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국가 지방자치 단체의 역할과 전략(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 복지국가 지방자치 단체의 역할과 전략(덴마크 사례를 중심으로)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9.01.11 / 2019.12.24
  • 2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3,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서론

Ⅱ. 복지국가
1. 지역복지와 관련한 비교사회정책 연구들의 경향
2. 복지국가 유형화 논의와 복지지자체
3. 신맑스주의 이론과 복지지자체
4. 비교
5. 한국지역사회복지의 현황

Ⅲ. 덴마크의 복지
1. 복지국가 유형과 덴마크형 모델
2. 측정과 분석도구
3. 변수
4. 분석

Ⅳ.지방자치 단체의 복지전략
1. 지방자치와 사회복지정책
2. 사회복지사무의 지방이양과 재정분권
3.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구성
4.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선

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복지국가 유형과 덴마크형 모델
복지국가유형 간에 지자체의 복지정향성이 유사한지, 아니면 다른지를 확인하기 위해 덴마크와 한국의 개별 기초지자체를 비교분석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덴마크와 한국은 여러모로 비교사회정책연구에서 비교의 대상이 되기 어렵다고 생각되기 쉬운 것이 사실이다. 지리적으로나 정치․사회․문화의 측면 등에서 두 나라가 큰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때문에 덴마크와 한국에 관한 비교연구는 자칫 서로 관련 없는 두 사례를 통한 상이한 분석결과의 병합이라는 비판을 넘어서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가 매우 다른 복지국가 유형을 대표하는 덴마크와 한국 지자체들을 비교할 수 있는 이유는 본 연구가 바로 이 두 국가 간의 존재하는 공통점 스칸디나비아 국가들과 동아시아 국가들의 문화를 비교분석한 Helgesen(2006: 1)은 양 지역이 수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으나 여전히 그들의 공통점에 기초한 비교연구는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이다. 이는 바로 덴마크와 한국은 모두 자본주의 국가들이라는 것으로서, 신맑스주의 이론에 따르면 자본주의체제 내에서 지자체는 자본축적이라는 동일한 목표를 갖는다. 또 지자체는 자본축적을 위해 직접 생산지원, 노동력의 재생산 그리고 복지 등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수 많은 자본주의 국가들 중에서 왜 굳이 덴마크와 한국을 비교하는가? 크게 두 가지의 이유가 있다.
첫째, 덴마크와 한국은 복지국가 유형화에서 가장 핵심 영역인 소득보장과 사회서비스에서 가장 뚜렷한 차이를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본 연구가 이 두 국가로부터 지자체들의 복지행위와 관련한 공통점을 증명한다면, 그 공통점이 특정 복지국가체제로부터 기인했다는 주장을 부인하기 쉬울 것이다. 즉, 지자체 복지행위에 대한 복지국가유형의 영향력을 배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만일 반대로 본 연구가 동일한 복지국가체제로 분류되는 국가들의 자체들을 비교분석하고 그것을 통해 양국 간에 공통점이 발견되었다고 가정하더라도, 이 경우에는 그러한 공통점이 동일한 복지국가체제의 특성에서 기인한 것이라는 대항적 설명을 거부하기 어려워진다는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
둘째, 국가 간 비교연구에서는 한 국가의 국가구조는 그 나라의 복지정책의 발달 및 변화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Rokkan, 1999; Obinger, Leibfried and Catles, 2005). 일반적으로 복지정책에 있어 지역정치의 중요성은 일원 국가(unitary states)와 연방제 국가(federal states)에서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일원 국가에서보다는 연방제 국가에서 지자체의 정치적 독립성과 책임성이 더 크게 보장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Huber, Ragin and Stephens, 1993). 이와 관련하여 덴마크와 한국은 모두 일원 국가로서 국가구조부분이 통제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참고문헌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계획의 방향에 관한 연구
박광준 저 | 韓國社會政策學會

고령사회에 대비한 정부간 재정분담구조 개편 및 지방자치단체의 대응방안
이상용 저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발행

