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 기행문학(紀行文學)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5.19 / 2019.12.24
  • 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기행문학(紀行文學)에 대해서 일목 요연하게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목차
Ⅰ. 기행문학의 이해
1.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시초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시초는 慧招((704-787)의 <往五天竺國傳>이며 불교에 관한 사적답사 기록 정도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한국 고대문학의 영역에 들어올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2. 조선후기 청․일 관련 기행문학
조선조 후기에는 해외체험을 기록한 여행록들이 많이 저작되어 새로운 경이와 인식을 불러 일으켰다. 청과 일본에 보내는 대규모 사절단에 참여한 문사들이 여행지에서 얻은 문견과 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조선조 후기 변모하는 시대정신에 중요한 몫을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 청나라와 관련된 기행록은 燕行錄 ․ 燕行日記라고 불리며, 김창업의 <燕行日記>, 홍대용의 <燕記>, 박지원의 <熱河日記>, 金景善의 <燕轅直指>가 가장 유명하다.
- 일본과 관련된 기행록은 ‘海槎일기’, ‘동사록’라고 불리며, 남용익의 <扶桑錄>, 신유한의 <海遊錄>, 조엄의 <海槎日記> 등이 유명하다. 저자는 사행한 정사, 부사, 서장관, 제술관, 역관, 자제군관 등 다양하며 대체로 일기의 형태로 기술되었고 중간에 시, 일화, 새로운 정보가 포함 되어있다.
3. 서양 혹은 미국견문기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 혹은 미국견문기는 朴定陽의 <美俗拾遺>이다. 초대 주미전권공사였던 박정양이 일종의 보고서 형식으로 미국의 역사, 제도, 문물에 관해 집필한 것으로 1888년에 탈고되었다.
그 다음이 유길준(1856- 1914)의 <西遊見聞>으로 1889년에 탈고되어 1895년에 간행되었다. 이 책은 국한문혼용체로 단순히 서구의 제도와 문물에 대한 소개서 혹은 견문기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개화사상과 제도개혁구상을 집약한 개화사상서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일본에서의 1년여의 체류, 미국에서의 1 년여의 수학, 도합 3년 미만의 외국생활과 수학 후에 쓴 것이지만, <서유견문>은 서양의 사정과 제도․ 문물에 관한 단순한 견문기가 아니라 국내외의 방대한 저서와 문헌 등의 자료를 참고로 저술되었기 때문에 그 내용이 매우 복잡하고 풍부하다. 유길준은 비슷한 성격의 저서인 후쿠자와 유기치의 <西洋事情>의 많은 부분을 인용하였고 그 외에 헨리 포셋의 <富國策>․ 헨리 위튼의 <萬國公法> 등을 참조하였다. 비록 다른 사람들의 저술을 많이 원용하였다고는 하나 <서유견문>은 유길준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짜임새 있게 만든 입문서이다.
또한 韓末의 충신인 忠正公 민영환이 1896년 帝政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인 니콜라이 2세 대관식에 한국대표로 참석했을 때의 기행문이었던 <海天秋帆>이 있다.
본문내용
Ⅰ. 기행문학의 이해

1.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시초
우리나라 기행문학의 시초는 慧招((704-787)의 <往五天竺國傳>이며 불교에 관한 사적답사 기록 정도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그 내용을 살펴보면 한국 고대문학의 영역에 들어올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2. 조선후기 청, 일 관련 기행문학
조선조 후기에는 해외체험을 기록한 여행록들이 많이 저작되어 새로운 경이와 인식을 불러 일으켰다. 청과 일본에 보내는 대규모 사절단에 참여한 문사들이 여행지에서 얻은 문견과 이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조선조 후기 변모하는 시대정신에 중요한 몫을 담당한 것으로 보인다.
- 청나라와 관련된 기행록은 燕行錄 , 燕行日記라고 불리며, 김창업의 <燕行日記>, 홍대용의 <燕記>, 박지원의 <熱河日記>, 金景善의 <燕轅直指>가 가장 유명하다.
- 일본과 관련된 기행록은 ‘海槎일기’, ‘동사록’라고 불리며, 남용익의 <扶桑錄>, 신유한의 <海遊錄>, 조엄의 <海槎日記> 등이 유명하다. 저자는 사행한 정사, 부사, 서장관, 제술관, 역관, 자제군관 등 다양하며 대체로 일기의 형태로 기술되었고 중간에 시, 일화, 새로운 정보가 포함 되어있다.

