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문학사] 추월색 연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09.25 / 2019.12.24
  • 14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8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작가
2. 줄거리
3. 인물 연구
3. 1 작품 속의 전체 등장인물
3. 2 주요 인물의 성격
3 .3 영웅적 주인공
3. 4 신학문과 신사상을 가진 인물들

4. <추월색>의 흥미성
4. 1 사건 진행의 전후 순서를 전도시킨 구조 및 추리적 구성법
4. 2 여학생의 등장
4. 3 정삼각형 연애구조
4 .4 선과 악의 대립 구조

5. <추월색>에 드러난 남녀이합(男女離合)
5. 1 헤어짐과 만남의 구조 그리고 행복한 결말

6. <추월색>에 나타난 근대의 모습
6. 1. 신세대의 등장
6. 2 당시 유행코드
6. 3 신식결혼식과 청첩장

7. <추월색>의 한계
7.1 선∙악의 이분법과 우연성
7. 2 개화의식의 추상성

8 추월색의 의의
8. 1 구 조- ‘신’∙‘구’의 갈등
8. 2 문 체 - 인물 ∙ 배경의 현실적 묘사
8 .3 소재에 나타난 근대적 의식

마치며
본문내용
1. 작가 : 최찬식 (崔瓚植, 1881~1951)
호: 해동초인(海東樵人) ․ 동초(東樵)

<연보>
․ 1981년 경기도 광주에서 친일단체 일진회의 총무원 최영년(崔永年)의 아들로 태어남.
∙ 부친이 세운 사립 시흥학교를 거쳐 관립한성중학교에서 공부함.
․ 《자선부인화》잡지 편집인,《신문계(新文界)》와《반도시론(半島時論)》의 기자로 활동함.
․ 1907년 중국의 소설집 《설부총서(說部叢書)》번역을 계기로 신소설을 창작하기 시작함.
․ 말년에는 최익현의 실기(實記)를 집필하다 6·25전쟁 중 1·4후퇴 때 사망함.

<작품>
《추월색(秋月色)》(1912),
《금강문(金剛門)》(1914),《안(雁)의 성(聲)》(1914),《해안(海岸)》(1914),
《도화원(桃花園)》(1916),《삼강문(三綱門)》(1918),《능라도(綾羅島)》(1919),
《춘몽(春夢)》(1924),《자작부인(子爵夫人)》(1926),《용정촌(龍井村)》(1926)

참고문헌
김윤식 ,정호웅,「한국소설사」, (주)문학동네 , 2000
문흥구, ‘최찬식의 추월색 연구’,「성신어문학 제9집」, 동암어문학회, 1997
이숭원,‘최찬식의「추월색」고’,「국어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981
임종국,『한국인의 생활과 풍속(상)』민족문제연구소 엮음
이영순, <崔瓚植 新小說 硏究 : 作家意識을 中心으로> 1977
권영민, <최찬식 추월색>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류승렬, <최찬식 소설적 변이 양상 연구> 1991
김주리,『모던걸, 여우 목도리를 버려라:근대적 패션의 풍경』(서울:살림, 2005)
조이담․ 박태원 『구보씨와 더불어 경성을 가다』(서울:바람구두, 2005)
신명직,『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만문만화로 보는 근대의 얼굴』(서울:현실문화연구) 2003
박한용,『사진으로보는 서울2:일제침략아래서의 서울(1910~1945)』(서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2002
조풍영,『서울잡학사전:개화기의 서울풍속도』(서울:정동), 1989
박영숙,『서양인이 본 꼬레아:한영 만남 200주년 기념』(서울:삼성언론재단), 1997
김은신,『(한권으로 보는)한국최초 101장면:우리 근대문화의 뿌리를 들춰보는 재밌는 문화기행』(서울:가람기획), 1998
이경민,『기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근대기생의 탄생과 표상공간』 (서울:사진아카이브연구소), 2005
최찬식 외,『추월색․자유종․설중매』(서울:범우사), 1984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한국문학사교육론] 신소설
  • 문학사적 의의Ⅱ. 본 론1. 조동일의 『한국문학통사』속의 신소설2. 현 교육과정 속 신소설- 이인직 , 이해조 을 중심으로.3. 신소설의 교육에 대한 방법론 제시Ⅲ. 결 론Ⅰ. 서 론1. 신소설의 개념신소설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는 그 개념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매우 상이한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한국문학사의 연구에 있어, 신소설은 고소설과 다른 새로운 소설이라는 개념으로, 즉 근대로의 이행기에 발생한 소설들

  • 김윤식 정호웅 『한국소설사』고찰
  • 문학사 저술의 의도를 파악하는 데 큰 변별점이 보이지 않는다. 본 발표문은 2000년 본을 텍스트로 삼아, 『한국소설사』의 내용을 살핌과 동시에 문학사 전개에 있어서 이 저서가 지니고 있는 특징 및 의의와 한계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소설사』는 1900년대 개화기의 『소경과 앉은뱅이 문답』에서 1980년대 김주영의 『객주』에 이르는 한국 근대 및 현대 소설의 역사가 정리되어 있다. 기존의 소설사가 주로 해방 전까지의 우리 소설을 연구

  • 신소설에 대하여 이인직 작가론 이인직 작품론 이해조 작가론 이해조 작품론
  • ◈ 신소설에 대하여1. 신소설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1) 문학적 조명(신소설 등장배경)과 용어문제1930년대부터 시작한 한국 개화기 문학에 대한 관심은 1960년대에 접어들면서 한국 문학의 전통에 관한 논의와 함께 점차 고조되어 가고 있다. 신소설이라는 용어는 1906년 2월 1일자 『대한매일신보』광고란에 보이며 김상만서포에서 이인직의 「혈의 누」출간시 표제에 나타났으며, 이후 출판물에서 ‘구소설’에 대치되는 용어로 사용했다. 결국 이

  •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2기 주요작가별 문학사 서술 연구
  •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2기 주요작가별 문학사 서술 연구목차Ⅰ.머리글 Ⅱ. 개화기 시대에 대한 주요 학자별 문학사 서술 개관 Ⅲ. 개화기 시대에 대한 주요 학자별 문학사 서술의 실제1.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 제 2기 1860~1918년 시대 개관2) 문학사적 특징2. 조윤제 《한국문학사》1) 운동시대(運動時代) : 갑오경장(甲午更張)~3․1운동이전2) 문학사적 특징3. 장덕순 《한국문학사》1) 근대문학

  • [고전문학] 한국문학사 정리 - 장덕순 한국문학사, 이야기국문학사 중심으로
  • 근대문학 Ⅲ. 결 론 Ⅰ. 서 론문학사는 모름지기 그 삶의 연속체로서 한 개의 고립적 사상이 아니고 한 생명체의 부분이며 거기는 전체의 생명이 부분적으로 잠재하고 있어 밖으로 아무 관련성이 없어 보이는 듯한 모든 부분적인 문학적 사상도 그것을 세로 또 가로 한데 편록하면 완전한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다. 조윤제『한국문학사』동국문화사, 1963.문학사는 구비문학부터 현대문학에 이르기까지 개념으로부터 시작하여 각 장르별로 많은 연구와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