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고전, 구지가] 구지가 연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12.04 / 2019.12.24
  • 9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9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차 례

龜 旨 歌 考

Ⅰ 서론

Ⅱ 본론
1. 가락국기(구지가의 배경설화)‥‥‥‥‥‥‥‥‥‥‥ 2
2. 수로왕의 민속적 성격‥‥‥‥‥‥‥‥‥‥‥‥‥‥ 3
3. 구지가의 다양한 해석‥‥‥‥‥‥‥‥‥‥‥‥‥‥ 4
4. '굴봉정촬토'의 해석‥‥‥‥‥‥‥‥‥‥‥‥‥‥‥ 5
5. 구지봉‥‥‥‥‥‥‥‥‥‥‥‥‥‥‥‥‥‥‥‥‥ 6
6. 수로왕의 탄강과 등극의식‥‥‥‥‥‥‥‥‥‥‥‥ 7

Ⅲ 결론
본문내용
龜 旨 歌
- 민간신앙적 측면에서의 가락국기 속 구지가와 수로신화

Ⅰ 서론

임금을 맞이하기 위한 민중의 노래이면서, 동시에 무가적(巫歌的)인 주술성(呪術性)을 지니고 있는 서사시의 하나이다. 이 노래에 대한 해석은 학자들간에 상당한 견해차이를 보이고 있다. 첫째, 잡귀를 쫓는 주문(呪文)으로 보는 견해, 둘째 거북을 신으로 풀이하여 “신이여, 신이여, 우리에게 머리(곧 우두머리:군주)를 내놓아라”라고 하는 견해, 셋째 거북은 신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라 영신제(迎神祭)의 절차 중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희생무용(犧牲舞踊)에서 가창(歌唱)된 노래라는 견해, 넷째 거북의 머리와 목은 남성의 성기(性器)를, 구워 먹겠다(燔灼而喫也)는 여성의 성기를 은유(隱喩)한 것으로 보고 원시인들의 강렬한 성욕을 표현한 노래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
위와 같은 많은 연구가 나오게 된 것은 가락국기 속에 여러 각도에서 고구할 수 있는 소지가 충분히 있기 때문이다. 가락국기 속의 구지가와 수로신화를 민간신앙적 측면에서 살펴보도록 하자.

Ⅱ 본론

1. 가락국기(구지가의 배경설화)
駕洛國記-03)
屬後漢世祖, 光武帝, 建武十八年壬寅,(9) 三月稧浴之日, 所居北, 龜旨(10)[是,峯巒之稱, 若十朋(11) 伏之狀, 故云 也.], 有殊常聲氣呼喚, 衆庶二三百人, 集會於此, 有如人音, 隱其形, 而發其音曰, 『此有人否?』 九干等云, 『吾徒在.』 又曰, 『吾所在, 爲何?』 對云, 『龜旨也.』又曰, 『皇天, 所以命我者, 御是處, 惟新家邦, 爲君后, 爲玆故降矣. 爾等, 須掘峯頂撮土, 歌之云, 「龜何龜何,(12)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以之蹈舞, 則是迎大王, 歡喜踴躍之也.』九干等, 如其言, 咸忻而歌舞, 未幾, 仰而觀之. 唯紫繩. 自天垂而着地, 尋繩之下, 乃見紅幅. 裏金合子, 開而視之, 有黃金卵六, 圓如日者. 衆人悉皆驚喜, 俱伸百拜, 尋還裏著, 抱持而歸乃我刀家,(13) 寘榻上, 其衆各散.
【하늘이 대왕을 보내심】
후한의 시조인 광무제 건무18년 임인(서기42년) 3월 상사일에, 그들이 사는 곳에서 북쪽이 되는 구지(龜旨;이것은 산의 봉우리를 일컫는 바로써 十朋의 거북이 엎드린 모양과 같으므로 이르는 것이다)에서 이상한 소리가 있어, 사람들을 불렀다. 九干들과 마을사람 2 .3백인이 이 곳에 모이었다. 사람의 음성이 나는 듯 했으나, 그 형상은 보이지 않고, 그 음성만 내었다. 『여기 누구가 있느냐 ?』고 하였다. 九干들은 대답하기를 『저희들이 있습니다.』고 하였다. 또 가로되 『내가 있는 곳이 어디냐 ?』고 물었다. 또 대답하기를 『구지로 소이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金學成, 權斗煥 編, 「古典詩歌論」, 새문社, 1984
편집부, 「한국고전시가작품론Ⅰ」, 집문당, 1992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9급 국어 정리 레포트
  • 연구의 중요한 자료(2) 한계 +- 상류층에 한정된 특권 계층의 문학+- 과장과 아첨의 내용으로 진실성의 결여+- 목적 문학 , 우리나리 문학사상 가장 생명이 짧았다.(조선초 발생 - 성종 때 소멸)☆ 용비어천가(전 10권 5책 125장) : 소실문자가 없다.- 형식 +- 기본 형식 : 2절 4구(대구형식), 1장, 125장은 예외+- 기본 구조 : 전절(중국 역대 왕의 사적), 후절(육조의 사적) => 대구법- 체제 +- 편집 순서 : 본문 + 한역시 + 주해+- 서사 : 1장, 2장 - 조선 개국의 천명

