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국어,] 번역박통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12.19 / 2019.12.24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발표문 통째이기 때문에 안고치고 바로쓰셔도 무방합니다.
발표문을 게시하는 자료는 별로 없기 때문에 아마 원하시는 바로 그 자료일 겁니다. 좋은 점수를 얻은 자료이니까 참고해서 쓰세요.
참고, 작성자가 소속된 대학 수준도 좋습니다.
목차
원문과 언해문에 대한 해석, 단어의 뜻과 용례, 해당 문헌의 중세국어 문법과 관련된 사항의 설명에 대한 발표문이기 때문에 특별한 목차는 없습니다.
본문내용
<번역박통사 飜譯朴通事>

1.연대 : 1517년 이전

2. 언해자 : 최세진

3. 이해
번역박통사는 중종 때 최세진(崔世珍)이 중국어 학습서인 《박통사》 원문의 한자에 한글로 음을 달고 번역한 책이다. 현재 권상 1책만 전하나, 《노박집람》 《박통사집람》과 1677년에 간행된 《박통사언해》에 의하면 상·중·하의 3권 3책임을 알 수 있다. 책의 역자와 간행 연도에 대한 명확한 기록이 없다. 하지만 사성통해에 실린 번역노걸대를 번역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성통해가 중종 12년(1517년)에 간행된 것으로 보아 그보다 앞섰을 것으로 추정된다.
원문 하자의 아래에 중국어의 음을 달되 우측은 속음(한자의 음을 읽을 때, 본음과는 달리 일반 사회에서 쓰는 음)을 적고 좌측에는 정음(글자의 바른 음)을 달고 있으며 원문과 번역문은 사이에 권표를 두어 구별하고 있다.
박통사가 중국사람의 생활 풍습과 제도 등에 관한 문답을 실은 책이므로 그것을 번역한 이 책은 독특한 대화체의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여주며 특이한 국어학 자료가 된다.그 내용에 있어 외교상 구체적 절차, 잡기 보석 치장, 용접관계, 결혼 풍속, 계약절차, 문서작성 관계, 산후조리, 활쏘기 등, 다양한 내용이 들어있다. 이들 가운데는 동일한 원문에 대하여 상이한 해석의 언해본들도 있다. 이러한 사실로 인하여 이들 문헌들은 국어의 사적 연구를 위한 전대미문의 가치를 지닌 문헌 자료로 평가되었고 ,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자들이 여러 관점에서 접근하였던 것이다. 또 중간본인 박통사언해와 비교가 가능하다는 점에서도 귀중하다. 아울러 원문한자의 한글 독음은 중국어의 음운사 연구에 이용될 수 있다.
(생략)


咱찰幾기箇개好호朋붕友우們문 這저八팔月월十십五오日일仲중秋추節절 歛감些사錢전 做주원원月월會회 咱찰做주那나一일日일 各각自자說설箇개重중誓서 結결做주好호弟제兄형時시如여何하 好호意의思사 將장一일張장紙지來래 衆중朋붕友우們문的적名명字자 都도寫사着착請청去거
(박스 처리 되어 있음)

우리 여러  됴히 너기논 벋히 이 팔월 보름날 중추절에 돈거두워  샹완 노리져
우리 그 나래 각각 큰 세 닐어  됴 형뎨 지면 엇더고 됴 디로다 죠  댱 가져다가 모든 벋 일후믈 다 써 쳥라가라

우리 여러 마음 좋게 여기는 벗들이 이 팔월 보름 추석에 돈을 걷어 달 구경할 놀이를 하자. 우리 그 날에 각각 굳은 맹세를 하여 (마음) 좋은 형제를 맺는 것이 어떠한가. 좋은 생각이다. 종이 한 장 가져다가 모든 벗들의 이름을 다 써서 청하러 가거라.

