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조선시대 한문학의 역사적 전개와 발전 - 시인들의 유파를 중심으로

  • 등록일 / 수정일
  • 페이지 / 형식
  • 자료평가
  • 구매가격
  • 2005.10.31 / 2019.12.24
  • 27페이지 / fileicon hwp (아래아한글2002)
  • 평가한 분이 없습니다. (구매금액의 3%지급)
  • 2,300원
다운로드장바구니
Naver Naver로그인 Kakao Kakao로그인
최대 20페이지까지 미리보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자료평가하면 구매금액의 3%지급!
이전큰이미지 다음큰이미지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전기
1. 역사적 배경
2. 문학사조
1) 載道 卽敎化
2) 性情醇化
3) 交隣的 詞章論
(1) 관각문인―훈구파
① 鄭道傳(1337~1398)
② 權近(1352~1409)
③ 徐居正(1420~1488)
④ 成俔(1439~1504)
(2) 처사문인―사림파
① 金宗直(1431~1492)
② 金宏弼(1454~1504)
(3) 방외문인
① 金時習(1435~1493)
② 魚無迹( ?)
③ 南孝溫(1454~1492)

Ⅲ. 조선중기
1. 문학사조
1) 당풍을 주로 썼던 인물들
(1) 삼당시인
① 崔慶昌(1539~1583)
② 白光勳(1537~1582)
③ 李達(1539~?)
(2) 그 외
① 鄭澈(1536~1593)
② 林悌(1549~1587)
③ 李邈光(1563~1628)
④ 權韠(1569~1612)
2) 委巷侍人
① 崔起南(1559~1619)
3) 여류시인
① 黃眞伊(?)
② 李玉峰(?)
③ 許蘭雪軒(1563~1589)

Ⅳ. 조선후기
1. 역사적 배경
2. 문학사조
1) 실학파
① 星湖의 世敎論
② 茶山
③ 燕岩의 愍時病俗論
2) 조선풍
3) 白嶽詩壇과 眞詩運動
① 金昌協(1651~1708)
② 金昌翕(1653~1722)
4) 紀俗詩人
① 申維翰(1681~1752)
② 申光洙(1712~1775)
③ 洪良浩(1724~1802)
④ 金鑢(1766~1822)
5) 閭巷文學

Ⅴ. 맺음말

본문내용
조선시대에 한자가 창제된 이후에도 문자생활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즉, 구어는 우리말이었으며 문어는 여전히 한자로 존속하였다. 특히, 상위계층인 사대부들은 한글을 천시하고 한문을 높이 평가하여 한자생활을 꾸준히 계속하였는데, 이들의 이러한 가치관과 문화가 반영된 것이 바로 한문학이다. 다시 말해 한문학은 그것이 생긴 이래로부터 조선시대에도 꾸준히 그 자리를 굳히고 있었던 것이다.
한문학의 사상적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유가적 효용관과 도가적 자연관이 그것이다. 이 두 가지의 문학적 흐름은 조선 오백년 문풍의 큰 줄기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는 한문학의 이러한 흐름을 한시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먼저 본문으로 들어가기 전에 조선시대 한문학의 시대구분에 대해 언급을 하겠다. 조선시대 500여년은 한문학이 가장 번성한 시기로, 한문학은 곧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장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조선시대 한문학의 시대구분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이것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조선전기와 후기로 나누는 방법이 있는가 하면, 조선전기ㆍ중기ㆍ후기로 나누는 방법이 있다. 한편, 박수천 선생님께서는 조선시대 한문학을 조선전기ㆍ중기ㆍ후기ㆍ말기로 나누는 것을 주장하기도 하셨다. 우리 조는 이 세 가지 방법 중 두 번째 방법을 수용하여 본문을 전개하고자 한다. 그러면 이제부터 조선시대 한시의 역사적 전개와 발전을 조선초기와 중기, 그리고 후기로 나누어, 각 유파를 중심으로 하여 주요작가와 그 작가의 주요작품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ㆍ金相洪,《朝鮮朝 漢文學의 照明》, 이회, 2003.
ㆍ姜明官, 《朝鮮後期 閭巷文學 硏究》, 1991.
ㆍ閔丙秀, 《韓國漢詩史》, 太學社, 1996.
ㆍ이숙희,《漢詩 바로 보기, 거꾸로 보기》, 이회, 1998.
ㆍ金承璨 외,『韓國文學槪論』, 三知院, 2000
자료평가
    아직 평가한 내용이 없습니다.
회원 추천자료
  • [고전시가론] 시조
  • 전개과정과 주요 작품1) 제 1기 고려 말의 시조.182) 제 2기 조선초기의 시조.283) 조선 중기의 시조.534) 조선 후기의 시조.115제 7장 시조ꊱ 시조의 명칭과 개념1. 시조의 정의시조란 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에 걸쳐서 발생하고 정제된 서정 시가로써 조선조의 전 시기와 개화기까지 생명력을 유지해 온 민족 시가이다. 즉, 한민족의 고유한 예술양식의 하나로서 국문학상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녀오는 시가형식의 시조이다.그러나 ‘시조란 무엇인

