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문학] 중국문화속에서 虛의위상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12.24 / 2019.12.24
  • 4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중국문학, 나아가 중국문화 속에서 나타나는 '비어있음'에 관한 레포트입니다.
중간대체 레포트여서 열심히 만들었고, 만점받았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대 도가(道家)적 음악미 : 도(道)의 상징(象徵)
2. 중세 예술미(藝術美)의 형성 : 無와 意의 재발견
① 詩 文學에서의 虛
② 산수화에서의 虛
③ 글씨에서의 虛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중국의 산수화는 形과 質 그리고 餘白으로 이루어진다. 동양화의 여백은 그냥 비어있는 공간이 아니라 우주적인 공간을 뜻하며 그 공간에 표현대상이 존재하는 유기적 공간이다.
중국에는 회화뿐 아니라 음악, 시, 글씨 등에서도 여백과 같은 虛의 위상이 깊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虛의 사상적 배경에는 노·장자의 도가사상이 깊게 깔려 있으며, 공자의 유학사상, 석가의 불교사상 또한 중요한 사상적 배경이 된다. 유학 사상에서는 中庸사상이 회화에서 여백의 표현과 연결 시킬 수 있고, 불교사상에서의 空사상과 도가사상에서의 無爲自然으로서 虛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노·장자의 도가사상의 사상적 배경에서 나타나는 중국문화의 虛의 위상에 대해 살펴보고, 나아가 虛의 정신성을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虛의 운용에 따른 표현의 새로운 창작과 함께 보다 효과적인 내면의 정신을 표현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고대 도가(道家)적 음악미 : 도(道)의 상징(象徵)
고대 중국의 철학적 예술 이론으로 처음 나타난 것은 음악(音樂)의 철학이다. 유가의 음악관이 지배 계층에서 전개되고 있던 고대에 다른 한편에서는 道의 상징으로 보는 道家의 음악관이 일찍이 형성되고 있었다.
『老子』에서는 '최고로 훌륭한 음악은 오히려 귀에 들리는 소리가 아니다'라 하여 현상계의 음(音) 너머에 음악의 본체(本體)가 있음을 암시하는 역설(逆說)을 제시하였다.
『莊子』에서는 함지(咸池)의 음악을 논하면서, 음악은 절대적 진리인 도(道)를 상징(象徵)할 수 있고, 인간은 그 음악을 통하여 도를 체득(體得)하고 그것과 合一되어 참된 자유를 누릴 수 있음을 주장하고, 또 樂器의 소리나 地上의 모든 소리를 '있는 그대로' 듣는 경지, 즉 자연(自然)과 합일(合一)된 경지에서 듣는 천뢰(天 )야 말로 가장 심오한 경지의 음악이라고 보았다.
참고문헌
1. 이택후, 『華夏美學』, 東文選, 1990
2. 서복관, 『중국예술정신』, 東文選, 1990
3. 조민환, 『중국철학과 예술정신』, 예문서원, 1997
4. 류재형, 中國 第 5世代 映畵의 道家的 美學 特性, 서강대학교 석사논문, 2000
5. 고봉석, 동양화에 있어서 여백의 정신적 배경에 관한연구, 호남대학교 석사논문, 2003
6. 이형국, 中國山水畵의 空間槪念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논문, 1993
7. 김영신, 추상표현주의와 동양정신 관계 연구 : 無의 개념 중심으로 , 강릉대학교 석사논문, 2002
8. 이대용, 餘白의 思想的 背景과 造形性 硏究 , 홍익대학교 석사논문, 2003
9. 김충렬, 『중국철학사-중국철학의 원류』, 예문서원, 1999
10. 김병종, 『중국회화의 조형의식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의 문학사상] `정과 개성의 문학`- 교산 허균
  • 속신과 신원설화를 꿈을 이용해 결합시켜 음예한 풍속을 개량해 보고자 하는 의도를 표현해 놓은 작품이다. 이처럼 이 작품들은 모두 허균이 현실에서 부딪힌 문제를 형상화해 본 작품이며, 현실의 문제를 문학을 통해 해소해 보려는 특정 의도에서 이루어진 작품이다. 또한, 이 작품들은 소설사에서 허균의 위상을 독보적으로 올린 과 같은 작품의 창출에 밑거름이 되고 교량적 역할을 다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2)의 책 p.36~37

  • 중국문학과 개혁문학, 중국문학과 민간문학, 중국문학과 소설문학, 중국문학과 강호시파, 중국문학과 구정량, 중국문학과 육유, 중국문학과 도연명
  • 위상격하라는 외부적 요인이라면 다른 하나는 전통적인 민간문학 연구방법론의 현실부적응성이라는 내부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외부적 요인이 구체화된 사건은 민간문학과의 3급 학과로의 추락이다. 이는 1997년 국가교육위원회의 학과정리사업이 결과인데 그 결과 많은 대학의 문학계에서 민간문학과정이 선수과목에서 취소되고 적지 않은 대학원생(연구생)과 교수들이 민속학이나 다른 학과로 전향하는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현재 중국 국가

  • [고전시가] 송강 정철론
  • 속에서 불교로 말미암아 자아의 발견과 체념을 낳았으며, 체념은 내세에로 연결되어 스스로를 위로하고 이것은 다시 禪定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安心立命의 오묘한 깨달음을 얻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3. 도가사상중국의 도가사상은 無爲自然, 虛無醉樂思想, 神仙思想과 자연 애호의 기풍을 조장하여 우리 문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도가의 문학 사상은 허무주의 또는 자연주의로 말미암아 출발한 것으로 인위적 수식을 거

  • [국어국문학과 소설 창작론] 이태준의 작품 중 불우한 인물들을 형상화한 단편소설 <농군>에 대한 서평
  • 문학에 반영해야만 하는 의무가 있다. 그러나 이태준은 「농군」에서 개인적인 작품 경향의 변모라는 목적은 달성했을지 몰라도, 현실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나 비판적 인식의 확보도 없이 현실 참여와 동참이라는 위험한 경계선을 의식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일제의 지배담론에 동참하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1. 김민선, 『이태준 단편소설의 인물 유형 연구』,석사학위 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12. 趙文奎, 『이태준 소설 연구 :

  • 남북사통속연의 57회 58회 한문 및 한글번역
  • 虛文, 掩人耳目歟?고환축군위역 개립소주 이매사상문 각공장사자 기과진심출차 무내유연식허문 엄인이목여虛文:실질적인 내용이 없이 겉만 꾸민 글고환은 군주를 몰아내 반역해 어린 군주로 다시 세워 매사를 아뢰어 장래 일에 삼갔지만 어찌 과연 진심에서 이것이 나와 겉만 꾸민 문장으로 타인 귀와 눈만 가렸을 뿐이다.及其子高澄當國, 敢毆君主, 且從而幽禁之, 彼直視主上如犬馬, 而尙有下座叩頭, 號泣謝罪之僞態, 狡黠如父, 而凶悍過於父,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