사의 전개 양상을 특징적으로 보여주나 그렇다고 이것들이 전부는 아니다. 방대한 작품을 남긴 신위의 다채로운 작품 세계, 성령론적(性靈論的) 시관에 입각한 김정희(金正喜)의 시세계 등도 있다.한편 서울의

  •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한시를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분류하고 각각의 시체(詩體)가 가지는 성격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한국한문학사, 보성문화사이병주(1983) 한국한시의 이해, 민음사윤인현(2011) 한국 한시 비평론과 한시 작가 작품론, 다운샘송재소(2011) 한국한시작가열전-송재소와 함께 읽는 우리 옛시, 한길사심경호(2011) 한시의 서정과 시인의 마음, 서정시학김상홍(2003) 한시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사윤용식, 손종흠(2010) 한국한문고전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김학주(2008) 중국문학사, 신아사손종섭(2005) 다시 옛 시정을 더듬어-한국 역대 한시 평설, 태학사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