  •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한국 한시의 발달과정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서술하시오
  • 방통대 국어국문학과 4학년 한국한문학의 이해 공통 한국 한시의 발달과정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서술하시오.Ⅰ. 들어가며Ⅱ. 한시의 종류별 구분과 성격1. 한시의 개념1) 정의2) 특성3) 시상전개와 감상법(1) 시상전개(2) 감상법2. 한시의 종류별 구분1) 고체시(古體詩) (1) 특성(2) 종류① 고시② 악부2) 근체시(近體詩) (1) 특성(2) 종류① 절구② 율시③ 배율3. 한국 한시의 발달과정1) 한시의 시작2) 신라 말 고려 초 한시3) 고려시대

  • [국문학사] 한국문학사의 개관
  • 시대) 문학사 1. 고려 문학의 개념 고려 문학이란, 통일 신라 멸망 후부터 조선이 건국되기까지의 약 500년 동안 지어졌던 문학을 이른다. 2. 고려 문학의 형성 배경 고려는 (불교)를 국교(國敎)로 정하고 , 정주학으로 이론 철학을 이룬 시대였으며, 국내적으로 찬란했던 신라 문화를 계승하고, 밖으로는 대륙 문화를 수용하였다. 중국 문물의 수입과 국자(國字)가 없었던 이유로 (한문학)이 크게 융성하였으나, 상대적으로 국문학은 크게 위축되었다.

  • [현대시론] 중 고등학교 현대시 작품 분석
  • 전개된 가족 상상력의 관점에서 볼 때 박목월 시의 “아버지” 이미지는 획기적인 것이다. 우리는 일제 강점기 백석, 이상, 미당 등의 시에서 가부장적 질서가 파탄난 가족과 가족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방황하는 시적 자아를 만날 수 있다. 이때의 자아에게는 가부장적 지위나 책임감이 보이지 않는다. 이와 달리 주로 중기시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박목월 시의 “아버지”는 다시 가부장적 질서를 회복한 가정의 가장이다. 식민지 시대 시인들의 시편

  • [공무원]한국사 기출 모음집(1990년~2006년)
  • 발전시켜 신분상의 우위를 유지하려 하였다. ④ 향촌의 중소지주층으로서 중국 중심의 화이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⑤ 향촌의 자치를 주장하면서 서원을 통하여 성리학적 유교질서를 유지하려 하였다. 6. ① 해설 「삼국사기」는 그야말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 역사만 서술하였다.7. ④ 해설 정치도감은 충목왕 때 설치된 개혁기구로서 권문세족의 농장과 노비혁파를 주장하였다.8. ⑤ 해설 ①법전 ②지리서 ③조선 후기 자주적 역사서 ④농

사업자등록번호 220-06-55095 대표.신현웅 주소.서울시 서초구 방배로10길 18, 402호 대표전화.02-539-9392
개인정보책임자.박정아 통신판매업신고번호 제2017-서울서초-1806호 이메일 help@reportshop.co.kr
copyright (c) 2003 reoprtshop. steel All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