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각 복사하기 버튼을 이용하여 블로그나 카페에 HTML 형식으로 붙여넣기 하실 수 있습니다.

소스복사하기

창작스튜디오의 이해 및 국내외 사례분석

다운로드: icon창작스튜디오의 이해 및 국내외 사례분석.hwp


목차
Ⅰ.창작스튜디오의 이해
1. 창작스튜디오의 개념 및 배경
1.1 창작스튜디오의 개념
1.2 창작스튜디오의 등장배경
2. 컬처노믹스적 관점에서 창작스튜디오의 가치
2.1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창작스튜디오
2.2 창작스튜디오의 지역기능의 형성
3. 창작스튜디오의 문제점 및 필요성
3.1 창작스튜디오의 문제점
3.2 창작스튜디오의 필요성
4.창작스튜디오의 유형
4.1 기능별
4.2 설립 및 운영주체별

Ⅱ. 창작스튜디오 사례분석
1. 사례선정개요
1.1 국외 사례 공간분석
1.1.1 뉴욕 P.S.1 현대미술센터-MOMA
1.1.2 요코하마 BankART1929 스튜디오 NYK
2.1 국내 사례 공간분석
2.1.1 문래예술공장
2.1.2 금천예술공장
2.1.3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2.1.4 인천아트플랫폼
 
본문내용
예술창작문화정책은 19세기 이후 문화현상 전반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프랑스, 독일, 영국, 미국, 일본 등 소위 문화선진국을 중심으로 문화의 발굴, 보호, 육성, 전승을 위하여, 또 식민지 국가의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수단으로 수립, 집행되어 왔다. 오늘날의 문화 정책은 문화의 의미가 세계적, 일상적 개념으로 자리매김 되면서 점차 규제에서 지원으로, 중앙 정부 중심에서 지방정부 중심으로, 문화소비 중심에서 문화자원 중신으로, 문화생산자 중심에서 문화수용자 중심의 문화복지 개념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다.
프랑스는 작가에게 창작 공간을 마련해주는 정부 지원 정책은 앙드레 말로 장관의 프랑스 문화개혁의 정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960년대 초, 문화성의 문화부 출범 이후 프랑스 정부에 의해 지원된 작업실은 다른 사기업의 작업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으며 정부는 해마다 파리 근교, 각 지방별로 작업실 신축을 하고 있다. 정부의 작업실의 신축과 동시에 폐쇄위기에 있는 역사 깊은 사립 또는 개인 독지자 지원 작업실에도 정부의 지원이나 보호가 시작되어, 1880년 파리에 최초로 생긴 ‘집단작업장’으로 현재까지 30여명의 작가가 작업하고 있는 13구의 작업실 ‘시떼 플뢰리(Cite Fleurie)’와 1902년 140여 개의 대형작업실로 출발한 작업실 “라 뤼쉬(La Ruche)’가 그 대상이었다.
라뤼쉬의 역사를 통해서 작업실 지원의 기본의미를 알 수 있고 또 작업실이 작가들의 예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다. 이곳에서는 에꼴드 파리(Ecole de Paris)의 작가들을 비롯한 모딜리아니, 레제, 자드킨, 브랑쿠시, 샤갈 등의 작가들이 활동 하였다. 그 후로 폐쇄될 위기도 넘기고 오늘날에는 정부의 보호 하에 작가들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유일한 비영리 재단의 작업실이 되었다. 이러한 재단 형식의 역사를 갖는 작업실로 ‘국립작가촌(Maison nationale des artistes)’dl 파리 외곽 노장(Nogent)에도 있다.
2024-04-26 01:37:17 211.234.109.229/data/data_scrap.html 최근 수정일: 2019-11-06 15:55:18. 총퀴리수 : 3 총쿼리시간 : 0.00245 [0.00054]/[ DB:report] select count(*) AS CNT from psCart where SessNum='20240426013717509749'; [0.00045]/[ DB:report] SELECT seq FROM psRlist WHERE rpID=722456; [0.00146]/[ DB:report] SELECT * FROM psReport WHERE rpID=722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