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외교학과] 한국의 외교정책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4.28 / 2019.12.24
  • 1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3,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하고 싶은 말
한국의 외교정책에
대해 상세하게 언급잘 되어 있습니다.
잘 참고하시어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목차


1. 서론

2. 외교정책의 개념과 탈냉전의 세계
1) 외교정책의 개념
2) 탈냉전의 세계와 한국의 외교정책
3) 미국 중심으로 한 한반도 정책
4) 한국외교정책 한국 대통령보다 미국이 영향력 커

3. 국가의 능력과 외교 정책
1) 힘의 개념
2) 군사력
3) 경제력
4) 국가의 크기와 외교정책
5) 이들의 역할

4. 환경모델을 바탕으로 외교정책 분석
1) 외부환경요인(外部環境要因)
2) 사회적 요소 및 특징
3) 정부자체(政府自體)의 요인(要因)
4) 역할요소(役割要所)
5) 개인적 요소 및 Personal Style

5. 외교정책의 기본방향
1) 다원화(多元化)
2) 다변화(多變化)
3) 다자화(多者化)

6. 한국외교정책의 문제점
1) 정책결정과정(政策決定過程)에서의 문제점
2) 중장기적 목적(中長期的 目的)의 부재(不在)
3) 국민적 합의과정의 문제
4) 조절 및 통합능력
5) 즉흥성(卽興性)
6) 외교통상부가 가지고 있는 폐쇄성(閉鎖性)

7. 한국 외교정책과정의 특징

8. 한국 외교정책의 기조(基調)와 시책(施策)
1) 한반도 평화체제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외교
2) 지속적인 경제발전"을 위한 경제 및 통상 외교
3) 다자간 협력(多者間 協力)과 인권신장을 내걸은 외교
4) 문화외교(文化外交)와 재외국민권익신장(在外國民權益伸張)을 위한 외교
5) 외교체제개혁(外交體制改革)과 정보화(情報化)

9. 한국외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
1) 중국과의 관계설정
2) 북핵문제 해결
3) 한·미연합 방위태세의 확보 등 對4강 다자외교 전개
4) 다각적인 제3세계 국가들과의 외교가 필요
5) 문화외교, 경제협력강화

10.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오늘날의 국제정치질서는 동서 냉전구조가 와해되고 새로운 세계질서가 성립되는 전환기적 시점에 놓여있다. 따라서 세계질서는 탈냉전, 탈이념, 탈군사화를 표방하고 화해와 협력을 추구함으로써 강대국들 간의 군사적 대결정책이 지양되면서 세계적 차원의 대규모 전쟁의 위협은 감소되어가고 있으나, 강대국들 간의 힘의 공백과 군사적 통제기능의 약화로 국가 이기주의와 민족주의, 인종과 종교적 갈등에 의한 마찰과 분규로 지역분쟁은 오히려 확산되고 있다. 그리고 탈 냉전시대의 새로운 국제환경은 과거 냉전시대에서보다 오히려 더욱 불안정하고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으며, 각국의 외교정책에도 커다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냉전시대에는 외교정책의 핵심이 국가의 안보구축에 있었으며, 안보의 개념도 군사안보를 중심으로 설정이 되었으나 탈냉전시대에는 안보의 개념이 군사적인 안보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적인 측면을 총망라하는 포괄적인 안보의 개념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의 군사적인 대결 구조가 점차 경제적인 경쟁구조로 변모함에 따라 국가 간에는 정치, 군사적인 측면에서는 우호관계를 유지하면서도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경쟁이 가열되는 경쟁적 공존의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즉 현재의 새로운 국제질서는 국제관계에 있어서 군사력 중심의 안보외교에서 경제외교로 변화하는 과정을 거쳐 왔다. 탈냉전의 시대는 이전의 냉전시대와는 다른 양상으로 변모하고 있는데, 몇 가지 중요한 변화를 보이고 있는데,
첫째, 외교정책의 변화는 이른바 ‘국경 없는 세계’로 표현되는 세계화의 진전이다. 과학기술과 정보산업 등의 발전에 따라 국가와 지역 간의 교류 및 상호의존성은 비약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둘째,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가 일정하게 쇠퇴하는 대신 세계질서의 다극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경제적인 면에서 유럽연합, 일본, 중국 등이 부상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은 정치적 역할까지 증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강대국 간의 힘이 다원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면 본론으로 들어가서 외교정책의 개념과 한반도 주변 4강의 외교정책 방향 및 우리나라의 외교정책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
참고문헌
구영록, 『한국의 국가이익』 (법문사, 1995)
· 김일영․조성렬, 『주한미군: 역사, 쟁점, 전망』 (한울, 2003)
· 서진영, ‘부강한 중국의 등장과 중국위협론, 그리고 한반도’. <한국과 국제정치>, 제18권 제2호
· 유재건, 『21세기 한국의 외교정책』 (나남출판, 1999)· 역사비평, 2003년 가을(통권64호)
· 이원종, 『새로운 중국과 한국-한․중 관계의 역동성을 위하여』 (나남출판, 2003)· 외교, 제65호(2003.4)
· 한국정치학회, 이정복, 『북핵문제의 해법과 전망』 (중앙M&B, 2003)
· 후지와라 기이치, 김희진(역), 『민주주의 제국』 (에머지, 2002)
· 네이버 지식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감상문-늙어가는 대한민국 - 저출산 고령화의 시한폭탄
  • 정책과, 재정경제원 예산실 등을 거친 뒤 2년 8개월 동안 재경부 장관 비서관으로 일해왔다. 현재 GE인터내셔날 상무로 기업 인수합병 및 신규사업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김현진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시통역대학원에서 한일 동시통역을 전공했다. 이후 일본 동경 대학에서 국제관계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유학 시절에는 NHK뉴스 및 각종 국제회의에서 동시통역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1997년부터 2년간 하

