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제] 일본경제 경제동향과 한국과의 관계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1.17 / 2019.12.24
  • 16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5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 서 론
◈ 본 론
◈ 최근 일본 경제 현황
1). 주가하락과 금융시장의 동요
2). 엔화가치 하락으로 불안한 국제금융시장
3). 지난해 2/4분기 이후 경기둔화 지속
◈ 최근 일본정부의 대응방안과 한계
1). 재정정책: 연립여당의 긴급 경기활성화대책
2). 금융정책: 日銀의 추가 금융완화책
3). 환율정책: 美日간의 제한적인 엔화약세 공조
4). 한계에 부닥친 정부의 대책
◈ 한일경제관계 현황과 전망
Ⅰ. 한일 교역동향
Ⅱ. 한일 투자동향
Ⅲ. 한일 산업 기술 협력 현황
Ⅳ. FTA를 추진 통한 시장확대 노력
◈ 결 론
본문내용
1989년 12월 주식시장에서 거품이 꺼진 것을 계기로 불황국면에 들어선 일본경제는 12년째 장기 불황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있다. 지난 12년간 연평균 경제성장률은 1%대에 머물렀으며, 기업의 설비투자 증가율, 자본스톡 증가율, 그리고 소비 증가율 등 각종 경기관련 지수도 과거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다. 1990년부터 130조 엔에 달하는 막대한 재정지출과 대형 감세, 사상 최저수준의 금리에도 불구하고 경기는 살아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 동안 일본경제는 전쟁의 폐허를 딛고 계열, 하청, 주거래은행 등 물품과 자본에서 ‘조직화된 시장거래’를 한 축으로,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일본형 고용시스템을 다른 한 축으로 하여 역사상 유례가 드물 정도의 성장을 지속해 왔다. MIT(1989)가 미국산업의 국제경쟁력을 분석했을 때에도 주된 비교대상은 일본이었으며 글안에서 이들의 기업과 산업 시스템의 장점을 강조하였다. 1980년대까지는 일본 경제의 성공신화가 세계인의 선망 대상으로 되었다.
그러나 일본경제가 장기불황을 보이면서 일본인들은 스스로의 경제체제에 대한 자신감을 극도로 상실하였다. 거시적으로 볼 때 장기불황의 원인을 거품경제의 후유증과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실패(日本經濟新聞社 1999), 수요부족(吉川洋 1999), 혹은 금융부문 주도 경기후퇴(宮崎義一 1992)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많은 이들이 악화하는 경제적 성과의 배후에 이른바 일본형 경제시스템의 기능장애가 있다는 점에 대해 동의하고 있다. 그 간의 불황을 탈출하기 위해 당국은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해결책을 모색해 왔다.
첫째, 단기적으로 재정 및 금융정책을 통하여 경기정체를 막아보려 했다. 이러한 정책의 밑바탕에는 재정금융 정책을 통한 경기회복이 가능하다는, 즉 일본의 경제위기가 ‘구조적’ 위기가 아닌 ‘경기순환적’ 정체라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과거 수 차례에 걸친 대형 재정지출, 감세, 금리인하에도 불구하고 경기는 근본적으로 살아나지 않았으며 정부빚만 부풀려지고 당국의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만이 강해졌다.
둘째, 국내 경제사회구조의 기본틀을 변혁함으로써 각 부문이 자기재조직력을 갖추도록 시도했다. 하시모토 류타로(橋本龍太郞) 전 수상은 집권 2년째를 맞이하면서 국회시정연설(1997.1.21)을 통해 행정, 재정구조, 경제구조, 사회보장, 금융, 교육 부문의 6대 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며, 이후 오부찌 게이조(小淵惠三),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수상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현 수상에 이르기까지 ‘개혁’은 겉으론 유력 정치가들의 단골 화두였다. 그러나 그간의 개혁작업은 경기대응책 마련이라는 발등의 불에 밀리고 또 정치의 구조적 결함인 리더십 부족 때문에 늘 ‘논의만의 개혁’으로 끝나 버렸다.
셋째, 지역간 경제협력체를 적극 추진하여 불황을 타개해 보려했다. 싱가포르와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한국, 멕시코와의 FTA 추진 등은 일본이 지역적 경제통합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무역과 투자를 자유화함으로써 불황으로부터 탈출하고 새로운 성장기반 구축을 시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농업, 서비스업 등 민감한 분야가 국내에 남아 있기 때문에 당국의 의도대로 쉽게 협정을 체결할 수 있는 곳은 많지 않아 보인다.
한편 경제가 장기불황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주요 기업들의 경영성과 역시 좀처럼 개선되지 못하면서 그동안 ‘일본형’ 경제시스템, 기업시스템 등으로 불려온 각종 제도나 관행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장기고용의 노사관행, 기업집단 및 계열하청구조의 기업간 관계, 기업집단내 중추기관인 주거래은행과 간접금융 의존, 유명무실한 이사회와 주총, 불투명한 기업회계기준 등에서 변화가 생기고 있다. 그동안 소니나 외자계 기업 등에서 사용되어온 미국류의 계약고용, 연봉제, 주식상호보유해소와 계열 해소, 주거래 은행 해소와 직접금융 강화, 사외이사제 도입과 주주중시 경영, 시가(時價)회계 도입 등이 그것이다.
아울러 그간 추진한 구조개혁작업의 실패경험을 토대로 정책당국을 포함한 많은 이들이 일본 사회에 내재된 상향식(bottom-up) 집단적 의사결정방식과 리더십 발휘를 어렵게 하는 정치역학 구조가 이해관계 조정에 시간이 걸리게 하고 그 결과 새로운 정책을 제 때 도입하지 못하게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고이즈미 정권의 핵심들은 이같은 반성을 토대로 각 부문에서 의사결정을 신속히 그것도 해당 부문 책임자의 리더쉽하에 추진토록 제도와 관행의 변혁을 시도하고 있으나 진척도가 더디다.
참고문헌
1. 김양희 ․김종걸, 『한일자유무역협정이 외국인투자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조사분석 01-05,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01
2. 김종걸,「일본적 기업시스템의 변화전망」『동북아경제연구』12권 1호,한국동북아경제학회 2000.
3.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아시아經濟硏究所(IDE, JETRO), 『韓․日 자유무역협정(FTA)의 構想: 評價와 展望』,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00.
4. 배준호, 「일본경제, 재생전략은 없는가?」『재정포럼』69호, 한국조세연구원, 2002, pp.54-71.
5. 산업자원부, 『산업자원백서 2002』.
6. 손찬현 편, 『거대경제권과의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경제적 효과 분석 - 韓․日, 韓․美, 中․日 FTA를 중심으로 - 』정책자료 01-01, 대외경제정책연구원,2001.
7. 오촌굉(1991), ꡔ(신판)법인자본주의의구조ꡕ, 사회사상사.
8. 경제산업생,『상공업실태기본조사』,1998.
9. 이단경지(1987), ꡔ人本主義企業ꡕ, 축마서방.
10. 통상산업성, ꡔ통상백서ꡕ 平成7, 8, 9, 10연판.
11. 하곡정홍(1996), ꡔ지주회사해금ꡕ, 中公新書.(선종배․정안기 공역(1998), ꡔ일본의 기업시스템과 지주회사 해금ꡕ, 대한경제연구원).
12. 교본수랑(1991), ꡔ日本經濟論-20世紀システムと日本經濟ꡕ, ミネルヴァ書房.(申章澈 譯(1998), ꡔ일본경제론ꡕ, 崇實大學校出版部).
13. 굴내소의(1998), ꡔ金融システムの未來: 不良債權問題とビックバンꡕ, 岩波新書.宮崎義一(1992), ꡔ複合不況-ポスト․バブルの處方箋を求めてꡕ、中央公論社.(양준용 譯(1992), ꡔ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브라질 경제 브라질 경제 개관 브라질 경제 현황 브라질 경제 전망 브라질 경제
  • 목 차Ⅰ세계 경제의 현황과 전망1. 세계화 되는 세계경제의 현황1) 미국 주도의 세계화 과정2) 지역주의의 등장3) 주요 국가들의 경제동향3-1) 미국3-2) 일본3-3) 유로2. 전망과 과제1)미국 주도 세계화의 전망2)한국 경제의 전망Ⅱ BRICs 경제의 개관1. 브라질2. 러시아3. 인도4. 중국5. 한국과의 관계Ⅲ 브라질 경제의 현황과 전망1. 브라질 정치․경제의 현황과 전망1) 브라질의 현 정세2) 브라질의 현 경제2-1) 브라질의 수∙출입 동향2-2) 브라질

