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론] 이옥의 이언(俚諺)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5.28 / 2019.12.24
  • 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6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 이언이란?
- 이옥의 생애와 환경
2. 본론 - 2.1 이언에서 나타난 이옥문학의 개성
- 2.2 이언
- 2.3 이언의 특징
- 2.4 이언에서 ‘정’이란?
3. 결론
본문내용
2.4 이언(俚諺)에서 ‘정’이란?
- 앞에서 특징을 간략히 서술하였지만,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주목한 점이 있다.
우선 ‘아조(雅調)’의 경우, 남편과 아내라는 주체는 함께 형상화되고 있었지만 두 주체 사이에는 당위적 규범만이 존재할 뿐 애정에 토대를 두고 있는 주체의 어떠한 실존적 욕망도 존재하지 않고 있었다.
‘염조(艶調)’에서는 부부윤리의 두 주체라 할 수 있는 남편과 아내의 자리에 ‘남편’이 존재하지 않고 아내의 ‘농염함’만이 존재하였다. 이 말은 아내의 농염함에 대해서는 부부윤리의 범주에서 용인하지 않고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음을 의미했다. 또 욕망과 규범도 부부윤리의 범주 내에서 상호 조화를 모색하지 못하고 다만 아내의 현실적 욕망만이 앞서 있을 뿐이었다.
‘탕조(宕調)’의 경우를 보면, 남편과 아내의 관계에서 남편은 존재하지만 이번에는 반대로 아내의 자리가 상실되어 있고 대신 아내의 자리에 ‘기녀’가 그 지위를 대신하고 있었고, 아내에 대한 윤리적 규범은 존재하지 않고 기녀를 향하는 욕망만이 넘칠 뿐이었다.
‘비조(悱調)’에서는 부부윤리의 주체인 남편과 아내가 모두 존재하고 있었다. 그러나 존재가 형상화된 모습은 이지러질대로 이지러진 남편과 아내의 모습으로 존재할 뿐이었다. 따라서 여기에서도 두 주체 사이의 욕망과 규범은 균형을 상실한 채, 오로지 질곡된 욕망만이 앞서고 있을 따름이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한시를 고체시(古體詩)와 근체시(近體詩)로 분류하고 각각의 시체(詩體)가 가지는 성격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 론적(性靈論的) 시관에 입각한 김정희(金正喜)의 시세계 등도 있다.한편 서울의 중인층(中人層)이 중심이 된 위항시인(委巷詩人)들의 시사(詩社)의 결성을 통한 작품활동도 이 시대의 두드러진 시사의 한 현상이다. 홍세태(洪世泰)천수경(千壽慶)장혼(張混)조수삼(趙秀三) 등을 그 주역으로 들 수 있다. 왕조 말에 김택영(金澤榮)황현(黃玹)들이 나와 한시사의 마지막을 장식했고 일제강점기 815광복 전까지는 이민족의 침략이라는 역사적 정황에

  • [한문학] 민요취향의 한시와 이옥
  • 론 진실의 관점 역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고 변화하지만 이 시기에 이르러서는 보이지 않는 것보다 보이는 것, 추상적인 것보다 구체적인 것으로 관심을 옮겼다. 그러한 것들을 말하기에 철저한 중국풍의 한시는 조선의 풍속과 맞지 않았으며 그 때문에 바로 주변에서 쓰이는 언어로 말하고자 했고 결국 민요풍을 수용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작품 의식과 함께 구체적인 작품을 나타낸 이 중 대표로는 이옥이 있다.3. 이옥과 이언(俚諺)1) 이옥의

  • [고전시가] 이옥(李鈺)에 대하여
  • 이옥(李鈺)에 대하여※ 목 차 ※Ⅰ.서론Ⅱ.본론1. 인물과 생애2. 사상적 기반 및 작품3. 시대적 상황4. 이옥의 문학론 -『이언(俚諺)』시론(詩論)의 특성1) 개체성(個體性)과 표현의 사실성2) 남녀지정(男女之情)3) 이언(俚諺)과 시어(詩語)5.「俚諺」의 작품들1) 2) 3) 4) Ⅲ.결론Ⅰ.서론조선 후기의 사회는 자체에 누적된 제도적 모순과 임병양란에 대응하여 구축된 민족적 자각의식 속에서 그 이전에 바탕을 두고 유지

  • 무가의 전승원리와 구연방식
  • 이옥) 이옥(李鈺) : 1760(영조 36) 1812(순조 12)조선 후기의 문인. 자는 기상(其相), 호는 문무자(文無子) 매사(梅史) 매암(梅庵) 경금자(絅錦子) 화석자(花石子) 청화외사(靑華外史) 매화외사(梅花外史) 도화유수관주인(桃花流水館主人)이고 그의 저술은 친구인 김려(호; 담정)가 교정하여 《담정총서(潭庭叢書)》 안에 수록한 11권의 산문과 《예림잡패》에 시 창작론과 함께 남긴 이언(俚諺)65수가 전한다.11권의 산문은 각각의 제목을 가지고 있는데,

  • 이옥의 문학에 대하여
  • 申 啞 傳-목 차-1.「申啞傳」해석2.「신아전」에 대한 감상 및 분석3.『藝林雜佩』「俚諺引」4. 문무자 이옥의 문학 - 詩와 傳을 중심으로 -1. 「申啞傳」의 해석서두炭齋者姓申, 淸道郡) 현재의 경상북도 청도군. 대구 달성의 동쪽, 경주의 서쪽, 밀양의 북쪽, 경산의 남쪽임.之啞) 벙어리 아劒工也. 無名以號) 는 虎의 俗字이다.行. 善鑄) 부어만들 주刀, 刀利而輕, 往往出日本右) 위 우 : 上, 上位의 뜻. . 刀工皆精擇金, 炭齋不問金, 惟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