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 임나일본부에 관한 일본측 입장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4.07.13 / 2019.12.24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est1est2est3est4est5 1(구매금액의 3%지급)
  • 1,1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머리말

2.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학계의 견해

3. 강상파부의 ‘기마민족정복국가설’
1) 사료적 측면
2) 고고학적 측면

4. 맺음말
본문내용
1. 머리말
임나일본부설이란, 왜가 4세기 중엽에 가야지역을 군사 정벌하여 임나일본부라는 통치가관을 설치하고 6세기 중엽까지 한반도 남부를 경영하였다는 학설을 말한다. 쓰에마쓰(末松保和)에 의해 집대성된 이 주장은, 이후 이노우에(井上秀雄)와 기토(鬼頭靑明), 야마오(山尾辛久) 등에 의해, 전반적으로 그 범위와 시기가 축소․변형되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지만, 기본적인 큰 틀은 지금까지도 면면히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한 임나일본부의 변형적인 학설 중에 하나가 앞으로 얘기할 에가미 나미오(江上波夫)의 ‘기마민족정복국가설’ 인데, 이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내용을 담고있는지를 통해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학계의 연구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기마민족정복국가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들어가기에 앞서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학계의 전반적인 견해를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다.

2. 임나일본부에 대한 일본학계의 견해
日本에서 任那日本府에 대한 최초의 연구가 시작된 것은 에도시대말기에 국학운동이 일어나면서 고전에 대한 연구가 활기를 띠면서부터로 볼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실질적인 임나연구는 明治이후로 日本의 조선침략이 점차 구체화, 본격화되면서 함께 추진되었다.
쓰다(津田左右吉)에서 정리되기 시작한 일본의 한반도 진출설로써의 임나일본부는 쓰에마쓰(末松保和)의 『任那興亡史』(1956)로 구체화되었다고 볼수있으며 그의 학설은 아직까지도 일본학계의 기본기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보아도 별 무리가 없는 것이다.
쓰에마쓰는 일본의 임나경영이라는 전제하에 『日本書紀』의 기사들을 토대로 任那가 경상남도전역, 전라북도전역에 걸치 는 일본의 식민지라고 주장하며 그 위치의 비정에 심혈을 기울였다.
임나일본부에 대한 다른 설로 江上波夫의 騎馬民族說이 있다. 그는 일본의 彌生시대에서 古墳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이 이해가 가지 않을 정도로 급속하고 그 내용이 이질적이여서 자체적인 발전으로 볼수 없다는 생각에서 기마민족설을
참고문헌
․이기동, 「騎馬民族說에서의 韓․倭 聯合王國論 批判」,『韓國史市民講座』11, 일조각, 1992.
․최병현, 「고고학적으로 본 가야와 일본의 관계」,『韓國史市民講座』11, 일조각, 1992.
․김태식, 「가야사연구의 현황」,『韓國史市民講座』11, 일조각, 1992.
․천관우, 「한국사에서 본 기마민족설」,『가야사연구』, 일조각, 1991.
․노태돈, 「騎馬民族日本列島征服說 대하여」, 『한국학보』5, 일지사, 1976.
․김정배, 「한국에 있어서의 기마민족 문제」, 『한국고대의 국가기원과 형성』, 고려대학교 출판부, 1986.
․연민수, 「임나일본부론」,『고대한일관계사』, 혜안, 1998.
․김태식, 「고대 한일관계 연구사-임나문제를 중심으로」
자료평가
  • 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
  • gg
  • q***
    (2005.12.06 16:09:35)
회원 추천자료
  • 임나일본부 고대 한일관계 임나일본부란 야마토 왕권 파견설 백제 파견설 제왜 파견설 기마민족 정복설
  • 임나일본부상은 80년대 전반까지는 계속된다. 유물적 근거로 중국의 고서 『송서』를 근거로 삼아 비판을 시작하였고, 유물적 근거를 넘어 다양한 학설이 제기된다.근거-송서“贊死,弟珍立,遣使貢獻。自稱使持節、都督倭百濟新羅任那秦韓慕韓六國諸軍事、安東大將軍、倭國王。”4.일본측이 주장하는 임나일본부의 근거(파견주체를 중심으로)그동안 ‘임나일본부와 한일관계‘에 관한 조사는, 한국, 일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한국

  •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특징,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주장,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근거, 수정적 입장,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문제점,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논쟁 분석
  •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주장Ⅳ.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근거1. 일본서기1) 주요 내용2) 자료의 문제점2. ꡔ송사ꡕ 왜국전의 관작수여기사1) 주요내용2) 자료의 문제점3. 칠지도 명문1) 주요 내용2) 자료의 해독과 문제점4. 광개토왕비Ⅴ.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수정적 입장Ⅵ.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문제점Ⅶ. 임나일본부(임나일본부설)의 논쟁1. 임나일본부설에 내포된 정치적 의도1) 제국주의적 침략의 정당화2) 한국

  • [임나일본부설] 임나일본부설의 연구와 형성, 다양한 임나일본부설과 임나일본부설의 근거, 비판 및 임나일본부설의 치명적 결함 분석
  • 임나에 일본부를 두고 삼한 또는 한국을 통제하였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은 에도시대의 모토오리노리나가같은 국학자들의 조선경영설을 거쳐, 근대의 일본이 천황주권국가를 표방하던 20세기 초에 칸마사토모, 쯔다소우키치, 이케우치히로시 등에 의해 확립되고, 1949년의 쓰에마츠야스카즈의 임나흥망사에 의해 완성되었다. 1945년 일본의 패전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 말까지 일본고대사 연구의 통설적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었다. 가야의 왜

  • [한국사] 임나일본부설
  • Ⅰ. 서론 - 임나일본부에 대하여1. 임나일본부의 어의(語義)2. 임나일본부설 이란?3. 임나일본부설이 문제가 되는 이유와 사료해석의 유의점Ⅱ. 본론 - 임나일본부에 대한 주장1.일본측 학설- 출선기관설(出先機關說)- 가야의 왜인설(加耶의 倭人說)- 외교사절설(外交使節說)2.북한측 학설3.한국측 학설- 백제군사령부설(百濟軍司令部說)4.사료적근거로 보는 임나일본부설의 설과 그 반박- 송 서 - 일본서기- 목라근자- 목라근자와

  • [임나일본부설, 일본의 역사왜곡] 임나일본부설 분석
  • 임나의 지배권이 어디에 있었는지를 알 수 있게 됐다면 新撰姓氏錄에서는 大和政權의 임나지배의 계기와 지배체제성립의 기원을 알 수 있다. 즉 역설적으로 말하면 원래 백제의 속국이었던 임나가 어떤 경위로 대화 정권의 속국처럼 묘사되었는지를 알 수가 있는 것이다.新撰姓氏錄 吉田連條大春日朝臣同祖 觀松彦香 稻天皇 분孝昭 皇子天帶彦國押人命四世孫彦國 命之後也 昔磁城瑞籬宮御宇御間城入彦天皇御代 任那國秦曰 臣國東北有三己汶地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