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이규보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04.04 / 2019.12.24
  • 2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0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이 규 보
1이규보의 생애
2주 요 저 서

이규보의 산문
1백 운 소 설 ( 白雲小說 )
1)개 관
2)요점정리
3)본 문
4)구불의체

2슬 견 설 ( 芒犬說 )
1)요점정리
2)본 문
3)이규보의 슬견설 해설
① 작품의 이해와 감상
② 풍자적 입장에서 해석

3경 설 ( 鏡 說 )
1)요점정리
2)본 문
3)이규보의 경설 해설
① 이해와 감상
② 보충설명

이규보의 시관

1이규보의 시세계
1)어릴적부터 타고난 천재적인 시인의 면모
2)해좌칠현과의 접촉을 통한 비판적 안목의 형성
3)천마산 시절의 역사 인식과 창작
개원천보영사시(開元天寶詠史詩)
4)이규보에 관한 어용시비(御用是非)에 관한 소견
5)하급 벼슬생활 중의 이규보의 시세계
6)인천仁川 시기의 이규보
본문내용
본관 황려(黃驪:驪興). 자 춘경(春卿). 호 백운거사(白雲居士)·지헌(止軒)·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초명 인저(仁氐). 시호 문순(文順). 1189년(명종 19) 사마시(司馬試), 이듬해 문과에 급제, 1199년(신종 2) 전주사록(全州司錄)이 되고 1202년(신종 5) 병마녹사 겸 수제(兵馬錄事兼修製)가 되었다.

1207년(희종 3)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권보직한림(權補直翰林)으로 발탁, 참군사(參軍事)·사재승(司宰丞)·우정언(右正言)을 거쳐 1219년(고종 6) 좌사간(左司諫)으로서 지방관의 죄를 묵인하여 계양도호부부사(桂陽都護府副使)로 좌천되었다.

1220년(고종 7) 예부낭중(禮部郞中)·한림시강학사(翰林侍講學士)를 거쳐 30년 위위시판사(衛尉寺判事)가 되었으나, 팔관회(八關會) 행사에 잘못을 저질러 한때 위도(蝟島)에 유배되었으며 1232년(고종 19) 비서성판사(書省判事)에 승진하고, 이듬해 집현전대학사(集賢殿大學士)·정당문학(政堂文學)·참지정사(參知政事)·태자소부(太子少傅) 등을 거쳐 1237년(고종 24)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감수국사(監修國事)·태자대보(太子大保)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호탕 활달한 시풍(詩風)은 당대를 풍미했으며, 특히 벼슬에 임명될 때마다 그 감상을 읊은 즉흥시는 유명하다. 몽골군의 침입을 진정표(陳情表)로써 격퇴한 명문장가였다. 시·술·거문고를 즐겨 삼혹호선생이라 자칭했으며, 만년에 불교에 귀의했다.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문학사] 고려 후기의 시화(詩話)와 비평
  • 고전시학사, 기린원조동일(1996), 한국의 문학사와 철학사, 지식산업사조동일(2005),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최광석(2003), 백운소설에 나타난 비평의 이론과 실제하정승(2000), 고려 후기 시화집에 나타난 시품 연구, 우리한문학회Ⅰ. 서론Ⅱ. 시화(詩話)의 개념Ⅲ. 시화가 등장하게 된 배경Ⅳ. 이인로의 『파한집』Ⅴ. 이규보의 『백운소설』Ⅵ. 이인로와 이규보Ⅶ. 최자의 『보한집』, 최해의 『동인지문』, 이제현의 『역옹패설』 Ⅶ. 최자의 『

  • 이규보 생애에 따른 문학의 재해석
  • 이규보’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규보 Naver 지식백과사전과 위키백과의 ‘이규보’ 검색결과 中 발췌하여 인용함.는 한문학에 있어서 현실을 직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리얼리티(reality)를 작품 속에 드러낸 시를 쓴 최초의 시인으로 인중룡(人中龍), 해동공자(海東孔子)라 불렸을 만큼 뛰어난 인재였다. 그는 9세 때부터 중국의 고전들을 두루 읽기 시작했고, 시를 잘 쓰는 신동으로 알려져 있었다 『동국이상국집』연보에는 그가 11세 때 지은 시가

  • 한국문학 통사 비평 의식의 성장
  • 고전을 따르며 그 말을 본뜨려 하지 말고 자가의사정신을 가져야 한다고 하였고, 조귀명은 중국의 옛것에서 벗어나 우리만의 독자적인 문학을 찾아야 한다고 하였다.김만중은 비교문화론의 관점을 마련해 그런 주장을 더욱 발전시켰는데, 불교문화의 광대한 영역이 한문과 유학을 근간으로 하는 중국문화권에만 들어앉은 사람의 편견을 시정해주는 데 유용하다고 보아 둘 사이의 비교론을 자주 폈다. 즉, 세상에는 많은 나라가 독자적인 언어와 문학

  • 한국문학통사요약-중세후기(고려후기~조선전기)문학의 특징
  • 고전적인 명문의 전례를 따르는 것만이 성과를 보장할 수 있다고 하며 특히 소식의 뒤를 잇고자 했다. 한편, 중세 후기적 성격을 보여주는 이규보는 향리 출신 신흥 사대부로, 그는 현실을 새롭게 인식하며 민중의 삶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주체적인 문학을 이룩하고자 했다. 그는 新意와 ‘物의 철학’, 즉 사물에 부딪혀서 얻게 되는 철학을 통해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이것을 새로운 감각으로 표현하는 데는 신어가 필요함을 주장했으며, ‘物은

  • [국문학] 한국 문학으로서의 한국 한문학
  • 문학사적으로 어떤 가치를 지닐 수 있는지를 고려하여 간단히 소개한 것이다. 물론 정조라는 역사적 인물과 그 시대를 조명할 수 있는 사료의 등장 자체만으로도 정조 어찰은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 다만 국문학을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보다 의미를 부여하고자 정조 어찰에 드러나는 문체를 위주로 살펴보았다.3. 이규보의 농민시이규보는 몇 편의 농민의 현실을 그린 시를 썼는데, 흔히 농민시 혹은 애민시라고 불린다. 당시 다른 작가들과 달리 농민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