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관한 심층 고찰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7.01.14 / 2019.12.24
  • 4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97)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9,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이순신의 출생과 가족관계
Ⅱ. 무과제 이후의 관직 생활
Ⅲ. 임진왜란 때의 행적
Ⅳ. 해금의 시대와 이순신
Ⅴ. 이순신의 활동 공간
1. 좌수영 시기(1591년 2월 13일˜1593년 6월)
2. 한산도 시기(1593년 7월˜1597년 2월)
3. 우수영고하도고금도 시기(1587년 8월˜1598년 11월)
Ⅵ. 이순신이 치른 8대 해전
1. 옥포해전
2. 당항포 해전
3. 한산도 해전
4. 부산포 해전
5. 웅포해전
6. 제2차 당항포해전
7. 명량해전
8. 노량해전
Ⅶ. 이순신의 리더십
Ⅷ. 충무공에 관한 논평
본문내용
Ⅰ. 이순신의 출생과 가족관계

이순신 (李舜臣, 자는 여해 汝諧)은 1545년(인종 1) 3월 8일 (양력 4월 28일)* 자시(子時, 밤 11시˜새벽 1시)에 당시의 한성부 건천동(乾川洞)에서 출생하였다. - 건천동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중구 초동 동쪽의 '마른내길' 근방이며, 그가 탄생한 집터는 현재의 인현동 1가 40번지 근처로 추정되고 있다. 그의 아버지는, 고려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낸 덕수 이씨(德水李氏)의 1대 이돈수(李敦守)로부터 내려오는 11대손 정(貞)이며 평민생활을 하는 양반이었고, 어머니는 초계 변씨(草溪卞氏)였다. 어머니 변씨는 아들에 대한 사랑이 극진하면서도 가정교육에 엄격하였다.
조선왕조로 넘어오자 7대손 변(邊)은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와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을 지내는 등, 그의 가계는 주로 문관 벼슬을 이어온 양반계급의 집안이었으나, 그의 할아버지인 10대손 백록(百祿)은 정치적 혼란기에 벼슬을 사양하고 조광조(趙光祖) 등 소장파 사림들과 뜻을 같이하여 기묘사화(己卯士禍)의 참변을 겪게 된다. 그후 아버지 정(貞)도 관직의 뜻을 버리고 평민으로 지냈으니 가세 또한 기울어 있었다.
이순신은 희신(羲臣), 요신(堯臣)을 두 형으로 두고 셋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밑으로는 아우 우신(禹臣)이 있었다. 큰형 희신에는 네 조카 뇌(雷), 분(芬), 번(蕃) 그리고 완(莞)이 있었고, 작은형 요신에게는 두 조카 봉과 해가 있었으나, 두 형이 모두 먼저 사망하였기 때문에 이순신은 이들 여섯 조카를 돌보아야 했다. 그는 조카들에게 친자식과 같이 극진하였다고 한다. 이순신과 부인 상주방씨(尙州方氏)는 세 형제 회, 열, 면과 한 딸을 두었고, 서자(庶子)로는 두 형제 훈(薰)과 신(藎)은 무과에 올랐다. 부인 방씨(方氏)는 보성군수 진(震)의 딸인데, 이순신의 전몰 후 정경부인(貞敬夫人)의 품계에 올랐고, 80이 넘도록 살았다.


