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국제 안보론] 포스트 9.11-동북아 안보 변화와 한국의 대안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09.25 / 2019.12.24
  • 15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2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 들어가며

1. Post 9.11 시대, 동북아 안보의 Continuities와 Changes
I. 미국
II. 북한
III. 중국
IV. 일본

2. 한국 외교의 soft power적 정책 대안

I. 단기적(5년 이내 실현 가능) 대안들
󰉟 IT산업 부문 : 정보기술과 인터넷 이용
❶ 한국, 중국, 일본 간의 문화홈페이지 개발
❷ 각국 학교 간 네트워크 형성
󰉠 스포츠 부문 : 한중일 국가대항 리그
󰉡 관광 부문 : 해상 관광로의 공유

II. 중장기적(5년 이상 지속적인 노력 필요) 대안들
󰉟 문화 부문 : 한국을 거점으로 한국을 알리기
❶ 한국어·한국학에 대한 지원
❷ ‘한중일 동북아 문화센터’ 설립
󰉠 인권·도덕적 가치 부문: 동아시아 인권대회 창설


◘ 맺음말
본문내용

◘ 들어가며
Post 9.11의 세계는 전혀 예상치 못한 상태로 빠져 들었다. Samuel S. Kim, “Northeast Asia in the Local-Regional-Global Nexus : Multiple Challenges and Contending Explanations,” p. 52.
세계의 패권국인 미국의 정책이 대 테러전쟁을 우선순위로 삼게 된 것이다. 이는 Condoleezza Rice 장관의 “9.11 사태는 미국과 세계에 있어 중요한 '결정적 순간‘이었으며 … 자유와 축복에 대한 테러와 폭정의 도전이었다. … 자유를 원하는 세계를 위해서 미국 외교가 반드시 세력 균형을 이뤄낼 것이다”라는 발언 원문은 다음과 같다. “September 11, 2001 was a defining moment for our nation and the world. … our nation has risen to meet the challenges of our time: fighting tyranny and terror, and securing the blessings of freedom and prosperity for a new generation. … We must use American diplomacy to help create a balance of power in the world that favors freedom. And the time for diplomacy is now,” Condoleezza Rice, "Opening Remarks by Secretary of State-Designate Dr. Condoleezza Rice," (2005.1.18).
을 통해 미국 Bush 정부의 변화된 정책목표를 예측할 수 있다. Ibid.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미국의 전략적 유용성을 위한 군사재배치 정책은, 동북아시아 국가들에게 자국의 이익 혹은 생존을 위한 변화를 야기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미국과 동북아시아 국가들이 실시해 오던 정책들은 각 국가 간의 갈등을 해소시키지 못한 채 안보상의 불안전성을 지속시킴으로서 이지역의 완전한 평화를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정책들은 미래의 상황을 낙관할 수 없을 만큼 복잡하게 만듦으로써 현상유지조차 어렵게 했다. 이처럼 미국과 동북아시아 국가들의 hard power적 접근은 동북아시아의 평화유지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으므로 현재의 불안정한 상황에서 벗어나 동북아에서의 평화유지를 위해서는 이전과는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Joseph Nye, "Understanding International Conflicts," Longman classics, 2004.
Michael Armacost and Daciel Okimoto, The Future of America's Alliances in Northeast Asia, Asia-Pacific Research Center Publications, 2004.
Robert Sutter, "China's Rise in Asi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5.
Samuel S. Kim(ed), "Inter-Korean Relations: Problems and Prospects," Palgrave, 2004.
Samuel S. Kim(ed.),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Northeast Asia,"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4.

▌기사

“메콩강-일본-상하이-시솽반나 순환노선 합의,” 중앙일보 (2006.5,17).
『소프트파워 무장 ‘공자의 후예들’- “反美연대 새 축으로”』, 동아일보 (2006,5,25).
[인터뷰] 前 駐日대사 崔相龍 - 그가 본 日本 총리들의 맨얼굴과 歷史의식, 월간 조선 2006년 5월호.
Christopher R. Hill, "North East Asia : A Region of Vital Concern to the United States," (2005.5.26).
Condoleezza Rice, "Opening Remarks by Secretary of State-Designate Dr. Condoleezza Rice," (2005.1.18).
CRS Report for Congress, "China-U.S. Relations : Current Issues and Implications for U.S. Policy," (2005.5.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사회과학 한국 안보의 당면 과제 주한미군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안보능력 향상을 위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관한 것이다.2. 연구의 범위 및 방법주한미군과 관련하여 한국안보의 전반을 논한다면 정치적, 경제적 문제들이 산재해 있으나 연구의 주제에 걸맞게 군사 안보 시스템의 문제와 발전방향에 초점을 둔다.첫째, 안보의 개념과 이론을 개괄하여 안보에 관한 총체적인 모습을 살펴본다. 그 후에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 정세에 관한 이론을 통해 변화된 현재 우리나라의 환경에 알맞은 안보

  • [정치원론] 동북아시아 화합과 평화협력
  • 동북아 정세의 변화와 김정일의 북한”, 김 덕,「국제질서의 전환과 한반도」 (서울: 도서출판 오름, 2000),p.230.미국은 동북아에서 어느 일국이나 연합이 지역을 압도할 수 있는 군사적 능력을 가지지 못하도록, 미국과 동북아에서 재화와 자본이 원활히 움직일 수 있도록, 역내 국가들이 정치적으로 개방되고 미국과 정치적, 경제적, 안보적 차원에서 협력할 수 있는 전략을 추진하였다. 이석광, “탈냉전기 동북아 안보환경과 한국의 대응방안,” p.16.

  • [국제관계] 한, 미 관계 주요 현안-전시작전통제권에대한 논쟁
  • 국제관계의 변동에 능동적으로 적응하여 우리의 국익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자주 방위력의 보유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라는 것과 대북협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라는 주장이 있다.또 다른 주장으로는 자주 독립국가로서의 상징성을 확보하고, 주한미군의 자의적인 철수에 대한 대비책 즉, 주한미군의 철수는 미국의 전략 변화 등에 기인하여 언제 철수 할지 모르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를 사전에 하여야 한다는 것과 한국은 한․미간에 안보 이익이 상충

  • [사회과학] 주변4강의 대한반도 정책
  • 동북아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논의할 다자안보협력체의 구성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 한편 러시아는 김정일 정권의 급격한 붕괴보다는 개혁과 개방을 통한 점진적인 변화와 평화적인 남북한 통일 달성을 선호하면서 한국의 대북 포용정책 및 미일의 대북 수교를 계속 지지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통일된 한국이 주변 4국 중 어느 한 국가의 영향권으로 편입될 것이라면 러시아는 한반도 통일을 원하지 않을 것이다. 즉, 자국의 이익에 훼손될 가능성이 있

  • 러시아 외교정책
  • 안보적 이해를 가지고 있다. 이 지역에는 그 동안 병력을 부분적으로 철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군사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는 미국이 존재하고 있고, 비록 핵국가는 아니지만 경제 대국인 일본이 국제 정치적인 위상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급속한 경제 성장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중국이 있고, 한국을 포함한 신흥 공업국들이 점차 독자적으로 지역 안보에 관여하고자 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은 불과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 최근 판매 자료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