3. 서양 혹은 미국견문기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 혹은 미국견문기는 朴定陽의 <美俗拾遺>이다. 초대 주미전권공사였던 박정양이 일종의 보고서 형식으로 미국의 역사, 제도, 문물에 관해 집필한 것으로 1888년에 탈고되었다.
그 다음이 유길준(1856- 1914)의 <西遊見聞>으로 1889년에 탈고되어 1895년에 간행되었다. 이 책은 국한문혼용체로 단순히 서구의 제도와 문물에 대한 소개서 혹은 견문기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개화사상과 제도개혁구상을 집약한 개화사상서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일본에서의 1년여의 체류, 미국에서의 1 년여의 수학, 도합 3년 미만의 외국생활과 수학 후에 쓴 것이지만, <서유견문>은 서양의 사정과 제도, 문물에 관한 단순한 견문기가 아니라 국내외의 방대한 저서와 문헌 등의 자료를 참고로 저술되었기 때문에 그 내용이 매우 복잡하고 풍부하다. 유길준은 비슷한 성격의 저서인 후쿠자와 유기치의 <西洋事情>의 많은 부분을 인용하였고 그 외에 헨리 포셋의 <富國策>, 헨리 위튼의 <萬國公法> 등을 참조하였다. 비록 다른 사람들의 저술을 많이 원용하였다고는 하나 <서유견문>은 유길준 나름대로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짜임새 있게 만든 입문서이다.
또한 韓末의 충신인 忠正公 민영환이 1896년 帝政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인 니콜라이 2세 대관식에 한국대표로 참석했을 때의 기행문이었던 <海天秋帆>이 있다.
참고문헌
김명호, 박지원문학연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출판부.
김명호, 열하일기 연구, 창작과 비평.
민영환, 해천추범, 을유문화사, 4292(1959)년.
조동일 외, 한국문학신강, 길벗, 1994.
황패강 외 공편, 한국문학작가론, 집문당, 2000.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국문] [국어] 가사에 대하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가사 개관 문학의 한 형식. 고려말에서 조선초에 걸쳐 발생했는데 작자는 주로 사대부, 승려, 부녀자, 평민 기타 각종 민간 종교계 등 다양하며 다행성(多行性) 율문(律文)의 문학 형식이며 가사(歌詞), 가사(歌辭) 등으로도 불리었으나 지금은 가사(歌辭)로 표기한다.개설(1) 가사의 분류  가사는 일반적으로 그 작가에 따라 사대부가사. 규방가사. 평민가사 등으로 그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 가창(歌唱)의 역사성에

  • 일본문학과 일기문학, 일본문학과 소설문학, 일본문학과 호리 다쓰오, 일본문학과 마쿠라노소시(침초자), 일본문학과 이와야 사자나미, 일본문학과 만뇨슈(만엽집), 야마토시대 일본문학, 중세시대 일본문학
  • 문학과 이와야 사자나미, 일본문학과 만뇨슈(만요슈, 만엽집), 야마토시대 일본문학, 중세시대 일본문학 분석Ⅰ. 일본문학과 일기문학Ⅱ. 일본문학과 소설문학Ⅲ. 일본문학과 호리 다쓰오Ⅳ. 일본문학과 마쿠라노소시(침초자)1. 淸少納言의 성장과정2. 宮仕え3. 晩年의 淸少納言Ⅴ. 일본문학과 이와야 사자나미1. 고급관료의 아들이었던 嚴谷小波1) 일본아동문학의 효시 이와야사자나미『こがね丸』와 博文館2) 「少年文學」총서 제1편 『こがね

  • 고전문학의 이해
  • 한국 고전문학 약사대륙문화 영향 속의 삼국문화전대의 문학을 우리는 집단적인 성격을 띤 민족 고유의 예술활동 시대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문화적으로는 재래의 민족 고유 신앙이나 생활 방식에 대륙 문화가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말미암아, 과거의 몽매했던 원시적인 상태를 벗어나 비로소 세계성을 띤 새 문화 창조의 가능성을 굳히게 되었다고 하겠다. 이 삼국시대 문학을 더욱 풍요한 상태로 이끌어 준 것은

  • [한문교과교육론] 한문교과를 통한 문학교육
  • 기행문, 한문문학의 문(文)류 등 Ⅱ. 교육과정 해설서에 따른 문학에 대하여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⑬한문』, 교육인적 자원부, 2001. 68-81쪽 발췌 및 참고문ㆍ사ㆍ철이란 문학과 역사와 철학을 말한다. 이 세 가지는 다른 학문이지만 모두 인간의 삶과 관련된 문제이고 인간의 삶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들이다. 인간의 삶을 표현한 것은 문학이고 인간의 삶 속에서 걸어 온 자취는 역사이며 인간의 사고는 철학이다. 따라서 이 세 가지는 서로 떼어놓

  • [국문학개론] 조선시대 한문학의 역사적 전개와 발전 - 시인들의 유파를 중심으로
  • 문학사조1) 실학파① 星湖의 世敎論② 茶山③ 燕岩의 愍時病俗論2) 조선풍3) 白嶽詩壇과 眞詩運動① 金昌協(1651~1708)② 金昌翕(1653~1722)4) 紀俗詩人① 申維翰(1681~1752)② 申光洙(1712~1775)③ 洪良浩(1724~1802)④ 金鑢(1766~1822)5) 閭巷文學Ⅴ. 맺음말Ⅰ. 머리말조선시대에 한자가 창제된 이후에도 문자생활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즉, 구어는 우리말이었으며 문어는 여전히 한자로 존속하였다. 특히, 상위계층인 사대부들은 한글을 천시하고 한문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