Ⅱ. 무과제 이후의 관직 생활

22세에 비로소 무예를 배우기 시작하여 28세 되던 1572년(선조 5) 훈련원별과(訓鍊院別科)에 응시하였으나 말을 달리다 말이 넘어지며 낙마하여 왼쪽 다리가 부러지는 부상을 입어 등과에 실패하였다. 32세 되던 1576년(선조 9) 봄에 식년무과(式年武科) 출장하여 병과(丙科) 제4인으로 급제하였다. 등과 하고도 그해 12월에야 귀양지로 여기던 함경도 동구비보(董仇非堡)의 권관(權管)으로 부임, 35세 되던 1579년 2월 귀경하여 훈련원봉사(訓鍊院奉事)가 되었고, 같은 해 10월에는 충청병사의 막하 군관으로 전임되었다. 이듬해 36세가 되던 1580년 (선조 13) 7월에 발포(鉢浦) 수군만호(水軍萬戶)가 되었다. 이 무렵에 좌수사 성박(成 )이 객사 뜰의 오동나무를 베어다가 거문고를 만들려 하자, 관청 물건을 함부로 베어 갈 수 없다 하여 사람을 돌려보내니 수사가 크게 호통하였다는 일화가 남아 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통영의 사또놀이와 오광대의 관련양상과축제적 재구성
  • 장군이 병졸을 지휘하는 장면을 무용화한 것이고, 검무는 칼로 적을 죽이는 장면을 무용화한 것이기 때문에 이순신 장군이 수군을 지휘하여 왜군을 섬멸한 한산대첩을 축하하고 기념하기 위한 승전무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오광대도 싸움을 기본문법으로 하는 점에서는 승전무와 일치한다. 오광대의 갈등관계를 도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가) (나) (다)문둥탈마당 문둥이양반풍자탈마당 말뚝이 양반무리영노탈마당 영노 양반농창탈마당 첩 할

  • 공무원 국어 기출문제(국가직7급,국가직9급,국회8급,경찰공무원,군무원)
  • 충무공 이순신장군 ④ 칠천 팔백 구십 팔【문 18】 다음 시조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고즌 므스 일로 퓌며셔 쉬이 디고플은 어이야 프르 누르니아마도 변티 아닐 (  ) 인가 노라.① 바회 ② 솔 ③ 대나모 ④ 믈【문 19】 완판본 `춘향전에서 등장 인물들이 이몽룡에 대해 표현한 말 중 옳은 것은?① 방자-점잖은 선비 ② 춘향-낮도깨비③ 월매-돌대가리④ 농부-여우같은 놈【문 20】 밑줄 친 부분의 뜻풀이로 틀린 것

  • 한국사 독후감 - \`기록을 남기지 않은 자의 비애\`를 읽고
  • 이순신을 깎아 내리는 책은 절대로 아니다. 다만, 감추어져 있던, 이순신의 위대한 영웅으로만 추대하는 것이 아니라, 이순신의 인간적인 시기, 질투, 모함 등을 구체적인 자료와 함께 원균은 모함을 받았다. 라고 말을 하는 것이다. 이 책의 지은이는 일찍이 조선왕조실록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매우 회의를 느낀 것은 바로 원균에 관한 기록이라고 말을 하면서, 당시 시정을 기록한 사초에 의하여 편찬된 『선조실록』의 내용과 후대인 인조 때에 일부

  • [임진왜란, 충무공이순신장군, 거북선, 의병, 금속활자, 일본군기물] 임진왜란과 해상전, 임진왜란과 충무공이순신장군, 임진왜란과 거북선, 임진왜란과 의병, 임진왜란과 금속활자, 임진왜란과 일본군기물 심층 분석
  • 장군기(1664년 간행), 오하라 다케키요(대원무청)의 신찬풍신실록(1665년경 성립), 원록판태합기(태합기회입)(1698년 간행), 다케우치 가쿠사이(죽내확재)의 회본태합기(1797-1802년 간행), 구리하라 류안(율원류암)의 진서태합기(1852-명치 초기), 하치코샤 도쿠스이(팔공사덕수)의 회본풍신훈공기(1857-)등이 있다.한편, 임진왜란에 관한 후대의 종합적인 군기로는 호리 교안(굴행암)의 조선정벌기(1659년 간행)에서 비롯된다. 이후 오제키 사다스케(대정우)의 조

  • 거북선 탄생,구조,특징(다양한그림자료)
  • 이순신 장군이 쓰던 거북선은 과연 어떻게 생겼을까? 현재로선 아무도 모른다.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이나 천안 독립기념관 등에 전시된 재현 거북선은 이순신 사후 200년 가까이 지난 시점에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에 나오는 정조 당시의 거북선 모형을 토대로 했기 때문에 이순신 장군이 쓰던 거북선과는 사뭇 다를 것으로 추정된다. 거북선도 후대에 개량을 거듭했기 때문이다.거북선은 우리에게 너무나 유명하여 모두들 거북선은 매우 친근한 존재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