  • 현대시강독 1940년대 한국시 1940년대 한국시 시대벅 배경 1940년대 한국시 친일시 저항시
  • 연구』, p.415고 술회하고 있다. 박두진은 조지훈의 작품세계를 주제에 따라 나누었다. 지훈의 초기 시에서는 고전에 대한 민족문화적인 애착과 회고로부터 그의 민족의식을 도출해 낼 수 있다고 보았다. 중기에는 자연에 대한 허탈한 관조와 방황으로부터 그의 인생을 도출해 낼 수 있으며, 후기에는 자아에 대한 응시와 철학적인 탐색으로부터 그의 우주감각을 도출해 낼 수 있다 박두진, 『한국현대시론』, 일조각, 1980, p.129.고 하였다. 곧 초기시에서

  • 공무원 국어 기출문제(국가직7급,국가직9급,국회8급,경찰공무원,군무원)
  • 연구에 해당하는 것은?① 「메밀꽃 필 무렵」을 서정 소설의 특성과 관련시켜 연구한다.② 「무정」의 주인공을 작가 이광수의 개인사로 보아 연구한다.③ 「흥부전」의 놀부의 행동을 유교 이념적 관점에서 연구한다.④ 「상록수」를 브나로드 운동과 관련하여 연구한다.【문 12】 유치진의 「토막(土幕)」은 주로 어떤 사조에 기초한 작품인가?① 사실주의 ② 낭만주의③ 고전주의 ④ 상징주의【문 13】 밑줄 친 부분의 맞춤법이 옳지 않은 것은

  • [국문학] 상고시대부터 신라시대까지의 문학
  • 연구가 전무한 상태인 우리의 실정에 맞추어서 본다면 어쩔 수 없는 일이기는 하지만 최소한의 노력도 해보지 않고 15세기의 표기를 가지고 鄕歌를 해석한다는 것은 문제㉢ 홍기문의 경우는 鄕歌에 대한 해석을 신라어로 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면서 鄕歌를 풀이하고 있지만 고대어에 대한 전체적인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현 상태에서는 의욕이 앞서는 일이 아닐 수 없다. (3) 향가에 대한 어학적인 해석언어학의 분야에 맡겨야 하겠지만 어학적 해석

  • 실학 주의와 교육
  • 고전의 연구보다도 실생활에 필요한 지식을 가르침, 이것이 현대(독일) 중학교의 기반이 됨 제 3절 실학주의의 교육사상가 밀턴 한 때 귀족의 자제를 교육한 바 있음. 그 후 교육론 발표하고 인문적 실학주의와 감각적 실학주의에 의한 교육사상을 내세웠다. 이러한 교육관을 가졌던 밀턴은 교육이라는 것이 공사와 사사 전쟁과 평화를 막론하고 각자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게끔 해주는 교육을 완전하고 좋은 교육이라 하여 교육의 장래생활에 대한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