  • 테마호텔 `고현문화호텔` 사업계획서
  • 국제행사(세미나, 국제회의, 스포츠, 영화제 등) 유치 및 지속적인 한류열풍 등으로 인한 외래객의 증가, 그리고 주5일제 확대 및 웰빙현상 등으로 수요증가 예상됨에 따라 호텔산업의 수요도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수요의 증가율은 2006년 및 2007년은 3.0%, 그리고 2008년은 2.0%로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국제경제의 불확실성 및 유가불안, 주요 수요국가인 일본과의 관계 악화, 한류열풍의 지속여부, 그리

  • [비교행정론] 싱가포르 행정 발전 전략과 시사점
  • 한국과의 관계 1970년 한국 통상대표부가 설치되었으며, 영사관계 수립에 이어 1975년 8월에 정식 수교에 합의하고 상주 대사관을 개설했다. 북한과는 1975년 11월 외교관계를 수립했다. 주요협정으로 항공협정(1972. 2)해운협정(1981. 5)사증면제협정(1982. 10)과 예술문화체육협력협정(1995. 8), 과학 및 기술협력협정(1997. 2)을 맺었다. 경제면에서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에 이어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2번째로 큰 한국의 해외건설시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1972

  • [국제경제관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국경제
  • 제 1 장 현황 Ⅰ. 개황1. 러시아 전반 동향2. 극동 시베리아의 개념과 현황 개념3. 경제4. 인구Ⅱ. 자원1. 원유와 천연가스의 매장량2. 석유, 가스 등 막대한 지하자원의 개발 잠재력Ⅲ. 극동시베리아 개발 계획1. 목표2. 과제3. 기대효과제 2 장 주요국의 극동개발Ⅰ. 중국1. 양자관계의 발전2. 경제 ․통상․에너지 협력 확대3. 국제 문제의 해결Ⅱ. 일본1. 영토 분쟁2. 경제 협력3. 에너지 협력Ⅲ. 한국1. 극동 시베리아 진출 현황2. 유라

  • [한국무역] 대일 무역적자의 지속적 증대와 개선대책
  • 일본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추진 고려Ⅴ. 결론 및 시사점 부록Ⅰ. 주제 선정 동기한국무역과 국제경영한국 경제는 1960년대 초반 이후 강력한 수출드라이브 정책으로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해를 거듭할수록 그 폭이 커지기만 할 뿐 한 번도 개선된 적이 없는 대일무역적자라는 문제점이 도사리고 있었다. 우리나라의 대일무역은 1965년 한ㆍ일 국교가 이루어진 이후 현재까지 44년이 지나는 동안 단 한 번도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