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사] 경기체가 장르에 대한 연구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6.03.24 / 2019.12.24
  • 13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est1est2est3est4est5 2(구매금액의 3%지급)
  • 1,4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1. 서론
1.1. 경기체가 일반론
1.2. 현 문학교육 속의 경기체가
1.3. 연구 과제

Ⅱ. 경기체가 연구사 - 장르를 중심으로
2.1. 1920~1930년대 개척기
2.2. 해방이후 1940~1950년대 개괄적 연구기
2.3. 1960년대 본격적 연구기
2.4. 1970년대 초반 새로운 자료의 발굴과 연구 심화기
2.5. 1970년대 중반~1980년대 후반 장르적 논의와 연구의 질적 승화기

3. 작품을 통해 바라본 경기체가의 장르
3.1. 고려시대 경기체가
3.1.1. 한림별곡
3.1.2. 관동별곡
3.1.3. 죽계별곡

3.2. 조선초기 경기체가
3.2.1. 霜臺別曲
3.2.2. 구월산별곡(九月山別曲)
3.2.3. 화산별곡(華山別曲)
3.2.4. 가성덕(歌聖德)
3.2.5. 오륜가(五倫歌)
3.2.6. 연형제곡(宴兄弟曲)
3.2.7. 서방가(四方歌)
3.2.8. 己和의 경기체가 - 미타찬, 안양찬, 미타경찬

3.3. 조선중기 경기체가
3.3.1. 불우헌곡(不憂軒曲)
3.3.2. 금성별곡(錦城別曲)
3.3.3. 화전별곡(花田別曲)
3.3.4. 주세붕(周世鵬)의 경기체가 <도동곡(道東曲)>, <육현가(六賢歌)>, <엄연곡(儼然曲)>, <태평곡(太平曲)>
3.3.5. 독락팔곡(獨樂八曲)

3.4. 조선후기 경기체가, 충효가(忠孝歌)

4.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1.1 경기체가 일반론

경기체가는 고려 고종 때의 「한림별곡」을 효시로 그 형식을 전형으로 삼아 조선조 말인 1860년 민규의 「충효가」에 이르기까지 명맥을 유지했던 국문학의 시가 장르이다. 경기체가를 ‘경기하여가’, ‘경기별곡’ 등으로 부르자는 견해도 있지만, 많은 작품이 ‘景 幾 엇더니잇고’라는 구절을 공통으로 갖는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景幾體歌’로 부르는 것이 보편화된 상태이다. 현재 경기체가로 분류된 작품은 25편 정도이며, 이들 작품은 개인의 문집, 악보, 실록 및 총서, 족보, 불교 문헌 등에 실려 있다.
경기체가의 시대 구분은 학자마다 견해를 달리하나, 여기에서는 고려시대, 세종대, 성종대의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려 한다. 먼저 고려시대의 작품에는「한림별곡」,「관동별곡」등이 있다. 이들 작품은 새로 일어나는 세력의 포부를 정서적인 바탕으로 하는 신흥 사대부들의 작품이며 주관적이고 서정적인 경향을 띠고 있다. 다음으로 세종대를 전후한 시기의 작품으로는 「상대별곡」,「구월산별곡」등이 있다. 이 시기는 새로 세운 나라를 지탱시키는 근간이 되는 이념적인 틀을 제시하려는 강한 지향성을 보이며 시의 내용에 있어 교술성이 다분한 것이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성종대 이후의 작품으로는 「불우헌곡」,「태평곡」등이 있다. 이 시기에는 경기체가의 주된 담당층인 사대부의 역할과 의식도 변화되어, 조선 초기의 정서적인 강박관념을 벗어나 개인적인 정취의 서정성을 다시 회복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형식적인 긴장미 속에 사대부의 이상을 담으려는 본연의 장르적 속성을 유지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지게 되고 이로 인해 경기체가는 그 생명력을 상실하게 되어 임란 이후에는 더 이상 창작되지 않게 된다.
경기체가의 형식적 특징은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하느냐에 따라 다른데, 김문기는 음보율을 기준으로 경기체가의 형식적 특징을 규정하고 있다. 우선 경기체가는 연장체의 시가이며, 전대절과 후소절로 되어 있다. 또한 제1-3행은 3음보격, 제4-6행은 4음보격으로 이루어진 6행시이며, 제4행과 제6행은 ‘위/-경/긔엇더/니잇고’로 4음보를 이루는 것이 원칙이다. 율격상으로는「한림별곡」과 같은 정격형에서 출발하여 후대로 올수록 점차 변격형, 파격형으로 변형되어 자유로운 율격 형식을 취하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율격적 변화는 그 장르적 성격 변화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기체가의 작자와 향유층은 사대부, 예조 찬진, 불교계로 구분할 수 있다. 사대부의 경기체가는 악장으로 입악된 작품과 개인의 이상과 포부를 담은 것으로 나뉜다. 예조 찬진의 경기체가는 국가의 공식 의례에서 사용될 목적으로 창작된 것이다. 불교계 경기체가는 왕실 측근의 승려들에 의해 지어져 왕과 신하들이 참석한 불교 의식에서 불렸을 가능성이 많다.
자료평가
  • 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자료평가0
  • 좋네요...ㅋㅋㅋ덕분에 레포트 쉽게 끝낸듯...
  • goj***
    (2011.05.25 00:14:24)
  • 자료평가1자료평가1자료평가1자료평가1자료평가1
  • good
  • qkrgktkxk***
    (2006.06.21 15:29:10)
회원 추천자료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장르를 다르게 구분하게 된 것이다.가 예악서로서 편찬된 데에서 고려가요와 경기체가는 조선조의 궁중의식과 예향에 악장으로서의 생명을 이어갔다. 우리는 앞으로 고려가요와 경기체가의 전승과정을 살피는 일에 주력하여 우리 국문학사에서의 위치를 더욱 뚜렷이 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강명혜, 「고려속요사설시조의 새로운 이해」, 북스힐, 2002.국어국문학회 편, 「고려가요악장연구」, 태학사, 1997. 김동임, 「경기체