우리나라 福祉行政 組織體系와 機能의 改善 국회도서관
吳宗熙 저 | 全南大 大學院 발행, 행정학 전공

社會福祉 Service의 傳達體系 改善에 關한 연구
姜煥淳 저 | 東國大 大學院 발행, 행정학 전공

地方自治團體社會福祉示範事例集
保健福祉部 저 | 保健福祉部 발행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관련 위원회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신지훈 저 | 공주대 대학원 발행, 사회복지 전공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가정폭력인지에 관한 연구
김수만 저 | 아주대 공공정책대학원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사회복지행정에 관한 연구
박동순 저 | 한양대 지방자치대학원 발행, 지방행정 전공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지출 수준의 결정요인 분석
이재완 저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발행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 행정에 관한 연구 ..
고준곤 저 | 군산대 경영행정대학원 발행

地方自治團體의 社會福祉政策에 關한 硏究 ..
李相滿 저 | 東國大 行政大學院 발행

지방자치제도가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예산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은영 저 | 가톨릭대 사회복지대학원 발행, 사회복지학 전공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여성장애인 출산과 육아 현황 연구 및 외국 사례를 통한 가이드라인의 제시
  • 복지법 제9조에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여성장애인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항목을 추가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여성장애인 복지사업이 추진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여성장애인 권리의 제도적 보장에 대한 관심이 극히 최근에 이루어짐에 따라 여성장애인의 모성권과 관련된 사회적 관심 또한 미미한 실정이다. 모성과 관련된 문제들의 경우 여성장애인도 비장애 여성과 마찬가지로 여성으로서의 공통적

  • 사회과학 국내, 국외 청년실업 문제와 해결방안
  • 단체 : 시흥시자원봉사단체협의회, 작은자리사회복지관, 시화일꾼복지관, 목감종합사회 복지관, 거모종합사회복지관 주요활동 - 소식지 발간 (격월 발간 소식지 명 『나눔과 연대』)⑤ 대전 실운협대전지역의 민간단체 및 개인의 역량을 모아 종합적인 실업극복운동을 전개하며, 정부 및 자치단체의 실업정책에 대한 감시와 비판, 정책대안을 제시하고 실업자들의 실업극복의지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지역협의체입니다.설립목적 - 민간단

  • [청소년육성제도론 공통] 우리나라에서 청소년육성정책을 전담했던 중앙 행정조직의 변천과정을 요약하여 제시하고
  • 역할(2) 여러 관련 부처에서 수행(3) 청소년관련 행정조직의 규모적 한계(4) 청소년보호업무의 분리 2) 해결방안(1) 청소년육성정책 조정 총괄기능의 강화(2) 청소년육성정책 기구의 합리적 일원화(3) 지방자치단체 청소년업무의 정체성 확보 (4) 청소년관련 기관의 유기적 협력체제 구축5. 청소년육성정책의 발전방향1) OECD 최상위 국가 수준의 청소년정책2) 청소년육성정책의 개선방향3) 청소년육성정책 개선을 위한 기술적 요소Ⅲ. 결론

  • 일본의 개호보험과 우리나라 공적노인요양보장제도에 대한 논의
  • 복지법의 개정)1978년노인단기입소생활개호(short-stay)사업 실시1979년주간보호(day service)사업 실시1980년대보건, 의료, 복지의 연계 및 재가서비스의 중점고령화비율 9.1%1982년노인보건법의 제정1987년노인보건법의 개정(노인보건시설의 창설)1989년Gold Plan(고령자 보건복지추진 10개년 전략)의 수립1990년대(21세기를 향한 계획적인 고령자보건복지 추진)1990년복지8법의 개정 (복지서비스의 지방자치단체로의 일원화, 노인보건복지계획의 수립 등)

  • [유아교육과정] 우리나라 숲 유치원의 운영현황
  • 국가적 차원의 제도적 검토가 이루어져 소외계층까지 흡수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넷째, 놀이 환경 조성과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유아들이 숲에서 다양한 놀이영역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을 조성하여 체험을 통한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울 수 있어야 한다. 아울러 숲 체험 프로그램 준비를 위한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 유아들이 다양한 놀이체험이 될 수 있도록 예산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