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각 복사하기 버튼을 이용하여 블로그나 카페에 HTML 형식으로 붙여넣기 하실 수 있습니다.

소스복사하기

유교적 관점으로 다시 보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

다운로드: icon1차 과제.hwp


목차
1. 孔子의 철학이란.
2. 孟子와 荀子의 사상적 차이
3. 공자 순자 맹자가 바라는 사회상
4. 유학자들의 사상으로 해결하는 현대 문제점들
 
본문내용
공자(기원전 551년 ~ 479년) 는 유교의 시조이며 중국 춘추전국시대 말엽 노나라 창평향 추읍에서 태어났다. 조상은 송나라의 공족이었으나 훗날 노나라로 망명했다. 그는 노나라 양공 22년에 태어나 애공 16년 73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는데 인류 역사상 4대 성인중 한사람으로 평을 받는다.
공자가 살았던 시대인 춘추전국시대는 혼란의 시기였다. 공자는 시국이 혼란한 원인을 제도의 모순에서 찾지 않고 예(禮)와 악(樂)의 붕괴 즉 주례(周禮)에서 정한 신분과 직분의 차별, 명분의 혼란에서 찾고 따라서 그 해결방법으로 어지러운 명(名)을 바로 잡는다는 정명(正名)을 주장했다. 공자에게 있어서 본래 명(名)이란 상대방을 군신.부자라고 부름으로서 사회적 기능을 규정하는 명(命)이었던 것이다. 명이란 직분을 명령하는 행위이므로 공자에게 정명이란 논리학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명분주의(名分主義)를 뜻한다.
여기서 명은 계급의 정체성을 명령하는 것을 의미하며 분은 맡은 직분을 가르킨다. 그러므로 정명은 소극적으로 무너지는 계급질서를 유지하는 것이며, 적극적으로는 각 계급마다 독립적 직분을 담보하는 것이다. 주례에 의하면 권력을 독점되었던 관직은 세분화되고 철저하게 등급화 되어 있어 같은 계급이라도 차별이 엄격했다.
이것을 굳게 지키려고했던것이 공자의 복례(復禮)이며 명분주의이다. 그러므로 공자의 정명론은 주례를 회복함으로서 상하 존비(尊卑)의 종법제도(宗法制度)를 바로 세워 귀족지배와 노예적 봉건주의를 지켜내려 한 것이다. 결국 주례를 이념화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그에 의하면 복례의 목적은 인(仁)이며, 인을 담보하는 것이 정명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정명은 예(禮)를 위한 도구인 것이다.
2024-04-20 04:42:53 211.234.109.229/data/data_scrap.html 최근 수정일: 2019-11-06 15:55:18. 총퀴리수 : 3 총쿼리시간 : 0.00203 [0.00046]/[ DB:report] select count(*) AS CNT from psCart where SessNum='20240420044253180947'; [0.00042]/[ DB:report] SELECT seq FROM psRlist WHERE rpID=705698; [0.00115]/[ DB:report] SELECT * FROM psReport WHERE rpID=705698;