  • 시조時調개론 리포트
  • 경기체가와 속가의 거리를 극복하고자 중엽쯤 발생(조윤제), 소박하면서도 정제된 형식이 성리학자들에게 적합, 한시절구에 담을 수 있는 시의를 담기에 적합조선조이능구, 김수업, 성호경16세기 초 작품들이 음보율상 불안정성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전에 완성된 형태가 나오지 않았고, 정치적 안정기인 16세기에 정착, 진본 청구영언에 없는 고려조 작품은 인정할 수 없음.→현재 학계에서는 고려조로 보는 것이 가장 유력시조의 형성시기2.4 시조

  • 고려 속어는 민요인가
  • 연구 필요Ⅳ 결(結)정석가동동서경별곡청산별곡2. 신의(新意)와 용사(用事)1960년대부터 한국고전시론에 대한 연구조종업 : 용사론 신의론을 대비하여 설명최신호 : 신의론과 용사론 사이의 두 가지 대립된 특징을 바탕으로 그 상대성 제시전형대 : 신의가 용사의 반대개념X => 달의주의와 기교주의신의와 용사 -> 대립관계 VS 서로 다른 차원의 성격Ⅰ신의론이규보선내용후형식용사론이인로선형시후내용신의와 용사는 대립관계인가?1) 신

  • [국문학] 시조의 발생 시기-고려시대와 조선시대 발성설
  • 爭點』, 집문당.김수업(1978). 「시조의 발생 시기에 대하여. 조규설.『시조론』, 일조각.김태준(1971). 『별곡의 연구』(1~13), 동아일보.성호경(1986). 『조선전기시가론』, 새문사.───(2006). 『고려시대 시가연구』, 태학사 ───(2009).『한국시가연구의 과거와 미래』, 새문사.정병욱(1980).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조윤제(1948). 『한국시가사강』, 을지문화사.───(1963). 『한국문학사』, 동국문화사.최동원(1980). 『古時調論』, 삼영사.

  • [고전시가론]율격연구와 상대시가에 대해
  • 장르적 성격을 놓고 한 편의 순수한 고대의 서정시(정병욱), 혹은 국문학사상 최초의 서정시(장덕순)라하여 서정가요로 보는 것이 통념화되어 있으나, 한편에서는 일찍이 종족과 토템을 달리하는 다 집단간의 대립을 화해시키려다 실패한 추장의 탄생을 담은 서사시로 보는 견해(이명선)가 제기되었고, 근자에는 한 해의 활동을 결산하는 주기적 제의, 즉 번제에서 축원으로 부른 주가라는 견해(민긍기)까지 나온바 있어서 이 문제에 대한 토론이 더 있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