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민속문화] 설화속 신화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10.01.13 / 2019.12.24
  • 36페이지 / fileicon ppt (파워포인트 2003)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7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설화란?
2. 한국신화의 종류
3. 단군신화 원문
4. 단군신화의 해석
5. 단군신화의 역사적 진실
6. 단군신화와 스토리텔링
7. 세계의 신화 비교
8. 결론
본문내용
설화란?

신화 : 신이 등장하는 자기민족내에서 신성시되고 진실시되는 이야기

전설 : 영웅이 주인공이고 고정된 증거물이 있음

민담 : 평범한 인물이 주인공이고 누구에게나 흥미를 줄 수 있기때문에 국가와 민족을 넘어서 전승되는 특징이 있음


한국신화의 종류

건국신화(왕조신화)

성씨시조신화(가계신화)

당신화(촌락신화)

무속신화


단군신화의 원문

古朝鮮(王儉朝鮮) (고조선(왕검조선))
魏書云(위서운)。
乃往二千載有壇君王儉(내왕이천재유단군왕검)。 
立都阿斯達(입도아사달)(經云無葉山(경운무엽산)。亦云白岳(역운백악)
在白州地(재백주지)。或云在開城東(혹운재개성동)。今白岳宮是(금백악궁시) 
開國號朝鮮(개국호조선)。
與高同時(여고동시)。古記云(고기운)。 
昔有桓因(謂帝釋也)庶子桓雄(석유환인(위제석야)서자환웅)。
數意天下(수의천하)。貪求人世(염구인세)
父知子意(부지자의)
下視三危太伯可以弘益人間(하시삼위태백가이홍익인간)。
乃授天符印三箇(내수천부인삼개)。遣往理之(유왕리지)。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문학사] - 바리공주의 문학사적 의의 고찰
  • 한국인의 삶 속에 긴밀하게 관여하여 민속 문화를 일구어온 뿌리이다. 무가를 문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할 때, 무가는 무속이라는 전승배경을 떠나서 독자적 분류가 바람직하며 따라서 문학 장르별 분류가 요구된다고 본다. 무가 속에는 서사장르도 있고 희곡장르도 있으며 서정장르도 있고 교술장르도 있다. 이 가운데 이야기의 짜임새를 갖춘 것이 있는데, 이를 서사무가라 한다. 서대석은 서사무가의 장르적 기원은 신화의 기원과 일치할 것이

  • 인문어학 페미니즘 관점으로 본 삼공본풀이
  • 한국무속학 제 23집. 2011.『신화의 세계』, 박정혜, 심치열.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5.『우리신화의 수수께끼』, 조현설. 한겨례출판. 2006. 『디지털제주문화대전』 http://jeju.grandculture.net/Contents/Index?contentsid=GC00701020 『제주 여성 신화 이야기』, 김정숙. 웹진 이프. 2011.『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김미숙. 한국구비문학회. 2007. 『제주무속신화에 나타난 도덕질서』, 강봉수. 제주도연구 제24집. 2003.『여성들은 더 주체적이 되었나』,

  • 고전문학 교육론 사회적 삶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시집살이 노래를 중심으로
  • 속에 담긴 사회적 배경과 형성 과정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발표문을 준비하면서 한 생각은 많았는데 그 내용을 충분히 적지 못했고, 또 생각도 많이 부족해서 아쉬운 점이 많다. 하지만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본 것만으로도 교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의미있는 일이었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 수업교재, 2003.․『한국 구비문학 교육사』, 김기창, 집문당, 1992.․「구비문학 교육 현실의 진

  • [국문학] 무가, 설화
  •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303쪽다음의 내용들은 국문학개론 책 11장 설화(說話)를 중심으로 설화(설화 전체, 신화, 전설, 민담)의 개념과 특징 및 형식 등의 설화 논의에 있어 기저가 되는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2. 무가2-1. 무가의 개념무가는 넓은 의미의 무가와 좁은 의미의 무가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넓은 의미의 무가는 무속의례에서 중요한 요소로 ‘굿’할 때 가창되는 ‘무가’와 독경할 때 구송되는 ‘무경’을 의미한다. 좁은 의미의 무가

  • 금오신화(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연구
  • 신화』와 우리나라 민간설화 사이의 관련, 다시 말해 『금오신화』가 ‘민속적’ 사유와 신앙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나려시대 전기소설의 전통이 계승․발전 되는 과정에 『금오신화』가 창작되어 한국 전기소설의 질적 비약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나. 『금오신화』가 성립된 15세기 후반을 전후한 시기에는 ‘패관문학’이 아주 성행했다. 당시 민간의 언어와 사유, 민속적 관념과 신앙은 지배층의 언어, 지배층의 문화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