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악장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03.24 / 2019.12.24
  • 10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악장의 개념과 내용

2. 악장의 성립과정

3. 악장의 발전 과정
1) 조선 전기 문학의 특징

4. 악장의 형식과 유형 . 종류
1) 형식
2) 유형
3) 종류

5. 작가와 향유계층

6. 수록 문헌

7. 주요 작품의 개괄적 설명

8 . 작품
1) 표현상 특징
2) 내용상 특징

10. 악장의 가치와 의의
본문내용
1. 악장의 개념과 내용

악장은 조선 전기에 발생한 시가(詩歌) 형태로서, ‘악부(樂府)’라고도 한다. 종묘(宗廟)의 제향(祭享)이나 궁중의 제전(祭典), 연례(宴禮) 때 주악(奏樂)에 맞추어 부르던 가사(歌詞)이다. 특히 15세기에 주로 만들어진 조선 초기의 궁중 음악의 가사를 지칭한다. 궁정문학(宮廷文學), 아송문학(雅頌文學), 송시(頌詩), 송축시(頌祝詩), 송축가(頌祝歌), 송도가(頌禱歌)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악장은 주로 건국의 성업(聖業)과 번영을 찬양하거나 왕실의 안녕을 빌고, 선대 임금의 위업 및 공덕을 기리고 금상(今上)의 만수 및 자손의 번성을 송축(頌祝)한 내용으로, 특히 조선의 창업을 칭송한 것이 대부분이다. 역성혁명(易姓革命)을 통해 건국된 조선 왕조는 예로부터 나라와 백성을 다스리는 근본으로 여겨진 음악을 중요시하여, 이를 통해 건국의 당위성과 필연성을 강조․ 홍보하고자 했다.
악장은 4구 2절의 형식으로 경기체가(景幾體歌)의 영향을 직접 받아 이루어진 특권계급의 과장적인 문학인데, 주로 한시(漢詩)의 형식을 이어받은 한문계의 악장이 중심이 되어 있고, 국문계의 악장도 있다.

악장에 대한 개념정의는 아래와 같이 학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이병기 : "악장은 선왕의 업적을 찬송하고 君王萬壽나 子孫永昌을 축원 또는 권계하는 의미로서 지어, 宗廟祭享이나 公私宴享에 쓰던 노래다. 고려 예종때 宋이 新樂과 大晟樂을 준 후로 그 樂에 맞추어 조정에 써 오며 이를 雅樂이라 했다."
--장덕순 : "이조 國初에는 신흥국가의 군주를 비롯하여 新都文化, 創國의 鴻業을 기리는 송축가가 유행하였다. 이런 일련의 歌群을 악장이라 하여......"

2. 악장의 성립과정

악장문학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면, 당시 동양사회의 중심국이었던 중국으로부터 유교적 예악 문물이 유입되는 과정 중에 자연스럽게 정착된 한문악장과, 그 구체적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는 않았지만 우리 나름대로 자생적으로 전해 내려온 악장적인 장르의 이원적 흐름이라고 말할 수 있다. 현재 전해지는 악장문학의 큰 흐름은 중국 정격악장이지만, 악장문학의 연구에서 보다 가치 비중을 두고 논의될 성질의 작품은 고유 전통의 국문악장들이다.
조선초기에는 악곡이 첨부되지 않은 악장이 대부분이었고, 실제 사용 여부가 결정된 뒤에 비로소 악곡이 부가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반적으로 악장은 고정되었으나 거기에 맞추어 음악은 다양하였다. 악장 창작당시 곡조까지 만들어 올리지 않고 지어 올릴 가사를 연향악으로 쓰라는 왕명에 따라 기존의 연향악곡을 그대로 이용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구임회, 「한국악장문학연구」, 동국대학교, 1992.
조규익,「선초악장문학연구」, 숭실대학교출판부, 1990.
성기옥,「용비어천가의 서사적 짜임」,『古典詩歌論』, 새문사, 1984.
박찬수, 「용비어천가연구」, 충남대학교, 1994.
조동일 외 6인, 『한국문학강의』, 길벗, 200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1994
박기호, 『고려 조선조 시가 문학사』, 국학자료원, 2003
인터넷주소 www.solbit.net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비교(별곡의 명칭과 그 의의, 별곡의 형태적 특성)
  • 악장’,‘가사’등의 명칭으로 불려지는 시가군들이 있어 제가끔 독특한 형태를 갖추고 있음을 본다. 이러한 사실들에 비추어 만약 고려 시대에도 일정한 형태를 갖춘 시가군이 있었다면 사뇌가나 시조나 마찬가지로 고려 시가를 대표하는 명칭이 있어 마땅할 것으로 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거에 쓰이던 ‘고려 가사’는 막연히 고려 시대에 불려진 가사라는 인상을 줄 뿐이고 어떤 특정한 형태를 갖춘 시가군의 명칭으로는 적합하지 못하였으며,

  • [국문학개론] 악장
  • 악장(樂章)은 고려와 조선의 궁중음악으로 불려진 노래 가사를 모두 포괄하지만 흔히 ‘악장’이라하면 우리 문학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조선시대 초기(15세기)의 특정한 시가들에 붙여진 역사적 장르 명칭으로 사용한다. 조선이 건국되면서 동양적 통치 관례에 따라 예악(禮樂)을 정비하게 된다. 태조는 예악을 관장하는 부서를 두어 정도전으로 하여금 이 일을 보게 하였다. 정도전은 조선조 건국이념을 굳건히 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태조의

  • 한국(한국문학) 고전문학,근대문학, 한국(한국문학) 개화기문학,일제강점기문학, 한국(한국문학) 해방기문학, 한국(한국문학) 현대문학 분석
  • 대한 논의가 평단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것도 민족전체의 삶에 대한 인식을 문학의 과제로 제기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문성숙, 개화기소설론연구, 새문사, 1994◈ 박훈주, 근대일본문학 : 형설출판사, 1983◈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사, 1956◈ 하정일, 해방기 민족문학론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1992◈ 홍순석, 한국 고전 문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1998◈ 一丁 송민호, 일제말 암흑기문학 연구, 새문사, 1991

  • [고전시가론] 악장 전반적인 이론과 작품분석 -`정도전의 악장`,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 고전시가론 4조 악장(樂章)악장(樂章)Ⅰ. 들어가는 말Ⅱ. 악장 이론 정리1. 악장의 개념과 명칭2. 악장의 형성과정과 그 전개3. 악장의 장르 범주4. 악장의 유형과 형식5. 악장의 문학사적 의의Ⅲ. 악장 작품 분석1. 작품 분석2. 용비어천가3. 월인천강지곡Ⅳ. 나오는 말※ 참고 문헌Ⅰ. 들어가는 말고전 시가의 장르들 거의 대부분이 그렇겠지만 특히 이번에 다루게 된 악장 문학은 참으로 혼란스러운 장르이다. 악장은 넓은 의미

  • [고전문학사] 문학사 단원의 제재 선정의 문제와 대안 -규방가사
  • 문학사 단원에 실린 고전 문학 작품 목록2.2. 문학Ⅱ 교과서 제재 분석문학Ⅱ 교과서에 실린 제재들을 살펴보았을 때 가장 눈에 띄는 점은 13종의 서로 다른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수록 작품이 소수의 작품에 편중되어 대동소이하다는 점이다. 작품의 수가 절대적으로 없었던 상고시대는 어찌할 수 없더라도, 신라시대의 향가나 고려시대의 고려가요도 본문 수준에서 다루어지는 작품은 주로 찬기파랑가(6종)나 한림별곡동동(5종) 등이었다. 이처럼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