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화의 이해]高麗의 唐樂과 鄕樂(俗樂)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4.05.28 / 2019.12.24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est1est2est3est4est5 1(구매금액의 3%지급)
  • 1,3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고려의 鄕樂과 鄕樂呈才
1.1. 고려시대의 鄕樂曲
1.2. 고려의 鄕樂呈才
2. 고려의 唐樂과 唐樂呈才
2.1. 고려시대의 唐樂曲
2.2. 고려의 唐樂呈才
3.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의 구성 비교
본문내용
통일신라의 멸망 이후 고려에 전승된 신라의 음악문화는 鄕樂과 唐樂이라는 두 주류로 요약될 수 있다. 통일 신라음악의 두 주류 가운데 우리 민족의 음악문화인 향악은 당대의 음악문화인 당악보다도 줄기차게 고려에 전승되었음이 문헌사료에 의해서 확인되며, 신라의 향악을 전승한 고려 향악의 전통은 멸망 이후 조선시대에 잘 계승되었다.
향악이라는 용어는 삼국시대 신라에서 향토색 짙은 지방음악의 총칭으로 쓰였으며, 통일신라에는 우리의 민족음악 및 우리나라에서 이미 수용된 외래음악을 두루 포괄하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한편 1123년(仁宗 1) 고려를 방문한 徐兢의 『高麗圖經』 및 『宋史』에서도 향악이라는 말은 중국음악인 당악의 대칭어 곧 우리 민족음악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鄭麟趾 등 조선초기 유학자들은 향악 대신에 俗樂이라는 용어를 『高麗史』樂志에서 사용하였다. 비록 『高麗史』樂志에서 속악이라는 용어가 쓰였지만, 『高麗史』의 다른 기록에서 鄕樂·鄕唐樂·鄕樂交奏라는 용어들이 많이 사용되었음을 상기할 때, 유독 樂志에서만 속악이라고 쓴 것은 아마도 慕華思想에 젖었던 정인지 등의 유학자들이 禮樂思想의 핵심으로 여겼던 雅樂의 대칭어로서 향악 대신 우리음악을 낮추어 부른 속악이라는 용어를 선택한 결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송방송, 『고려음악사연구』, 일지사, 1988
자료평가
  • 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
  • 과제할때 자세히 나와있어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한자가 많은데 뜻이 나와있지 않아 조금 해석하기 어려웠습니다.
  • genie7***
    (2016.12.05 18:53:46)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상대시가-가사부전시가
  • 고전시가강독, 예지각, 김종원. 1996고전시가선, 김기동. 박기준, 교학연구사 1984한국의 고전시가, 임기중, 이회문화사향가와 고려가요, 김완진, 서울대학교출판부정읍사 풀이에 따른 가설, 한국언어문학, 김동기,1973고가요집, 한국문학사, 홍기문, 1996북방문학자료(중국연변) 고대가요 고대한시,이해산, 1991, 대제각지방문학사, 조동일, 서울대학교출판부,2003한국고전시가연구, 이규호, 새문사, 2004중보고려시대의가요, 이성주저, 민속원, 1998전북

  • [고전시가론] 가사부전시가
  • 高麗史, 文獻備考『高慮歌謠 美學的 硏究』李光雨 1982.p137 학위논문(석사)『百濟文學의 硏究』安東抂 1992 학위논문(석사)『高慮詩歌의 硏究』 김학성 p 120『국문학신강』(국문학신강편찬위원회 저, 새문사, 1985.『삼국유사』 옮긴이:김원중 을유문화사(2002) 『韓國文學槪說』 한국문학편찬위원회 편, 형설출판사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지식산업사 『국문학통사』 장덕순, 신구문화사(1979) 「兜率歌와 新羅初期의 歌樂」 허남춘, 李佑成先生

  • 가사부전시가 - 주요 작품 도솔가, 회소곡, 물계자가, 우식악
  • 高麗史, 文獻備考『高慮歌謠 美學的 硏究』李光雨 1982.p137 학위논문(석사)『百濟文學의 硏究』安東抂 1992 학위논문(석사)『高慮詩歌의 硏究』 김학성 p 120『국문학신강』(국문학신강편찬위원회 저, 새문사, 1985.『삼국유사』 옮긴이:김원중 을유문화사(2002) 『韓國文學槪說』 한국문학편찬위원회 편, 형설출판사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지식산업사 『국문학통사』 장덕순, 신구문화사(1979) 「兜率歌와 新羅初期의 歌樂」 허남춘, 李佑成先生

  • 속요 레포트
  • 이해》, 아세아문화사, 2002- 조평환 외, 《한국 고전문학 산책》,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4- 강동엽 외, 《한국 고전문학의 이해와 분석》, 북스힐, 2001- 윤성현, 《속요의 아름다움》, 태학사, 2007- 최미정, 《고려속요의 수용사적 연구》, 서울대 박사 논문, 1990- 김학성, 《한국 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 출판국, 1980- 윤성현, 《고려속요의 서정성 연구》, 연세대 박사논문, 1994- 김명준, 《고려 속요 집성》, 다운샘, 2002- 성경린, 《한국음악논고》,

  • [국문학] 이상곡 내용분석
  • 민족문화연구소, 1995임종욱, 『우리의 고전시가1』, 나무사람아래, 2002윤영옥, 『한국의 고시가』, 문창사, 2001박노준, 『옛 사람 옛 노래 향가와 속요』, 태학사, 2003, 정기호, 『고려시대 시가의 연구』, 1990, 박노준, 『고려가요의 연구』, 1995, 박경주, 「계승적 관점에서의 향가-고려가요 형식 고찰」, 서울대학교국어국문과,최미정, 『고려속요의 전승 연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2, 김상길, 『고려시대 시가의 탐색』, 경인대학교출판부, 200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