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신륵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12.07 / 2019.12.24
  • 1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신륵사의 소개

(1) 신륵사의 창건과 사찰명의 유래 -박진주
(2) 신륵사의 시대적 특징

2. 신륵사의 인물들

(1) 나옹 혜근 - 전장환
(2) 무학 자초
(3) 지공 화상
(4) 목은 이색

3. 고려대장경과 대장각기비 - 전장환

4. 신륵사의 보물들

(1) 극락보전과 조사당 - 박진주
(2) 신륵사 다층전탑과 다층석탑 - 남다님
보제존자석종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보제존자석종 비

본문내용
(1) 신륵사의 창건과 사찰명의 유래

예로부터 전하는 이야기에 의하면 신륵사는 신라 진평왕때 원효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되어 있다. 원효대사 창건과 관련한 설화는 다음과 같다.
<어느 날 원효대사의 꿈에 흰옷을 입은 노인이 나타나 지금의 절터에 있던 연못을 가리키며 신성한 가람이 설 곳이라고 일러준 후 사라지니, 그 말에 따라 연못을 메워 절을 지으려 하였으나 뜻대로 잘되지 않았다. 이에 원효대사가 7일 동안 기도를 올리고 정성을 드리니 9마리의 용이 그 연못에서 나와 하늘로 승천한 후에야 그곳에 절을 지을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이곳에 절을 짓기가 어려웠던 사실을 전하는 전설일 뿐 정확한 문헌사료가 없어 창건의 유래를 확실히 알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절 이름에 관한 유래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고려 우왕 때 여주에서 신륵사에 이르는 마암이란 바위 부근에서 용마가 나타나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자 나옹선사가 신기한 굴레를 가지고 그 말을 다스렸다>
<고려 고종 때 건너편 마을에 용마가 나타나 걷잡을 수 없이 사나우므로 이를 사람들이 붙잡을 수 없었는데, 이때 인당대사가 나서서 고삐를 잡으니 말이 순해졌으므로 신력으로 제압하였다하여 신력(神力)의 신(神)과 제압의 뜻인 륵(勒)을 합쳐 신륵사(神勒寺)라고 하였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인물로본한국사] 이색을 통해 바라본 한국사
  • 한국사 연구회http://blog.naver.com/kssong38?Redirect=Log&logNo=10004964831이외 다수의 Blog, 인터넷 이미지이상 발표를 맞치겠습니다.질의 응답 받겠습니다.삼은(三隱) 이란?정계에 나가 벼슬도 하였으나 고려가 망하자 끝까지 지조를 지키고 살아 남은 사람들도 후진( 後進)을 육성하여 학통을 계승시켰다. - 온건 개혁파 대표격이 이해하셔도 무방합니다.야은 길재,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도은 이숭인(야은 길재 대신에 이숭인을 넣기도 함.)돌아가기위 내

  • 한국사 요약정리
  • 한국사 연구* 민족주의사학 - 1920년대: 한민족 기원+우리 문화 우수성+한국사 주체적 발전 강조⇔식민사학 대항박은식한국통사(일본 한국 침략 과정), 한국독립운동지혈사(독립투쟁사), 민족정신(혼)신채호고대사 연구 치중, 조선상고사, 조선상고문화사, 임시정부(독립신문)대항⇔신대한 창간정인보조선사연구(5천년간 조선의 얼), 광개토대왕 비문 연구, 양명학연론문일평근대사 연구 치중, 조선학의 의의, 한미 50년사, 호암전집, 조선심안재

  • [조선대학교]인물로보는 호남역사
  • 한국사』12, 국사편찬위원회, 1978.③ 우인수「정여립 모역사건의 진상과 기축옥의 성격」『역사교육논집』12, 1988.④ 배동수「정여립의 정치사상」『한국사상과 문화』 6, 1999.⑤ 김동수「16ㆍ7세기 호남사림의 존재형태에 대한 고찰」『역사학연구』7,1977. 1-7. 정여립 어록 ① 주희 비판: 사마광(司馬光) 사마광(1019~1086) : 중국 북송(北宋)의 정치가사상가. 『자치통감』의 저자. 신종이 왕안석을 발탁하여 신법을 단행하자 이에 반대해 사퇴하였다.

  • [한국불교사] 무신집권기 결사운동과 교선통합
  • 신륵사보제존자석종비(보물 제229호), 신륵사대장각기비(보물 제230호) 등과 비교할 만 하다. 글씨는 고려 전기의 힘있는 풍모가 사라진 투박한 것으로, 고려 후기의 글씨가 퇴보하였음을 보여준다. 비문은 이색이 짓고 승려인 혜잠이 글씨를 새겼다.월남사지진각국사비 (月南寺址眞覺國師碑) - 보물 313호월남사는 고려 중기에 진각국사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창건 이후의 기록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진각국사의 성은 최씨이고 이름은 혜심(慧諶)으로 2

  • 미륵사지 답사기
  • 신륵사 보제존자석종앞 석등에서 보이고 있었던 것이다.3-5 미륵사지석탑삼국유사에 보면 미륵사지가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비교적 자세히 나와 있다. 서동과 선화공주이야기는 왠 만한 사람이면 알고 있을 것이다. 그 서동이 백제 30대 왕인 무왕이다. 무왕이 부인인 선화공주와 함께 사자사로 행차하다 현재 미륵사지터인 용화산 아래 연못에 이르렀을 때 미륵 삼존이 나타나자 이를 본 왕비(선화공주)의 부탁으로 이곳 연못을 메우고 절을 세웠는데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