1) 벅히 : 벗들이; ‘-ㅎ’은 복수접미사
2) 샹완 : 상완할, 구경할
3) 노리 : 놀이
4) 져 : 하자; ‘-져’는 라체의 청유형 어미
5) 닐어 : 말하여
6) 됴 : 좋은
7) 지면 : 지으면
8) 죠  댱 : 종이 한 장
9) 일후믈 : 이름을
-----------------------------------------------------------------
첫번째 단락의 내용
-문서에서 옮겨오는 과정에서 문서가 흐트러졌으나 해당 레포트에는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참고문헌
발표문에 주석처리되어있음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차용어의 역사 레포트
  • 중세국어- 중국어 글말 차용어: 한자어의 보편적인 사용으로 고유어가 밀려남ex) 이 經 듣고 隨喜하야 法會로셔 나아 녀느 고대 가 쥬의 坊이어나 - 중국어 입말 차용어: 주로 의복, 옷감, 생활 용품, 음식물 등에 관한 것들로 5C~16C《번역박통사》,《훈몽자회》등에 많이 기록됨.3. 근대 국어 차용어1) 중국어 차용어: 한국어는 역사적으로 중국어를 가장 오랫동안 차용. 18세기 이후에도 끊임없이 중국어 차용어가 들어옴. 일부 차용어

  • [근대국어]근대국어
  • 국어 회화를 배우기 위한 책들은 당시의 구어체를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데, 한어와 왜어는 17세기에, 만주어와 몽고어는 18세기에 주로 간행되었다. 노걸대언해(老乞大諺解), 박통사언해(朴通事諺解) 등이 이에 속한다. 19세기 후반에는 주로 외국인들에 의하여 한국어 학습서가 간행되었는데 헐버트의 조선위국자휘(祖先危局字彙), 푸칠로의 노한사전 등이 당시의 국어를 알게 해주는 자료가 된다. 이밖에도, 번역문이 아닌 한글로 창작된 문헌, 국어에

  • 우리말의 역사)) (공통)국어사 교재를 참조하여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
  • ○ 과제유형 : ( 공통 ) 형○ 과 제 명 : 국어사 교재를 참조하여 국어사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설명하시오. ○ 본 문고구려어의 특징백제어의 특징3. 고대국어신라어의 특징신라어의 연구 자료신라어의 표기법신라어의 음운신라어의 문법신라어의 어휘4. 중세국어1) 전기 중세국어전기 중세국어의 연구 자료전기 중세국어의 표기법전기 중세국어의 음운전기 중세국어의 어휘2) 후기 중세국어후기 중세국어의 연구 자

  • [한국어] 어말어미의 변천
  • 국어의 ‘-자마자’와 같은 의미이나 형태에 차이가 있다. ‘마다’와 ‘마자’가 동사 ‘말-’(勿)의 활용형에서 온 것은 같다.예) ‘-라’ :  구피라 펼  (월인석보 21.4)‘-락’ : 오락 리락 야 (석보상절 11.13)오락가락 고 (번역박통사 상 39)‘-ㄴ다마다’ : 처딘 므리 처딘다마다 어러(滴水滴凍, 금강경사가해 4.42)13) ‘-긔/’, ‘-게’: 어떤 동작이나 상태에 도달함. 현대어의 ‘-게’와 용법 같다.일정한 환경에서 ‘ㄱ’ 탈락해

  • 국어사개설(한글 작업)
  • < 목 차 >제2장 국어의 형성제1절 고조선p. 1제2절 부여계와 한계p. 1 ~ 2제3절 고구려어p. 2 ~ 4제4절 백제어p. 4 ~ 5제5절 신라어 p. 5 제6절 삼국어의 이동 p. 6제7절 중세국어p. 6 ~ 7제8절 국어사의 제단계p. 7제3장 문자 제1절 한문의 정착p. 8제2절 고유명사 표기p. 8 ~ 9제3절 이두 p. 10 ~ 12제4절 구결p. 12 ~ 13제5절 향찰p. 13제6절 훈민정음p. 13 ~ 15 제4장 고대국어제1절 자료 p. 16 ~ 17제2절 표기법p. 18 ~ 19제3절 음운p. 19 ~ 22제4절 한자음p. 22 ~ 2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