  • 북한과 중국의 엘리트 비교
  • 정책을 “당과 국가가 간부를 키우고 선발배치하며 교양하는데서 틀어쥐고 나가는 정책”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서석민(2007), “김정일 시대의 핵심 엘리트 연구 -충원과 인적 구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논문, 제2장 참조.또한 북한에서 간부란, “당 및 국가기관, 사회단체 등의 일정한 책임적 지위에서 사업하는 핵심 일꾼, 당의 골간력량이며 당 정책을 조직 집행하는 혁명의 지휘 성원이며 대중의 교양자”를 의미한다. 서재

  • [언론정보학] 중동. 아프리카 민주화 혁명에 대한 언론보도 비교 분석-동아일보, 한겨레, 북한 언론
  • 한국에서는 언론이 비판과 감시의 기능을 수행한다.잘못된 일이 있으면 비판하고 수정할 것을 요구한다. 하지만 북한에서는 언론이 조선로동당의 선전선동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다보니 한국 신문에는 비판기사가 많고, 사건사고 기사가 많지만, 반면 노동신문에는 비판기사라고 하면 자본주의 나라 비판하는 기사만 있을 뿐 국내에서 벌어진 어떤 일도 비판하는 것을 찾아볼 수가 없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로 언론의 양상도 변하고 있고, 이로 인해

  • [역사학] 교과서포럼 근현대사 교과서 시안 분석(2) -그들의 역사관
  • 한국 사회의 체제위기와 경제위기에 대한 대의적 혁명으로 평가하는데, 이는 4.19등 민주화운동이 체제위기를 불러왔다고 주장하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5) 정당정치의 문제점을 민주화 세력의 분열에서 찾음- 정책이나 이념을 중심으로 모이기보다는 최고지도자를 비롯한 ‘인물’ 중심으로 우리 나라의 정당이 운영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민주화 정치세력의 분열에 그 원인을 돌리고 있다. 1985년부터 민주화운동을 위해 강력한 정치적 연대를 맺어

  • 중국학_일대일로 정책을 통해 중국이 추구하는 외교 판도
  • 정책 실행 단계에 있어 자신의 이익만 생각을 하고, 각 나라의 이익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각 나라의 경제발전상황에 따라 발전요구에 맞추어 현지인의 지지를 맞추어야 장기적으로 발전을 할 수 있으며, 중국이 추진을 하는 외교 판도 또한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시아와 유럽 대륙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전략구상인 일대일로는 중국의 힘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고 본다. 한국은 중국의 이웃이기에 중국의 정치, 문화, 경제 등 각 분야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